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극사기 왔당 1
때깔 좋은거 봐라 ㄷㄷ 삼도극 다 뒤졌다
-
뭐할까
-
아직 책 내용 다 체화하지도 못했는데 드릴1 드릴2 작년4규 푸는데 그냥 슥삭슥삭임 ㄹㅇㅋㅋㅋㅋ
-
ㅇ 오르비에서 보신 분들은 보셨겠지만 이렇게 번장계정이 탈퇴되어있네요 정말 잡긴...
삼극사기 왔당 1
때깔 좋은거 봐라 ㄷㄷ 삼도극 다 뒤졌다
뭐할까
아직 책 내용 다 체화하지도 못했는데 드릴1 드릴2 작년4규 푸는데 그냥 슥삭슥삭임 ㄹㅇㅋㅋㅋㅋ
ㅇ 오르비에서 보신 분들은 보셨겠지만 이렇게 번장계정이 탈퇴되어있네요 정말 잡긴...
비유전 좀 헤까닥하는데 잡기 좋은가요? 생1은 독학서가 전멸이라..
맞아요 워낙 독학하기 어려운 과목이라 ㅠ
교재 구성도 곧 소개해드리려구요!
잠깐 댓글을 빌리자면 질문 남겨주시면 이클립스 님이 밤 쯤 한꺼번에 답변을 다 달아주실 겁니다.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1. 몇월 즈음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2. 작수 끝나고 개념쪽을 많이 까먹은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기억나고 크게 헷갈릴 요소가 많이 없는 부분 -> 바로 수특 보기
조금 많이 까먹고 헷갈릴 요소가 많은 부분 -> 해당 부분 인강 골라 듣고 기출, 수특 보기
정도면 괜찮을까요??
출시는 4-5월 안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상반기가 기출을 공부하기 좋은 시즌인 걸 알아서 빠르게 출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개념 인강은 개인적으로 비추천합니다. 어느 정도 베이스가 있으시다면 효율이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요! 물론 개념 노베라면 얘기가 다르지만요.
필요한 부분 골라 듣는 정도는 괜찮겠지만 생각보다 얻어갈 부분이 아주 많지는 않으실 거에요. 개념 정리는 가볍게 수특으로 봐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김사합니다!!기대 좀 하겠습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ㅎㅎ
하.. 물1 가려고 했는데 남아야 하나
물1보다는 생1이라고 과감히 말씀드립니다
제가 딱 비유전 다 맞고 유전에서 머리 깨지는
2등급따리인데
2->1 만들기가 너무 어려워서 물리 넘어가려고 했거든요...
다시 한 번 해보는 게 맞을까요

N제 풀다가 5ㅇ월이나 6평 끝나고쯤 기출 정리하고 방법도 새롭게 배워갈겸 할만하겠죠?그나저나 전원 인설의는 대박이네요,,
아마 얻어갈 수 있는 부분이 진짜 많으실 거에요 !
내일 교재 구성에 대해서 글 쓸 것 같은데 정말 알차게 구성했습니다 ㅎㅎ
독학올인원이라기보단 개념때고 기출 풀어본뒤에 들어가는 심화같은 느낌이겠죠?
사실 컨셉 자체가 컴팩트한 개념서로써의 활용성 + 독학으로 생명과학1 20문항을 다 풀 수 있게끔 하는 거에요. 올인원에 가깝긴 해도 개념 1회독 정도는 한다면 더 쉽게 다룰 수 있을거에요!
ㄱㅈㅇ~~~
ㄱㅈㅇ !
자세한 교재구성 언제 글 올라오는지 궁금해요!
사실 이미 올릴 글은 작성해두었고 내일쯤 올릴 예정이에요 ㅎㅎ 기대하셔도 좋아요
시중 교재의 어느포지션에 해당하나요?
기출의 파급효과면 기출 포지션인가요?
생명 공부하는 사람들이 다른 책 아니고기파급을 사야하는 이유는 뭘까요?
기본적으로 기출 분석서에 속합니다만 기출을 제외하고도 얻어갈 부분이 광장히 많을 거에요. 내일쯤 올릴 칼럼에 구체적인 교재 구성이나 도서 사용법이 올라갈 예정입니다. 다른 책들과의 차별성은 보장합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1.생명 유전 공부법은 최대한 새로운거 많이 풀면서 스스로의 풀이법을 확립하라는데 이게 옳은건가요?
2.비유전 문제에서 헷갈리는 선지들이 가끔씩 툭툭 나오는데 이런부분들은 어떤식으로 메꾸시나요?
유전은 풀이의 유연성이 갖춰졌을 때 완성된다고 생각해요. 다만 풀이의 우열이 존재하는 만큼 '일반적으로 좋은 풀이'에 익숙해졌을때 보이는 시야가 더 넓어질 거에요!
만약 사설에서 비유전 선지가 문제가 되는 경우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봐요. 기본적으로 생명과학은 지엽적인 개념으로 변별을 주는 과목이 아니니까요! 다만 기출 선지에서도 헷갈린다면 개념의 구멍이 있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아요! 내일 올라갈 생명과학 칼럼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ㅎㅎ
멋져용

