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403456
어떤 미친 외계인이 우리를 가속 시키는 중인지, 아니면 우리가 지구 중력장 안에 있는지 구분 불가능 함.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는 "대충" 중력과 관성력을 구분할 수 없다는 걸 말하고 있음.
이 등가원리에 따라서 평평한 지구에서는 지구가 위로 가속하는 중인지, 아니면 중력이 진짜 작용하는지 알 수 없음.
그렇다면 둥근 지구에선?
---
일반상대론이 시공간의 휘어짐에 대해 말하는 이론임은 대충 알 거임. 중력이 크면 시간이 어쩌고 공간이 저쩌고...
아래는 공 두 개를 둥근 지구에 떨어트리는 실험을 보여주는 움짤임.
구글 뒤져보다가 너무 설명하기 좋아서 들고 왔음.
위 움짤에서 매 프레임은 'local'함
그걸 이어 붙인 움짤 전체는 'global'하고
'local'과 'global'의 의미는 그냥 직관적으로 받아들여도 됨. 한 순간과 전체 시간이라든지.. 등등
움짤의 'local'한 각 프레임에서는 두 물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지 알 수 없음. 그냥 그 순간의 위치, 속도만 알 수 있지.
그런데 프레임을 합친 'global'한 움짤에서는 두 물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는 중력과 관성력을 절대적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말이 아님.
'local'하게는 구분 불가능하지만, 이렇게 'global'한 관점에서 본다면, 중력과 관성력을 구분할 수 있다는 말임.
---
둥근 지구에서는 시공간이 구대칭적으로 휘어지게 됨.
공은 휘어진 시공간의 측지선(Geodesic line)을 따라, 우리가 봤을 때 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공의 입장에서는 수직아래로) 떨어지게 됨.
그러나 지구가 평평하다면 시공간이 적당히 z축 방향으로만 왜곡되어 있음을 생각할 수 있을 거임.
그래서 두 공이 측지선을 따라 떨어져도 둘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아, 저 실험 만으로는 중력과 관성력을 구분할 수 없음.
---
방금 위에서 자연스럽게 측지선이라는 말을 사용했음.
측지선 방정식이라는 텐서방정식을 풀면, 휘어진 공간에서 물체가 어떻게 움직일지 알려주는 측지선을 알려줌.
이 측지선은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를 알려주기 때문에, 휘어진 시공간 속의 사람에게는 직선으로 보임.
어려운 말들이 갑자기 막 튀어나왔는데, 그냥 '휘어진 시공간 속에서도 물체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음.
사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무슨 말인지, 왜 직선으로 보이는지 알 수 있을 것임.
---
잠시 전자기학 이야기를 해볼까 함.
아예 생뚱맞은 건 또 아닌 것이, 물리학에서 장(field) 이론은 전기장과 자기장으로부터 출발했으니까..
장과 입자는 상호작용을 함.
장은 입자에게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고(how to move),
입자는 장이 어떻게 펼쳐져야 하는지 알려줌(how to sway).
전자기학과 일반상대론의 각각의 장 이론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식이 있음.
전자기학에서 (how to move)는 로렌츠 힘이, (how to sway)는 맥스웰 방정식이 담당하고 있으며,
일반상대론에서는 측지선 방정식이 (how to move)를 알려주고, 아인슈타인 장방정식이 (how to sway)를 알려줌.
---
휜 시공간에서 물체의 운동을 어떻게 계산하느냐에 대한 문제가 남았음.
우리가 일반적으로 물체의 운동을 나타낼 때는 벡터를 사용함.
속도, 운동량 이런 건 다 벡터량으로 알고 있으니까..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음.
도대체 벡터를 휜 시공간에서 어떻게 다룰 건데?
화살표를 구부리나?? 시공간을 뚫고 최단거리로 가나??
이런 이유로, 더 이상 벡터를 '화살표'로 생각한다면 좀 곤란할 수 있음.
근데 뭐 직관적이니까 좋지. 나도 화살표 좋아함.
MBTI 맹신하지는 않지만 우리 학교 공식 MBTI 조사에서, 물리학과의 N(직관형) 비율이 타 과들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높긴 하더라..
---
휘어진 시공간이 있다면, 휜 시공간의 한 점에 대해 'local'하게 접하는 공간을 생각할 수 있음.
마치 미분을 통해 곡선의 한 점에 접선을 긋듯이, 곡면에 대해 접평면을 그리듯이..
이 접하는 공간 위에서 아주아주 작게 움직일 때는, 평평한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과 같은 상황이므로 우리가 알던 벡터를 살릴 수 있음.
이런 공간을 'Lorentzian Manifold'라 함. 이름이 뭐가 됐든 알게 뭐람? 아무튼
이렇게 우리는 그 점에 대한 'Lorentzian Manifold' 위에서는 물리를 할 수 있게 되었음.
