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칼럼) 국어 글을 읽는 속도에 대하여 + 국어 관련 무물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765675
주의: 이 글은 칼럼이 아닙니다.
22학년도
국어
수능 원점수 89 1등급
얼마 전에 친구가 글을 읽는 속도를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글 한 줄을 읽는데 1~2초? 정도 걸리더라고요. 그걸 본 이후로는 사람들이 글을 얼마나 빠르게 읽는지 조금 혼란스러워졌습니다. 본인 입으로는 자기가 조금 빠른 편인 것 같다고 하기는 했는데, 주변에 공부 잘하는 애들 보면 왠지 다 그 정도 속도로는 읽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말이죠. 왜냐하면 참고로 저는 고1부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모의고사 국어, 영어 지문을 전부 정독해본 적이 없거든요. 그럼에도 항상 시간 꽉꽉 채워서 풀어냈습니다.
남들이 도대체 어떻게 글을 읽는지, 얼마나 빨리 읽는지, 그리고 이를 위해 어떤 노력들을 했는지를 모르니까 도대체 어느 정도 속도, 실력까지가 재능인지, 어느 정도를 해야 시험을 잘 볼 수 있는 건지 감이 잡히지 않네요. 이런 거 궁금해하시는 분들 계실지 않을까 싶어 제 읽기 속도와 방법 한 번 공유해봅니다.
평상시 읽는 속도는 제가 말하는 속도랑 비슷하거나 조금 더 빠른 수준이고(속으로 읽으면서 읽습니다.) 평소에 말하는 속도도 굉장히 느린 편이라 아마 수능 국어 지문 제대로 이해하면서 정독하면 5분 정도는 잡아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근데 어떻게 시험을 잘 보느냐. 저는 무조건 훑어 읽습니다.(근데 나무위키 보니까 이런 것도 속독의 방법 중 하나인가 보더라고요?) 훑어 읽는데 걸리는 시간은 30초~1분 정도? 문제 세트 대충 훑고 지문까지 훑으면 키워드랑, 각 문제별 필요한 본문의 문단들 체크하고,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서문 별 내용 없으면 가볍게 건너뛰고, 그 다음부터는 문단과 거기에 해당하는 문제들을 바로바로 참 거짓 비교해 가며 풉니다. (제가 단기 기억력이나 빠른 이해 능력은 딸리는 편이라 이런 방식으로 푸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이렇게 풀면 가끔씩 사소한 내용들을 놓치거나 결론 문단에 나오는 문장을 못 찾아서 시간 잡아먹을 때도 있지만, 많이 익숙해진 편이라 그 정도는 빠르게 헤쳐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서본결, 본론 안에서의 테마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글에서 독이 되어 헤매거나 실수를 남발할 수 있고, 글의 절반에서 1/3 가량을 안 읽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강력한 배경지식이 필수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배경지식이 아주 얄팍한 경제 지문에 취약한 편이고, 22 수능에서 브레턴 우즈 지문의 문제들 중 절반을 틀리는 치명적인 참사로까지 이어지고 말았습니다.
올해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보고자 이원준T를 들을 생각입니다. 커리큘럼이 너무 무겁고 방대하지도 않으면서 다소 체계적이지 못 했던 스키마를 가다듬는데 도움이 많이 될 듯합니다. 현재의 문제풀이 방식을 버릴 생각은 아직까지 없지만, 생각의 틀이 바뀐다면 그에 맞춰 문제 풀이 방식도 바뀌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비문학보다는 문학이 더 큰 문제인데, 문학은 윤혜정 쌤의 수특 문학 강의 들으면서 수특 문학 작품들 찾아보는 방식으로 공부해야 할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비문학 책을 훨씬 좋아했던지라 문학 글을 읽는 것 자체가 익숙하지 못 한 점이 문제인 것 같아서요.
어...음 원래 미니 칼럼을 쓰고 싶었는데 그냥 자기 자랑 및 공부 계획 글이 되어 버렸네요. 사실 칼럼에 무슨 내용을 써야 하는지 몰라서요.
댓글에 본인의 국어 읽기 방식 공유해주시거나 저한테 공부 관련해서 아무 질문이나 던져주세요. (힘닿는 데까지 대답해드릴게요.)
혹시 한참 지나서라도 궁금한 거 있으면 물어보세요. 탈르비 한 거 아닌 이상 답해드릴게요.
칼럼도 아니면서 어그로 끈 글 마치면서 공약 두 개 걸겠습니다.
좋아요 14개
원래 쓰고 싶었던 영어 단어 모르면서 1등급 맞을 수 있었던 능지 칼럼 제작(이번주 or 다음주, 이 칼럼 같은 똥글 쌀 예정)
좋아요 50개
국어, 영어 문제 풀이 영상 제작
이 글이 좋아요 13개 받길 기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시 재탕한다하면 ㅇㅇ
-
엠창 새끼가 와서 지랄이냐 ㅋㅋ
-
텡글다희 4
텡글다희 금지어네 ㅋㅋㅋ
-
저메추 4
-
그것이 자기가 만든 피조물에 대한 기대니까
-
uaa컨 말고는 없나
-
속도(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시립대로 163)' 가속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시립대로...
-
ㅇㅇ
-
유전 극복하는데 얼마나 걸리냐는 글보고 궁금해져서 물어봄 생1??? 임? 사탄은...
-
도함수가 저렇게 x0일때로 나눠서 정의되고 X0에선 1에서 근을 가지면 원함수는...
