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제일국어대회] 2015학년도 수능 국어 B형 '칸트의 취미 판단 이론' 해설 2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009348
안녕하세요. 국어와 사탐 자료를 만드는 여러분의 귀요미 스터디 메이트 인터넷 공부 친구입니다.
UR독존님이 개최하신 천하제일국어대회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류나 오타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1부는 이미 작성되어있으니 2부를 보기 전에 보고오세요!(클릭시 이동)
'중요한 것은 취미 판단이 기본적으로 공동체적 차원의 것이라는 점이다.'
-> 솔직히 저는 이 문장 읽고 좀 '어?' 했습니다. 왜냐하면 앞선 문장들에 의하면 취미 판단은 주관적인 감정에 의한 것인데, 공동체적이라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보편성'과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위대한 철학자로 손꼽히는 칸트가 쓸데없는 소리는 하지 않았을 터이니, 좀 더 읽어보죠.
'순수한 미감적 태도를 취할 때, 취미 판단의 주체들은 미감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구성원들 간에는 ‘공통감’이라 불리는 공통의 미적 감수성이 전제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순수한 미감적 태도를 취할때'는 '취미 판단'을 할 때라고 바꿔 읽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칸트에 의하면 취미 판단은 순수한 형식의 관조에서 비롯한다고 보았거든요.
따라서 칸트에 따르면 어떤 한 개인이 취미 판단을 할 때 그 개인은 다른 개인들과 미감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마치 내가 어떤 대상을 보고 '아름답다.'고 판단할 때 내가 속해있는 미감적 공동체의 다른 개인들도 내가 본 대상을 보고 취미 판단을 할 때 '아름답다.'라고 판단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미감적 공동체에 속해있는 개인이 취미 판단을 하는 미적 감수성은 '공통감'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공통감(感)은 어떠한 '개념적인 것' 혹은 '지식으로 통용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한 느낌일 뿐입니다.
'이때 공통감은 취미 판단의 미적 규범 역할을 한다. 즉 공통감으로 인해 취미 판단은 규정적 판단의 객관적 보편성과 구별되는 ‘주관적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어떤 주체가 내리는 취미 판단은 그가 속한 공동체의 공통감을 예시한다.'
-> 미감적 공동체에 속한 개인들은 그 집단에서 통용되는 공통감을 기준으로 미적 판단을 하기 때문에 공통감은 그 미감적 공동체에서 취미 판단의 미적 규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취미 판단은 앞서 말한 것 처럼 개념 혹은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적 보편성'(규범적 판단의 근거가 되는)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보편성'을 지닌다는 겁니다.
단순히 말하자면 내가 에펠탑을 보고 '에펠탑은 아름답다.'라고 취미 판단을 했을 때, 내가 속한 미감적 공동체의 개인들도 '에펠탑은 아름답다.'라고 취미 판단을 할 것이라는 겁니다. 더 쉽게 말하자면 내가 그렇게 판단하면 (같은 미감적 공동체에 속한)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판단할 것이라는 거죠. 물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미감적 공동체가 공유하는 '공통감' 떄문입니다.
따라서 내가 그렇게 판단하면 남들도 그렇게 판단할 것이기 때문에 내 취미 판단의 근거인 공통감을 보면 같은 미감적 공종체에 속한 다른 개인들의 공통감도 알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칸트가 궁극적으로 지향한 것은 인간의 총체적인 자기 이해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충실한 답변을 얻고자 한다면, 이성뿐 아니라 미적 감수성에 대해서도 그 고유한 원리를 설명해야 한다.'
-> 칸트가 결국 취미 판단의 과정을 분석한 이유는 인간을 이해하기 위함이였군요. 따라서 미적 감수성이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객관적 타당성은 이성의 미덕인 동시에 한계가 되기도 한다. ‘세계’는 개념으로는 낱낱이 밝힐 수 없는 무한한 것이기 때문이다.'
-> 객관적 타당성은 이성이 가진 미덕이긴 하지만, 동시에 한계가 되기도 한답니다. 왜냐하면 '세계'는 개념으로는 낱낱이 밝힐 수 없는 무한한 것이라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걸 다음과 같이 풀어서 이해했습니다.
이성이 가진 객관적 타당성이 좋기는 하지만,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세계는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도 없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애초에 이성이 취미 판단의 원리를 설명하지도 못하는게 '세계'의 개념들을 '모두' 설명할 수 있을까요?
