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AUse [989486]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2-02-13 14:09:19
조회수 1,847

이번 모 대학 파산설과 관련해 기업재단과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746378

의외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대학교는 파산할 가능성이 더 낮음


법적으로 기업이 대학교를 직접 소유하는 건 불법이라 대부분 대학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는 대신 이사직과 경영권을 가져오는 계약을 하기 때문에 모기업이 파산하면 단지 연결고리가 끊어질 뿐 대학은 살아남음


예를 들어 성대는 삼성이 아닌 삼성문화재단이 경영에 참여하고 있고 중대도 두산이 지분을 가지는 게 아니라 이사회에 참여해 경영권을 행사함


실제로도 대우그룹과 쌍용그룹이 아주대 국민대 경영에 참여했지만 두 기업이 해체된 후에도 두 대학은 건재하고 있는 게 좋은 예시임


그렇지만 문제가 없다는 건 아닌데, 인하대-한X해운 사건처럼 모기업이 흔들릴 때에 대학 재정으로 모기업 회사채를 구입하거나 이번에 문제가 되는 ㅁㅈ대처럼 대학 재정을 불법적으로 인출하는 상황을 직면할수도 있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kakakkak · 1108645 · 22/02/13 15:16 · MS 2021

    대신 기업의 지원이 빠지면 경쟁력이 예전같지 않겠죠

  • beCAUse · 989486 · 22/02/13 15:29 · MS 2020

    그건 맞죠. 다만 학교가 공중분해되는 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모기업이 흔들리면 경쟁력이 악화되는 것 뿐만 아니라 불법적인 자금 인출을 맞이할 수도 있죠.

  • 으에대지러디어앶 · 1054708 · 22/02/13 15:56 · MS 2021

    와 한진 생양아치들이네 ㅋㅋㅋ

  • beCAUse · 989486 · 22/02/13 16:09 · MS 2020

    당시에 그래서 100억대의 학교 돈이 공중분해됐다고 하더라고요 ㅋㅋㅋㅋ

  • 현대뿜뿜 · 1129054 · 22/02/13 18:21 · MS 2022

    기업파산과 관련 없다는 설명이 흥미롭네요.
    기업과 학교법인이 재무적으로 완전 분리네요.
    그럼 기업이 갖고 있다고 파산가능성이 낮다는 것도 관계없는거 아닌가요?
    학교법인이 투자를 잘못해서 파산하면 모기업과는 별개인가요?

  • beCAUse · 989486 · 22/02/13 19:55 · MS 2020

    그 부분은 제가 설명을 생략해버렸네요. 보통 대학법인이 파산하는 경우는 소유주 일가의 재단 비리로 학교 재정을 빼가는 게 원인이 되는데, 이들은 가진 게 대학밖에 없어서 여기서 수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면서 대학법인에 손해를 끼칩니다. 반면에 기업에서 인수한다는 것 자체가 재단전입금을 일정 이상 지급해 학교에 투자하겠다는 것과 같고, 대학을 인수할 정도의 기업이면 수익성 많은 다른 사업도 있을텐데 굳이 어떠한 이득을 취하려고 대학까지 인수해서 자금을 빼갈 이유가 딱히 없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적었습니다.

    물론 대학교에 투자할 의지도 없는 기업이 무리하게 인수하고 대학 재정을 악화시키는 상황도 일어날 수는 있긴 합니다. 실제로 ㅁㅈ전문대 인수자로 등장한 기업은 여러모로 의심스러운 계약을 체결했는데 그런 기업법인이라면 학교 운영을 파행적으로 할 가능성이 크겠죠. 그리고 학교법인의 잘못된 투자로 파산이 발생한다면 그것도 모기업과는 관련이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