그리고 'local'하게 접하는 'Lorentzian Manifold'를, 한 점을 넘어서 시공간의 모든 점에 대해 찾는 것으로 확장할 수 있음.
그러면 우리는 휘어진 시공간의 모든 점에 대해서 우리가 알던 물리를 할 수 있음.
이게 일반상대론의 아이디어임.
조금 느낌은 왔는가 모르겠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황당하네 ㄹㅇ 6
얼굴사진 보내줬는데 킹쁘긴한데 좀 쎄한 일진같아서 걍 차단함 뭐지 ㄹㅇ
-
공스타맞팔해요 15
저 부산사람아닌데맞팔거신 부산대분죄송해요 부산대도안다니고 부산사람도아닙니다 .....
-
마감당함 1
자러가라는거겠죠
-
흠 고민이네
-
무슨 예능만드는 사람들이라는데 사이비인줄알고 끝까지 의심했는데 아니었음 좋은 사람들이었던것같음
-
선넘질문받음뇨 12
답변은 제 맘대로 할거라 ㄱㅊ
-
딱 5년. 11
30살 쳐먹는 5년 뒤에도 변함없이 도태되어있으면 부엉이바위 가서 투신 라이브 켜야겠다
-
헤헤
-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시나요? 원하는 진로는 IB나 컨설팅펌인데 CFA를 준비해서...
-
장기 털리냐??ㅋㅋ 나 피드도 없고 하이라이트도 내렸는데 스토리도 얼굴나온거 별로 안올렸는데
-
ㅅㅂ좆됐네
-
확통 질문 1
같은 공 같은 그릇일뗀 안나오나요? 그리고 어떻게 구하나요?
-
한두명 제외하곤 내신만 해줬더니 별 생각 없이 문제집 난이도만 고민했는데 미안하다 애들아
-
개인시간에도 짬내서 공부하심?
-
실상은 별거 없음
-
난 자존감이 낮아져야하나 싶기도 하고 좀 이상해 한 게 아무 것도 없는데 뭐가 그렇게 기분이 좋지
-
26은 원래 응시예정 없었고 27수능만 고려중이었는데 입시에서 손 놓았더니 점점 안...
-
이런 집착은 개좋음 11
내 이상형인 여친이 이러면 개귀여울듯
-
전형태랑 너무 안맞음
-
저요
-
쪽지 보냇어요 0
확인 좀
-
마무리 제대로 하고 싶어서 한 시수 추가함 하 다음주면 진짜 끝 내일 일정...
-
아.
-
군대갔다와서 차 한대 뽑아야지...
-
241122 171819 가형 30이랑 비빌만 한듯 7
지금 미적 어려워서 어지간한 가형 30번급은 되나 171819는 성역마냥 동급이다란...
-
옛날 옛날에~
-
어차피 sm명함받은 의대생은 얼굴이며 머리며 스펙이 저희들보다 훨씬 뛰어나서...
-
책장 ㅇㅈ 2
하하..
-
똑같은 사진 넣어도 이럼 근데 40 위로는 절대 안 가는걸로 봐선 범위는 대충...
-
한의대 사1과1 3
한의대랑 약대 생각중인데 한의대때메 사2하려다가 약대는 과1사1 이 유리하대서...
-
어디 가버림 나홀로 남음 내가 줠라 올려도 아무도 안봐주겟지 슬프네
-
저는 수시로 넣으렵니다푸욱푸욱
-
아시발 2
실모존나어렵네 에휴
-
죽기싫어 3
그럼 죽어라니
-
군수 0
공군 vs 해군 전자병 뭐가 더 나음
-
수능 이지하다 2
찢어버려야지
-
알려죠
-
수능 어려우다 2
포기하ㄴ다
-
재밌는거 추천 좀 10
너무 심심함
-
발이 피곤하구나 마사지가 필요햐
-
취미 ㅇㅈ 5
아주 간단한 코딩하기
-
오렌지를 먹은지 3
얼마나 오렌지
-
건국대 학사정보시스템 쳤는데 글로컬만 쳐띄우고 있네
-
241122 이런 식으로 말하면 다 뭔지 아시나요 10
전 xx11xx 는 다 가능한데 xx06xx나 xx09xx는 한 절반 정도 아는듯
-
한 사람이 댓글 하나만 가능 옛날엣날에 오르비언이 살았어요
-
나의 인생을 나에게 맞추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1143000004...
-
가형? 7
"B형."
옛날에 썼던 글 살짝 수정해서 재업함
이과에 물리러지만 못알아들어서 울었어
재밌어요
물리 포기하기 잘했다
와 미기!
표기법 멈챠~
기분미하 ㄷㄷㄷ

3줄요약좀안 읽어도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