'반면 미적 감수성은 대상을 개념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역으로 개념으로부터의 자유를 통해 세계라는 무한의 영역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 즉 미적 감수성은 이성적인 것은 아니지만, 개념으로부터 자유롭기에 이성보다는 더욱 많은 것들을 설명할 수 있다고 칸트는 말합니다.
'오늘날에는 미적 감수성을 심오한 지혜의 하나로 보는 견해가 퍼져 있는데, 많은 학자들이 그 이론적 단초를 칸트에게서 찾는 것은 그의 이러한 논변 때문이다.'
-> 마지막은 닫는 글로 이루어져있네요. 단지 칸트의 이론이 후대 학자들에 의해 더 발전되었다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제 문제를 보죠!
①: 아뇨, 칸트는 미감적 판단력(미적 감수성)과 규정적 판단력(이성)의 작동 원리가 다르다고 보았습니다. 심지어 두 번째 문단은 완전히 두개에 대한 비교/대조로 점철되어있죠.
②: 아뇨, 칸트는 이성에 의한 지식, 즉 이성이 개념을 기조로 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객관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③: 아뇨, 칸트는 취미 판단의 결과가 '객관적 지식'을 창출한다고 보지는 않았습니다. 초기 근대의 합리론 학자들이 미적 감수성에 관심을 두지 않은 것도 이때문이죠.
④: 아뇨, 오히려 근대 초기는 합리론 학자들에 의해 미적 감수성에 대한 관심이 뜨뜻미지근 했던 시기였습니다.
⑤: 그렇죠, 칸트는 미적 감수성에 대한 원리를 규명하여 인간의 총체적 자기 이해를 시도했습니다.
①: '이 장미는 아름답다.'는 장미(S)를 아름답다(P, 미)라고 했기 때문에 취미 판단에 해당합니다.
②: '유용하다'는 미 혹은 추의 판단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다.'는 취미 판단 명제의 술어가 될 수 없습니다.
칸트는 '유용함'이 취미 판단에 개입해서는 안된다고 보기도 했고요.
③: 칸트는 취미 판단이 오직 '한' 대상에 대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모든 예술'은 취미 판단 명제의 주어가 될 수 없죠.
④: '이 영화의 주제는 권선징악이어서 아름답다.'는 영화의 형식에 정초하여 판단한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용, 즉 형식이 아닌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 영화의 주제는 권선징악이어서 아름답다.'는 취미 판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정답이네요.
⑤: '이 소설은 액자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단지 소설의 형식에 대한 지식일 뿐, 취미 판단 명제는 아닙니다.
①: 개념적 규정은 이성을 통한 것(규범적 판단)이기 때문에 취미 판단을 가능하게 하지 않죠, 틀린 선지입니다.
②: 미감적 공동체의 개인들이 공통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개인들이 동일한 취미 판단을 하는 겁니다. 정답이네요.
③: 특정 예술 작품에 대한 사람들(같은 미감적 공동체에 속한)의 취미 판단이 일치하는 것은 필연적인 겁니다. 왜냐하면 미감적 공동체에 속한 개인들이 동일한 공통감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내가 그렇게 판단하면 남도 그렇게 판단할 거에요.
④: 공통감을 '미감적 공동체의 미적 감수성'으로 말만 바꿔서 냈네요.
⑤: 칸트는 취미 판단에 다른 어떠한 것은 일체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정답이네요.
이상으로 해설을 마치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자료 혹은 칼럼 글만 올립니다!
팔로우 하시고 좋은 글 보세요!
0 XDK (+100,000)
-
100,000
-
보통 어떤게 더 어려울까요 ? 국어 2등급 vs 과탐 3등급 이내 (대신, 과탐은...
-
줄줄이 탈릅 5
-
하고 매일 집앞에서 무릎꿇고 있으면 잡혀가나요
-
전 한의대 지망이라 ㅇㅇ
-
피곤하다하면 조퇴시켜주낭 조퇴한다는건아님뇨
-
정상화 끝날듯ㅋ
-
젖지대머리.
-
맛점해요 0
말할 곳이 없네요 이젠 맛있는 점심드세요
-
루트야 그만나와 11
저리꺼져
-
알몸으로 돌아다니는 중 12
사람들이 동물원에서 탈출한 동물마냥 쳐다보는게 설레노
-
22구거 현장응시하신분 17
제일 멘탈 털렸던 비문학 지문이 뭐였음
-
6평 목표는 2
국수영1등급 탐구는 버린다
-
이차곡선 2
말썽쟁이..