동기끼리 훈훈하시네요슬롭님도 너무 멋지신
고마워요

기대중와 슬롭 님과 대학 동기라니..ㅎㅎ
진짜 나오면 바로 산다
그 선택 후회하지 않을거에요. ㅎㅎ
개인적으로, 시간이 부족해서 탐구과목중에 생1이 가장 만점받기 힘들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공부해야 생명을 만점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스킬을 사용하더라도 논리를 좀더 치밀하게 짚어가며 공부하고 비유전14문제를 10분안에 풀 수 있게 하는게 시작인가요?
추론형 문항을 제외한 14문제를 10분 안에 푼다도 맞는 말이지만 좀 더 자세히 얘기하면 일반적으로 20문항을 안정적으로 다 풀려면 7-8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만점을 노리는 경우는 타임어택을 제외하고도 신유형에 대한 접근이나 논리력, 귀류의 타이밍 등 고려할 요소가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짧은 답글 형식이라 추상적으로 밖에 얘기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리고, 관련해서는 생명과학 칼럼으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전달하도록 노력할게요. 관심 가져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선배님 너무 멋있으세요...ㅎㅎ
고마워요!

응원합니다!감사합니다 !! :D
제가 생각하는 구성인데
어지간하면 맞지 않을까요 ,,,?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고 시퍼여
작년에 실모 그래도 한 50회분은 푼 것 같은데
혼자하니 확신이 안섬 ㅜㅜ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유형별 출제 문항 수는 거의 고정적입니다. 저랑 분류가 정확히 동일하지는 않은데 혹시 더 관심 있으시면 쪽지 남겨주셔도 좋아요!
쪽지드렸네여!!
물리 버리고 생명 선택했을때의 메리트가 어떤게 있을까요?
아무래도 생명과학이 과목적 특성이 워낙 뚜렷하다보니 학습자에 따라 많이 다른 것 같아요. 관련해서 칼럼도 올릴 예정이니 참고하셔서 선택하면 좋을 것같아요!
저는 생명을 정말 좋아하지만 물리보다 생명이다!라는 건 장난이에요... 사람마다 다를겁니다.
물리보다 생명이라고 말씀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둘 다 노베라는 가정하에
아무래도 생명과학이 과목적 특성이 워낙 뚜렷하다보니 학습자에 따라 많이 다른 것 같아요. 관련해서 칼럼도 올릴 예정이니 참고하셔서 선택하면 좋을 것같아요!
저는 생명을 정말 좋아하지만 물리보다 생명이다!라는 건 장난이에요... 사람마다 다를겁니다.
천천히 나오셔도 좋으니 오타만 잘 부탁드립니다.
신경 많이 쓰겠습니다 !
ㅠ 빨리 나오면 좋을거같은데 ..
나오는 날짜에 봐도 괜찮은 책일까요?
권장 1회독 기간은 얼마나 잡으시나요?
독학서인 거예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