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GE · 389760 · 15/01/21 11:04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PurityDEK · 440317 · 15/01/21 11:13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경제는토가나와 · 445606 · 15/01/21 11:23 · MS 2013

    환경오염때매 외부 불경제가 발생해서 사적비용보다 사회적 비용이 커졌습니다. 외부효과로 사회적 비용이 커졌다는건 환경오염이나 기타 다른 요인으로 인해 깨끗한 물의 공급이 줄어들었다는 걸 반증하게 되는 셈이죠. 따라서 사회적 비용의 개념으로 공급감소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 se8404 · 551583 · 15/01/21 17:48 · MS 2015

    사회적 비용이 커지면 왜 물의 공급이 줄어드나요?

  • initium · 274255 · 15/01/22 03:21 · MS 2009

    깨끗한 식수라는 예시로 보면 사회적 비용, 즉 오염이 증가하면 당연히 깨끗한 식수의 공급은 줄어들겟죠 근데 그게 가격에 의한 것이아니라 가격 외적인 요인에 의한 공급감소이기 때문에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