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하 [248208] · MS 2017 · 쪽지

2011-01-09 00:15:49
조회수 741

이과 논술 좀 질문요(예비 고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5583

제가 수능으로 선택할 과목은 물1 화2 생1인데요.

현 예비 고3부터는 수시가 엄청 늘어나서 논술도 많이 신경을 써야 하잖아요.

화1, 지1 이야 내신 준비하면서 어느정도 해놨고

물2도 고3때 내신 할거라서 좀 보긴 했는데

생2 지2는 거의 몰라요.

어떤 분들은 생2, 지2 다 볼 필요까진 없다고는 하시는데...

논술을 준비하려면 정확히 생2, 지2는 어느정도 알아야되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arbonate · 310226 · 11/01/12 17:07 · MS 2009

    입시를 한번 더 겪어야 하는 재수생입닏ㅏ..ㅜㅠ 부끄럽네요
    저도 현역시절에 뜻밖에, 정시만을 바라봤는데 수시중에서도 논술전형은 일반계고 이과생이라면 해볼만하더군요...;ㅎㅎ
    음... 주위에 논술로 붙어간 친구들을 보면 대부분이 우선선발 조건되서 간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따로 준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아직은, 시간적 여유가 좀 되신다면 논술공부하는게 좋겠지요

    지구과학12는 사실상 안해도 된다고 보면되요 기출을 풀엇어도 고사장에서 논술을 치뤘어도 지구과학공부안해서 손해보는건 없더라구요
    생1은 알아두면 좋은정도(?).. 생2의경우 단원명이 지금 기억이 안나는데
    유전(DNA RNA 나오는부분요 특히 "과정"이 있는 부분), 염색체, 광합성 호흡약간 정도가 자주나오더라고요
    나머지 부분은 아마 암기위주의 내용이여서 않나 싶습니다
    이과 논술의경우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돼지만, 주입식교육으로, 또 수능위즈의 공부때문에
    알게모르게 원리와는 동떨어지게 암기와 단순히 내신 수능 문제풀기에 우리가 너무 치우쳐있지 않았나 하는 그런생각도 좀 들덕라구요
    논술공부하실때는, 수학이든 과탐이든 원리와 개념을 탄탄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생2를 예로들자면요, 광계라는 용어가 광합성 명반응 파트에서 나옵니다
    대부분의 생물2를 수능에서 보는 학생들은 광계2가 명반응에서 어떤역할을 하고 ATP가 어쩌느니 NADP가 어쩌느니 하는 내용은 다 알지만
    그게 어떻게 된다는 지의 원리는 애매한 경우가 많더라고요

    알고있는거와 논술은 다릅니다
    특히 논술은 그 과정을 설명하는경우가 좀 있습니다
    왜 그런지를 묻는 자세로 공부하시고, 한번쯤 정리해두시는것도 좋을거같습니다
    아마 이런방법은 수능공부에 큰 걸림돌이 돼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첨언하자면 논술우선선발 조건이 최대한 되도록 수능에도 최선을 다하세요!
    2012학년도 수능이든 논술이든 대바ㅐㄱ나시기 바랍니다ㅣ! 화이팅입니닷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