-
배경지식 없어도 논리적으로 해결 가능한건 맞는데 저처럼 평소에 관심 많음+경제...
-
너네 무관대잖아 ㅋ
-
요즘 글들이나 댓글 보니까 빡치진 않고 걍 웃기거나 귀여운게 많음
-
경@마식보도 못참는데;;;
-
의학적으로 이새끼한테 kfc랑 빅맥이면 건강식인듯 나머진 다 당폭탄이네 ㅅㅂㅋㅋ
-
하루면 뭐.. 내신 공부에 차질 없어서 다행인 듯
-
수능 6모·학평, 대선 일정 따라 6월 4일로 하루 연기 5
오는 6월 3일이 대통령 선거일로 결정됨에 따라 당초 이날 예정됐던 고교...
-
점심 우동먹을까 짜장면먹을까
-
유전은 스킬이라도 쓸수있는데 신경전도는 어떤 논리를 써서 풀어야하고 어떻게...
-
존나 어렵네... 와... ㅋㅋㅋㅋ
-
아
-
처음엔 ㅈ밥이네 했는데 30번대 문제는 무슨 한 문제 빼고 안보이니깐 푸는데...
-
수업듣기싫어요 2
졸려요
-
한 학년당 수십명인 시골 학교는 1등급이 없나 그럼
-
오늘 학교에 6모 접수하러 오기 전에 함
-
가능한가요 궁금합니다
-
찐 농어촌 <<< 애들 없어서 수시내신도 못땀 (한학교 한학년 인원이 두자리수;;)...
-
생1 화2 2
어떤 게 났나요? 생1 개념은 끝내놨는데 화2도 염두 해두고 있습니다. 작수 화1...
-
와씨 해결했다 3
한 번 이걸로 칼럼 써볼까... 원래 쓸 생각 없었는데...
-
6평
-
6평 연기? 0
확정이겠지?
-
고2이고 정시까지 준비중입니다 쎈 풀었고(C단계까지 잘 풀려요) 고2자이는 학원에서...
-
비독원 어드 끝나면 이원준 독서 들어보고 싶은데 Rnp 건너뛰고 브크부터 들어도...
-
지쳤따..
-
저는 현역 수험생이고 평소에 집이나 스카에서 공부하고 있었는데 강제성이 없어서 계속...
-
23국어 만점자랑 수학 만점자 비슷하게 내고 싶다고? 0
https://m.cafe.naver.com/pnmath/3811771 재앙을 알려주겠다
-
(오피셜) 수능 모의평가 6월 3→4일로 순연 조기 대선일이 6월 3일로 확정됨에...
-
확통 과탐 받아주나요
-
내 방에 진짜 영원히 안 쓰는 물건들이 쌓여 있는데 1
왜 버리지 못할까 오늘 저녁에 2년 이내로 안 쓴 것들은 가격이나 용도 뒤도 안...
-
읔ㅠ 나도 리밋알파
-
자매품으로 기균메타도 있음
-
거 화력 되게 오래가네
-
수도권쪽은 아직 시작도 안했나요
-
그냥 농어촌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 하면 좋을거 같은데 3
그냥 n수생이라 배배 꼬여서 이해당사자 아니라고 감정배설하며 저주 퍼붙는거 같은...
-
기초개념,기출학습 완료했는데,실전개념 강의를 지금부터 모두 듣긴 부담스러워서 한완수...
-
https://youtube.com/shorts/KnK18jxz0G0?si=IVDVs...
참가 확인되셨고 너무 고생많으셨어요!!
허허 감사합니다...내일 오전 8시 수강신청인데..이제 자야겠어요..
수강신청 올클 기1!!! ㅎㅎ
감사합니다..ㅎㅎ

저 4문단 이해하기 어려웠음...내용이 좀 약간 다른데로 간거 같기도 하고..
솔직히 저긴 저 주장에 대해 '~그렇다더라' 식의 서술 느낌이 나서 그냥 받아들였어요
'그랬구나~'하고

혹시 제꺼 읽고 피드백 해주실 수 있으신..??제가 내일 오전 9시 수강신청이라
지금 자야해서..
내일 읽고 해드릴게요!!

낼도 괜찮아요!올클 기1...!!
아 오타 사실 8시임...ㅎ
감사합니다 님도 올클 기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