-
n티켓 -> 드릴 -> 설맞이 -> 하사십 더 넣거나 순서 바꿀거 있나요? 미적...
-
쉬워진건지 내 실력이 오른건지 모르겠네..... 옛날엔 한두개씩은 틀렸는데 거의 안 틀림
-
이걸 첫수업 첫학생때부터 했음 모고 한 30세트정도 쟁여뒀다가 학생한테 고르라고...
-
절대값으로도 해줘잉...
-
주목하라! 4
현우진의 야발점은 수학적 사고체계 완성의 시작이자 목표를 향한 새로운 도약의 출발점이다.
-
어때요 예쁘죠?
-
f(x)가 다항함수라는 보장이 없다면 f'(x)에서 f(x)로 못바꾸나요?
-
국어 수학 과탐 장족의 발전이 있었다. 10시 못 채워도 매일매일 가는게 중요한것 같음.
-
내가 작수 4에서 올렸거든... 다만 미적분에 7할이상 쏟을 각오는 해야댐
-
부산대성 개좋네 1
왜 서울엔 실모반 안 만들어주냐
-
열등감느껴진다미친거아닌가
-
7덮 ㅅㅂ
-
하.
-
오래걸리긴한데
-
적분이 더 야함.. 특히 구분구적법.. 이놈은 아무것도 없는 맨 식에 시그마만...
-
데뷔 3주년
-
명예의전당 1 2 3위 다 차지하셨네
-
갈수록 버티기가 힘든거 같아
-
2년전임wwwwwww
-
현역 고3인데 국어는 항상 1 유지했고 기출을 제대로 안해봐서 확실하게 잡으려고...
-
고2 18,19,20보다 쉬운거같음,, 애초에 번호순서가 다르긴한데
-
전자 후자
-
돌아오긴 했지만 2
활동은 예전 보다 줄일려고요
-
암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고 아픈 사람들이 없었으면 좋겠음. 개인적인 바램임.
-
수학! 문제 조은가요??? 25만원이던데 살까고민중 해설강의도 어떤지궁근해여
-
이것이 개념이다 12주차중 6주차까지 완벽 암기,이해했는데 양이 많고 늦다고 해서...
-
복귀 11
생각보다 빨리 왔음 이름도 바꿈 내인생 혼자 레벨업 할려고
-
. 9
-
완전 노베에서 최고난도 킬러들 빼고 대부분 맞추는 실력이 되기까지 내신땜에...
-
영어 질문 0
5번 왜 안되나요? 2번이랑 같은 말 아닌가요? 결국 정보를 공개한다는건 시장을...
-
뉴런vs아이디어 7
님들은 뭐가 더 낫다고 느꼈음? 근데 둘다 실전개념 포지션 겹쳐서 두개이상 들어본...
-
아 1
30번 시간투자 개많이 했는데 못풀었다
-
나만그런지 모르겠는데 멜론 탑100중 아는노래 10굑도 안될듯 8
무슨시발다아이돌
-
d까지 쌓인다음에 관입해도 관입암이 저렇게 평평할 수 있나요??_
-
?-? 2
-
와우
-
제 얘기는 아니고 제친구랑 오늘 밥먹다가 미적 평균 4정도이고 틀리는 비율은 둘이...
저랑 좀 비슷하신듯? 훑으며 날려읽고 3점킬러 나올거같은 문단(보통예시or심화)은 체크만 하고 뛰어넘고 다시돌아옴 이러면 잔실수가 많아지는데 그걸 공부하면서 고친다는마인드 오히려 꼼꼼히읽고 다시 안보고 푸는걸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음 딱 1컷정도 나오는데ㅠ
저 같은 경우에는 문제 먼저 읽고 읽는 전략 짜는 게 실수 줄이는 데 조금 도움 되었고요, 올해는 정독하는 법도 따로 공부해보려고요. 근데 다시 돌아오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오히려 다시 안 보고 푸는 애들이 실수 더 많이 하는 것 같더라고요. 저희 학교 국어 쌤(ebs 출신) 왈 "본인의 기억력 믿다 큰코다친다" 라고 하셨습니다.
반복적으로 실수 줄이는 연습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혹시 나중에 제가 영상 찍게 되면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용
와 제가 3수하면서 고민중인거랑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계시군요.이런 본질적이고 심도잇는 고찰 아주 좋은글인거같네용.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시간 날 때마다 이런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ㅎㅎ
좋아요 30개 감사합니다!
원래부터 국어 잘하셨나요?

어렸을 때 특히 비문학(과학) 책 많이 읽었어서 읽는 속도는 조금 느려도 필요한 내용을 뽑아 읽거나 간추리는 능력을 많이 습득한 것 같아요. 덕분에 따로 연습 안 해도 고등학교 3년 동안 모의고사에서 비문학 틀린 개수는 손에 꼽힐 정도고, 항상 문학 1~3개 틀려서 1등급 맞았습니다. 혹시 다른 분들이 이 댓글 보실 수도 있으니 첨언 조금만 하겠습니다. 많은 독서를 통한 본인만의 읽는 방법 정립과 피지컬 향상이 중요한 편이라고 생각하는데, 신문 기사 읽는 게 피지컬 향상과 배경지식 습득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느낍니다. 특히 네이버의 경제나 과학 창에 뜨는 칼럼들이 그 주제가 수능 비문학과 상당히 유사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프사 티벳여우 귀엽군요!
헉,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