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거 밥도 안먹고 존나 고찰을 해 봤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39075
이게 우주에서 별의 생성이 띄엄띄엄 있으면
우주의 지평선이 크기가 증가하다가 일정상태로 유지되는 구간이 존재할 수도 있는듯
걍 내생각이고 여기에 존나 머리 잘 굴러가는 사람들 많으니까 잘못 생각한 지점 잡아주라는 의미에서 올리는 글임
빅뱅 당시에 생성된 별이 아니라 빅뱅이후에 빅뱅직후의 우주보다 팽창한 우주에서
즉,빅뱅직후에는 우주가 존재하지 않았던 공간, 빅뱅이후 우주가 팽창하여 새로이 우주가 된 공간에서
빅뱅발생 x년 이후에 별x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 해당 별x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가 y광년이라 가정 시
해당 별에서 시작된 빛이 우주의 지평선(지구에서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의
내부로 들어오는 시점(우리가 해당 별x를 관측 할 수 있는 시점)은 빅뱅이후 (x+y)년이 된다는 사실이 매우 자명함
그런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빅뱅 직후에 생성된 별들 중 가장 지구로부터 먼 위치에 생성된 별(별z)와
지구사이의 거리가 z광년이고
빅뱅이후 우주가 팽창하여 새로이 우주가 된 공간에서 생성된 별이 별x뿐이라는 가정을 추가적으로 하게 된다면
별z에서 생성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점(z년)과
별x에서 생성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점(x+y년) 사이의 우주의 지평선의 크기는 z광년인 상태로 유지될거임
: 반드시 x+y>z이고,
빅뱅이후 z년과 빅뱅이후(x+y)년사이에 생성된 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했기에
지구로부터z광년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시작된 빛은 별x로부터 시작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까진 관측되지 않음
고로 우주의 지평선(=지구에서 관측가능한 우주의 최대 면적)은 별x로부터 시작된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까진 z광년에서 더 커지지 않음
그런데 실제 우주에서는…
1.별들이 존나게 많이 생성되고
2.거시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저 차이(x+y-z년)는 너무나도 미미하기에
등속팽창하는 우주를 가정시 우주 지평선의 크기는 ‘광속/허블상수’에 비례하는 공식이 성립하는 듯
병신같이 생각한 거 있으면 제발 지적해주셈
시험 이렇게까지 안나오는거 나도 아는데,,, 이거 답답해 죽겟음 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대로 교수님께 매일 보내셈
밥 먹엇으면 생각해냇다 ㄹㅇ
아니 ㅜㅜㅜ
틀린 거 좀 고쳐주고 뭐 이거 관련해서 아는 거 있으면 알려주고가셈 제발 진짜 홧병날듯 답답해서,,,ㅜㅜ
야옹
에휴이
싱기
답답답답
네 번째줄부터 읽는 거 포기함 ....
형님 최근 글로 다시 ㄱㄱ 만덕 걸엇음
아 진짜 작년엔 걍 다 외워서 잘본거엿걸 뼈저리게 느끼는 중
난 내가ㅡ지구 좀 치는 줄 알앗지 ㅠㅠ이
나 물생인데
아 시발 깜빡함 ㅋㅋㅋㅋㅋ
일단 긴1000 7ㅔ이 말이 다 맞는것 같음.
-문-
일단 대충 말임
(지학 노베)

나가그냥 정해진 숫자로 알려주는 허블상수 자체를
측정한 방법에 대해 직접적으로 찾아보는게 뭔가 도움이 될듯
지난 100년 천문학의 역사는 허블상수를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느냐의 역사라는데
현재 허블상수는 wmap 위성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 가지고 계산한 값을 쓴다는데 잘 모르겠다
약간 본문 핀트?를 잡자면 지평선 내부의 별에서의 빛도 관측이 불가할 수 잇다 이거하고 본문 첫줄인듯
한번 읽어보셈 ㄱㄱ

그냥 대충읽고 지평선의 기준점이 되는 가장 먼 별빛의 기준이 애매하단 뜻인줄지평선 내부의 별빛이 오는 도중에 공간이 더 찢어져서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단거임?? 어렵네
광속 불변원리때문에 걍 지평선 안에 있으면 상관없이 다 보이는거 아닌가
생성시점에 따라서 다르지 않겟냐는 의미엿음 ㅇㅇ
우주 확장 속도는 빛의속도보다 같거나 느리지 않나
광속은 불변하고
인플레이션 이후론 항상 빛보다 느림 그래서 인플레 직후에는 지평선보다 실제우주가 컸는데도 이루에 역전되는 거
이러한 의미에서 '관측 가능'이라는 단어는 물체에서 빛이나 기타 정보를 감지하는 현대 기술의 능력 또는 감지할 것이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광속으로 인해 생기는 물리적 한계를 말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4%80%EC%B8%A1_%EA%B0%80%EB%8A%A5%ED%95%9C_%EC%9A%B0%EC%A3%BC
Z라는 별이 가장 먼 곳에서 관측된다고 해서 우주의 지평선이 거기까지인 게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