탈릅 성공한 긴1000 [988887] · MS 2020 · 쪽지

2022-03-20 19:05:33
조회수 1,424

만덕 지구질문) 내가 이거 밥도 안먹고 존나 고찰을 해 봤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39137

이게 우주에서 별의 생성이  띄엄띄엄 있으면 

우주의 지평선이 크기가 증가하다가 일정상태로 유지되는 구간이 존재할 수도 있는듯



걍 내생각이고 여기에 존나 머리 잘 굴러가는 사람들 많으니까 잘못 생각한 지점 잡아주라는 의미에서 올리는 글임 


빅뱅 당시에 생성된 별이 아니라 빅뱅이후에 빅뱅직후의 우주보다 팽창한 우주에서 

즉,빅뱅직후에는 우주가 존재하지 않았던 공간, 빅뱅이후 우주가 팽창하여 새로이 우주가 된 공간에서 

빅뱅발생 x년 이후에 별x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 해당 별x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가 y광년이라 가정 시



해당 별에서 시작된 빛이 우주의 지평선(지구에서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의 

내부로 들어오는 시점(우리가 해당 별x를 관측 할 수 있는 시점)은 빅뱅이후 (x+y)년이 된다는 사실이 매우 자명함



그런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빅뱅 직후에 생성된 별들 중 가장 지구로부터 먼 위치에 생성된 별(별z)와

지구사이의 거리가 z광년이고 

빅뱅이후 우주가 팽창하여 새로이 우주가 된 공간에서 생성된 별이 별x뿐이라는 가정을 추가적으로 하게 된다면


별z에서 생성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점(z년)과 

별x에서 생성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점(x+y년) 사이의 우주의 지평선의 크기는 z광년인 상태로 유지될거임 

: 반드시 x+y>z이고, 

  빅뱅이후 z년과 빅뱅이후(x+y)년사이에 생성된 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했기에 

  지구로부터z광년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시작된 빛은 별x로부터 시작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까진 관측되지 않음

  고로 우주의 지평선(=지구에서 관측가능한 우주의 최대 면적)은 별x로부터 시작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까진 z광년에서 더 커지지 않음


그런데 실제 우주에서는…

1.별들이 존나게 많이 생성되고

2.거시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저 차이(x+y-z년)는 너무나도 미미하기에

등속팽창하는 우주를 가정시 우주 지평선의 크기는 ‘광속/허블상수’에 비례하는 공식이 성립하는 듯


병신같이 생각한 거 있으면 제발 지적해주셈

시험 이렇게까지 안나오는거 나도 아는데,,, 이거 답답해 죽겟음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