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재수, 공부, 의대 등 질문받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159078
제가 아는 범위에서 정성껏 답해드리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대가망할정도의시대가되면다른과는대체머가되는거임?
-
그것은 바로 손 길이 인증
-
뭔가 좀 야시꾸리함
-
귀찮아 죽겟어그냥 죽을래
-
숙취 기념 ㅇㅈ 0
이라 할줄 알았지?ㅋ 형은 아직 가려면 멀었다 ㅋㅋ
-
작수 시험지를 갖고 몇 문항 살펴봅시다. 이 문제를 잘 분석했다면 다음도 문제 없이...
-
어케 해야될지 고민되네 그냥 몸이 힘들더라도 육군 빨리 갔다오는게 최선인것 같은데
-
눈치게임시작 8
걸리면 둘이 사귀기 1
-
학원 같이다니던 남자 1 2 가있었는데 12는 서로 베스트프랜드고 나랑도 꽤...
-
난 누군지 몰라 중립.
-
이때로 돌아가고싶9나
-
어쩌지 4
-
ㅇㅈ 한번 더 달린다 10
오늘 재탕이니 이해 좀 해주십쇼
-
여르비 ㅇㅈ 7
머리 묶었으니 아무튼 여르비임
-
그런 고정관념은 깨부숴야한다고 생각함
-
잇구나
-
인증을 하도록.
-
강민철 선생님 듣고 있고 다 좋은데, 선지 분석이 너무 사후적이란 느낌이 들어요.....
-
상특) 맘에 들면 현실 인스타 교환함 오티에서 모르는 사람이랑도 맞팔하는데 머 어떰...
-
배고파요 0
잘래요
-
하트 ㅇㅈ 13
커뮤 살면서 유저 한테 피로 하트도 그려서 받아봄
-
으흐흐
-
댓 다신 분 중 한분임 15
이전 글에.
-
코 높고 괜찮고 눈 이쁘고(설윤이랑 거의 같으) 어깨 키보드보다 넓고 얼굴도...
-
개재밌으니까 옵붕이들도 빨리 연애하고 상담받아라
-
뉴비 시절에 나만 못봤음.
-
ㅅㅂ 놓쳤다 본사람들 후기점
-
하 용기 내서 11
수강신청 전에 한 번 더 연락해야지 선디엠 계속 해주는 거 보면 착해…..
-
나도 질받해볼랭 4
-
미래에는 감정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도 만들어질까요 14
그렇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감정과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감정에 어떤 차이가...
-
본인 성별 투표 9
2시쯤에 정답공개하고 무기한 휴르비 들어감ㅇㅇ
-
ㅇㅈ후현타 0
뭐라고 불러야 되지
-
분명할수 있었던것들이 할수 없게 될때까지 말입니다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허용범위가 넓어진듯한 느낌 원래는 아니었는데 재수하면서 그렇게 된듯
-
.
-
메가패스 몇명까지 들을수 있나요? 3명 가능한가요? 한명 pc, 한명 태블릿, 한명...
-
학원에서 수능기출의미래 할 건데.. 한문제 한문제 세세히 봐주는 곳이라 숙제양이...
-
재수생 2
다음주에 3박4일로 여행가는데 괜찮을까요.. 공부패턴깨지거나 감떨어질까봐 걱정입니다
-
지구과학 해야징
-
ㅇㅈ 4
병신 한명
-
미드 6
개빡치네진짜
-
고평가 무엇 0
기분 좋구요
-
으흐흐흐아ㅏ핳
-
선넘질받 합니다 16
저너무 존나게 심심합니다 눈인증몸매인증오픈카인증고3면허보유자그사람이니까 아무거나...
입시전문가입니까
아니요. 13,14입시 치루고 지금은 의대에 진학한 학생입니다.
의대 들어가기전애 하면 도움 되는게 있나요? 영어 공부는 하는중인데 그외의것은요?
일단 제일 먼저 생각나는게
<졸업인정점수(등급)>이네요. 각 의과대학마다 졸업시 필요한 공인점수들이 있습니다. 입학 전에 미리 점수를 따놓으시면 편하겠죠? 참고로 점수는 그리 높지는 않으니...부담 크게 안가지셔도 될 것 같아요.
두번째로는 순간순간을 즐기세요~제가 인생을 많이 산건 아니지만, 그때 만큼 자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나날들은 없어요...하고 싶은대로 생활하세요!!
굳이 의대공부 때문에 미리 뭘 공부해야한다...이런 것보단 전, 사람들 많이 만나보고, 주변에서 순식간에 스쳐지나간 것들에 대해서도 곰곰히 생각해보고 그런 시간을 가졌으면 하네요..
실질적으로 미리 무엇을 공부하고 입학을 한다고 해도 크게 차이는 안나니까요!!
수학을 시기별로 12월부터 어떤교재로 어떻게 공부하셧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알파테크닉,크리티컬포인트 교재, 각 종 학원교재, 프린트를 풀었습니다. 개념이 흔들릴 때는 개념서를 들춰보긴 했어요~(정석/바이블), 근데 개인적으로 선생님들을 많이 괴롭혔던 것 같습니다!!
사실상 기출문제(교육청이든 평가원이든)가 그 어떠한 교재보다 수능대비에 좋은 것 같아요. 기출문제를 통해서 개념도 얻고, 시험이 자주 묻는 방법이나 자주 묻는 법들,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해서 시험이 요구하는 지식들 같은 것을 꾸준히 얻었던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기출문제를 정말 많이 풀기도 하였지만, 남들과 비교했을 때 질적으로 분석은 많이 했던 것 같아요.
1. 문제가 어디서 출제됬는지, 그리고 문제를 왜 만들었는지
2. 문제를 푸는 여러가지 방법
3. 방법과 출제의도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능'이라는 시험지가 요구하는 지식들
에 관해서 꾸준히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이 시험지가 요구하는 지식들을 그리고 시험지 위에서 적어가면서 곰곰히 생각해보는 시간도 많이 가졌었어요. 그리고 문제를 푸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는 최대한 많은 풀이를 연구했었고요~
마지막으론 9월 평가원 보기 전부터는 시중의 사설모의고사도 엄청나게 풀었습니다. 단 이때는 시간을 철저하게 재고 풀었어요~OMR도 따로 구해서 마킹까지 하는 것을 연습했고요.
그리고 기출문제 분석은 저 같은 경우 단원별로 묶지 않고, 그 모의고사별로 풀었습니다. 먼저
1. 실전처럼 풀고 (단 제한시간은 70분)
2. 분석
이 순서로 진행했어요~
성의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될것 같네요
수학 기출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위 댓글에 달린 질문으로 해결이 안되십니까?ㅠ
넹 ㅠㅠ 데둉해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