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일까<공부>유전일까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16814
-유전자 결정론(고승덕 칼럼펌)-
한국에서 '성공'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길은 '공부'라 할것이다. 아닌게 아니라 공부는 누구나 할 수 있는것이고, 그 접근성이 용이하므로 신분 내지는 부의 여부에 구애받지아니하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 한국은 의무교육을 시행하고있으며 현재 고등학교 수준의 의무교육 내지는 무상교육도 논의중인것으로 알고있다.
여기서 '누구나 할 수 있다'와 '접근성이 용이하다'라는점이 중요한데, 공부이외의 성공루트 예컨데 예체능의 경우, 선천적 유전자의 여부와 그 작용이 상당하고 또 대다수의 사람들 스스로 그러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공부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고, '꾸준한 노력'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과연 이러한 생각은 옳은 것일까?
흔히 작심삼일이란 말을 종종 사용한다. 작심한것이 삼일을 체 못가는 혹은 오래가지 못하는 경우가 우리 주위에 빈번히 있는데, 그 이유를 유전자와 결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학창시절... 누구나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 '게으르게 살지 않겠다' '게임을 적게하겠다' 따위의 작심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곧 그 작심이 무뎌지고 끝내 몇일을 가지 못하고 없던일로 되곤한다. 불과 소수의 학생들만이 그 작심을 끝까지 지키고 성취해 내는 것이다. 왜 이런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이 두 그룹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것일까?
유전자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유전자는 생각 이상으로 많은 부분에 개입한다. 쉽게 생각할수 있듯이 얼굴생김새, 키, 체형 등의 신체적인 부분은 물론이거니와 당뇨, 탈모 등의 질환. 심지어 목소리나 성격, 습성, 습관, 가치관까지 모두 유전자의 영향을 상당히 받는다. 아니,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봐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쉽게 주위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는데 예컨대 부모의 키가 크면 대체로 그 자식의 키가 크고, 부모의 탈모, 당뇨 등 질환은 유전성이 강하며, 자식은 그 부모의 성격 내지는 습성을 닮는 경우가 빈번하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성격, 습성, 습관, 가치관까지 모두 유전자의 영향을 상당히 받는다는 사실이다.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성공루트! 공부. 하지만 대다수의 일반인은 공부로 성공하지못하고 좌절하게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인간의 성격이나 습성마저도 유전자에 의해 조작된다는것.'
결국 공부로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노력 부족'이 아니라, 성격이나 습성자체가 공부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고도의 집중력으로 공부에만 몰두하고, 나태해지지않고 꾸준히 노력하며 공부할 수 있는 능력'. 그 자체가 '유전자의 권한'이라는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지식의 습득 및 운용능력에 대한 선천성-유전자의 우열-'까지 논한다면, 그야말로 선천적 유전자의 여부와 작용 및 그로인한 영향력은 막대하다 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사회는 이러한 사실을 쉬쉬하는 분위기다. 한국에서 성공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공부루트' 마저도 예-체능과 마찬자기로 유전자의 작용에 그 성패가 좌우된다면 얼마나 좌절스럽단 말인가.
어쩌면 이러한 유전자의 폭넓은 작용을 이미, 우리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것일지도 모른다. 여자가 결혼시 남자의 능력을 따지는 행위, 남자가 여자의 외모를 따지는 행위가 유전자 결정론의 간접적인 표식이라 할것이다.
위글은 고승덕변호사님이쓰신 유전자결정론 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진짜 노력보다 유전의 영향이 강한가요? 전예비고3이고 수능준비하는데 멘탈정리할려고하고잇는데 여러분의의견이궁금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전 유전이요
이유는요??
잘나가는 부모님들 아래서 망하는경우 소수임. 그렇지 못한 부모님들 아래서 용나듯 성공하는경우 소수인것처럼요. 물론 케바케지만 대부분의 환경이 곧 유전이라 생각하고 소위 상류층 부모님들이 아니여도 긍정적으로 사시는 분들 자제가 성공하는게 그게 환경 유전이 영향 끼치는거 아닌가요? 우리학교만 해도 ㅎ이란애가 있었는데 걔네 부모님이고 ㅎ이고 그 가족 전체가 어마어마하게 긍정적이고 멘탈갑 부모님 사회적 지위도 그렇고 진짜 ㅎ은 성공하겠다 했는데 레알 딴애들 주말 9시에 학교와서 10까지 자습하고 가도 ㅎ은 저녁시간에 잠깐왔다 10까지 하고가는게 다였음 ㅎ가 평일에 100% 집중해서 그런지 주말에는 정치 경제뉴스 보고 코엑스에 박람회가고 스펙쌓고 지식을 확대해갈때 애들은 앉아서 교과서나 외웠죠 누군 울며겨자먹기로 공무원시험 준비하는데 ㅎ은 뼛속부터 경제학도임 그런애들 이길수 없잖아요 노력파들이 괴물같이 노력해서 집중력 뇌용량 이런거 키워도 타고난애들은 이미 다 갖춰져있고 특히 입시할땐 출발선부터 달라요
환경이 유전이라고 생각하시는거에요? 노력을 별로 안해도 뼛속부터 멘탈 집중력 뇌용량이 갖춰져잇다는게 인상깊네요 ㄷㄷㄷ좋은 의견감사합니다~!
유전이랑 자라면서 겪은 상황들? 일단 노력 100은 아닌듯..
좋은의견감사드려요 추가로써주셔도감사하겟습니다^^
노력도 어느정도는 능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할수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쉽게 생각해서 주변 친구들 생각해보면 사람일 모르는거지만 얘는 가능성 있다라고 느껴지는 친구도 있고 안 되겠다고 느껴지는 친구도 있듯이.. 그리고 형제자매를 봤을 때 전체적으로 지능이 비슷한 경우가 많기때문에 유전의 영향이 있고요 예외로 극단의 상황도 있기때문에 개개인의 경험에따라서도 갈린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이라는 인삿말에 기분좋아서 주저리주저리 ㅋㅋㅋㅋㅋ
넓은 범위의 '공부'라면 고승덕 말이 맞을지 몰라도 고등학교 수준, 수능 수준의 '공부'는 노력 부족이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왠지정말와닿네요...
유전이아니라 환경
이유를말씀해주세요!
유전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크다고 보네요 ㅋㅋ 부모가 모두 의사여도 제 주변에도 나쁜친구들만나서 지방대간얘도 부모님이 모두 고졸인데 스카이 간친구도 몇명 봤어요. 케바케
그렇군요 주위에 성숙한?사람이많으면 공부가잘되는것처럼 환경이중요하죠 ㅋㅋ 근데 혹시 환경을제외한 요소에서 고르신다면??
저도 노력? ㅋㅋㅋ 머리좋아도 노력안하면 쓸모없으니까요
글쿤요 좋은의견감사합니다~~~ㅋ
개천에서 용은 어떻게 나는 거임 ㅋㅋ 그냥 성격이라는게 단지 게으르다 성실하다로 나눠지는게 아니잖아요 집중력이 좋다 나쁘다로 나눠지는것도 아니고
개천에서 용난다는건 노력에찬성하시는건가요?? 그뒤에하신말씀은 무슨뜻?이에요?
ㅋㅋㅋㅋ 본문에서 유전자에 따른 성격을 너무 이분법적으로 나눈거 같아서요 ㅋㅋㅋ 물론 유전자에 따라 영향은 받겟죠 근데 사람이 사는 상황에 따라 그정도는 얼마든지 바뀌죠 ㅋㅋ 성격이 그렇게 단순한게 아니란 생각이구요 전 유전과 환경, 노력이 모두 작용한다고 봅니다
성격에 유전 환경 노력 등등 여러가지가 작용해서 원인은 많다는 의견이시군요 좋은의견감사합니다~~!그래도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함 유전자 결정이라니 ㄷㄷ
구체적으로말씀해주세요!
게으름이나 성실함 공부에대한 흥미도 그런건 유전이지만 충분히 버리고 취할 수 있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환경의 영향도 많이 받고요
두뇌는 리얼유전...이지만 수능공부는 사실 엉덩이싸움이라 관계없는것 같아요
노칠유삼!
공부가 유전자에서 결정나버린다고는 절대 생각하지 않지만 일정부분 동의하는게 '이해나 지식습득능력이 더 좋다 아니다'가 유전자가 공부에 미치는 영향력의 전부가 아니라 흔히들 유전자의 반대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노력'도 유전자의 영향권 아래에 있다는 것이 제 생각과 일치합니다.. 고승덕 변호사가 하려고 했던 말이 그 점인거 같구요..
선생님들은(학원도) 유전자 중요시 하시는 분 계시더라구요...
유전자가 단순 머리(아이큐)가 아니라 노력,끈기, 악착 등의 성질의 유전자라면 전 분명히 맞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다 그런건 아니지만 유전도 어느정도 일리가 잇는거 같아요 대게 대학 잘가신분들 보면 부모님이 고학력자이시거나 환경이 좋습니다 물론 노력이 90%정도인것같습니다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를 보십시요 성공하는 사람의 차이에 관해 쉽게 잘 설명한 책입니다
전 유전이 맞다고 봅니다 영재원다니면서 자연과학 최상위에서 들은 말은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이바닥에 계속 있다보면 벽을 만난다 라는 말을 들었네요
그렇지만 수능 한정이라면 운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음 유전은 아닌듯해요 제어머니 전문대 나오셨는데... 저는 뭐 그리 나쁘지 않은(?) 수능성적 받았네요...ㅎㅎ 노력과 환경이 더 중요한것같아요 제 생각엔.
보통 유전40 노력60 이라고 봐요 상황에 따라 사람마다 달라질수있는 퍼센트이구요.. 제 주변에도 아버지 술주정뱅이에 엄마 없는데 공부하기 싫을때마다 자기스스로 따귀때려가며 공부한 아이가 치대와써요
저 이거 매우공감 사실 노력도 어느정도 유전임
12시쯤에 다시와서 답글을 달아보겟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