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화핳하 · 531368 · 14/11/25 18:29 · MS 2014

    그게 고대가 원한거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18:36 · MS 2013

    네?? 이게 정석이란 말씀이세요??!!!

  • 하화핳하 · 531368 · 14/11/25 18:37 · MS 2014

    정석이라기보다는 그렇게 제시문을 합쳐 써야 함

  • 시발점 · 418219 · 14/11/25 18:35 · MS 2012

    저는, 2를 과거으ㅏ 문제 상황, 1을 현재의 문제 상황으로 봤습니다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18:37 · MS 2013

    저도 그런류로 썻어요! 근데 글을 좀 못쓴거같아요 ㅠㅠ 컨디션인 너무 별로엿어...

  • 시발점 · 418219 · 14/11/25 18:50 · MS 2012

    잘 되겟종.. 잘 댓으먼 좋겠다

  • 달마시앙 · 283810 · 14/11/25 18:50 · MS 2009

    저는 1의 불평등의 상황을 2에서는 선비수를 줄이자는 것과 같은 제도적으로 해결하자고 했고, 3에서는 문명이 발달하면 사람들의 공감능력이 확대되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으로 본다고 했어요 ㅋㅋㅋ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19:09 · MS 2013

    셤치고 버스타서 보니까 이랗게 마니 쓰셧더라구요

  • 중대에서연경으로 · 418988 · 14/11/25 18:57

    저도 1번 불평등이해관계 2번 감소정책 3번은 화합괴 이해괸계평등 이라해서 3제시문을 해결책으로 썻어요 감소정책대신에화합정책과 불평등한이해관계를합치자 이런식으로썻던거같아요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19:09 · MS 2013

    뭔가 저랑 비슷한거같은데 어렵게쓰셧네요.. 그나저나 님 닉네임 너무 저같음

  • 중대에서연경으로 · 418988 · 14/11/25 19:20

    예전에 여친이랑헤어진뻘글썻는데 그때도 이렇게 댓글달아주신듯 ㅎㅎ 업글합시다

  • 리를 · 498116 · 14/11/25 19:29 · MS 2014

    ㅠ 아쉽지만 3은 완벽한 해결책이 못되요.. 1이 그 단적인 예죠

  • 노란달팽이 · 478730 · 14/11/25 20:08 · MS 2013

    왜 3번이 완벽한 해결책이 못되고 1이 예인지 설명해주실수있나요...에잇 논술다망했어으어엉

  • 달마시앙 · 283810 · 14/11/25 22:07 · MS 2009

    당연하죠 문명이 발달할수록 자연스럽게 해결된다고 했는데 제시문 1의 상황이 단적인 반례죠 ㅋㅋㅋ 그 한계를 보완하는 걸 제시하는게 중요하겠죠?

  • 그해겨울 · 344510 · 14/11/25 19:34 · MS 2010

    이번 고대 논술고사는 과거처럼 정해진 답은 없다고봐요.
    지금까지와는 달리 비교하라거나 제시문에 입각해서 해결방법을 쓰라한게 아니니까요. 특히 올해부터 바뀐 논술고사 지침을 봐도 더욱이 알수있어요.
    제시문에 나온 재료들만 잘 녹여서 자기색에 맞춰서 쓰면 승산이 있다고봅니다

  • rocketeer95 · 453043 · 14/11/25 19:37 · MS 2013

    저는 3을 2에 적용하고, 1로 3의 한계점 쓰고 나아갈 방향 쓰고 끝냈네요

  • 후회없음14+1 · 417179 · 14/11/25 20:04 · MS 2012

    저는 1 문제상황
    2제도적해법 정부개입
    3의식적해법 (제시문의한계언급) 이정도로 1+(2+3)

  • 노란달팽이 · 478730 · 14/11/25 20:22 · MS 2013

    아.... 이거랑 전혀다른거 썼는데 이게 답인거같아요

  • Progression · 416014 · 14/11/26 12:33 · MS 2012

    답이란 없어요 올해는. 님이 쓴게답!

  • Progression · 416014 · 14/11/25 20:15 · MS 2012

    올해는 더더욱 인문에서 결판날듯요 ㅠ

  • 난될놈이다 · 432367 · 14/11/25 20:17 · MS 2012

    전 1에서 경제적 불평등 2에서 분야별 불평등 이거 해결해야한다고하고 예들면서 그때 3에서 말한 사회적 감성이 더커지고.....ㅜ이렇게씀ㅋㅋ
    논리 중요할듯요.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20:34 · MS 2013

    하 자살해야겟닼ㅋㅋㅋㅋㄱㄱ 1번이 왜 한계인지 아예 이해안가는 나....

  • ㅎㅈㅇㅈㅈ · 470756 · 14/11/25 20:44 · MS 2013

    3번으로 1,2번둘다 문제해결하려하니까 좀 똑같은말 반복하는느낌잇엇는데 아이고 내 돈

  • ysy4960 · 489949 · 14/11/26 09:19

    저는 1,2의 인간 이성적측면의 한계를 3의 공감능력으로 즉 감정적측면으로 보안하여 서로 조화시켜야 한다고 햇어요
    3번으로 해결하는게 아니라 3번을 이용하여 1,2의 한계를 보안하고 1,2의 장점도 있으니 3의 장점과 조화해야 하지 않을까요?

  • 빡모추종자 · 506021 · 14/11/26 17:04

    1과 2가 시대가 다름에도 똑같이 인간의 이기심이 작용한다는점에서 3 반박하고

    2의 선비제한은 단순히 직업선택의자유를 침해하는것은 현대 사회의 이념에 부합하지않는다고 쓰고
    3또한 지나친 낙관론

    그러고 나서 제가 생각하는 대안 썼네요
    1에서 노동조합이 존재함에도 여전히 억압받는것과 2에서 여성과 하층민들이 억압받는데서
    제도의 보완과 처벌기준 강화 같은 거 썻어요

    개인적 인식 개선도 중요하지만 제도적 보완을 통해 완성해야한다 머 이런식......

  • 안녕,여름아 · 510347 · 14/11/26 20:30 · MS 2017

    3은 방임주의 아닌가요?ㅠ 방임이 해결책이 될 수 있나 ㅜ 과 어디쓰셨어요?

  • 빡모추종자 · 506021 · 14/11/27 18:30

    3은 해결책이 되기엔 인간의 본성을 지나치게 선하다고 보는지라... 해결책으로 쓰기에 부적합...

  • 안녕,여름아 · 510347 · 14/11/27 20:07 · MS 2017

    그쵸?ㅠ 개입 ㄴㄴ하라하고 자연스럽게 사회적 연대가 가능하다는게 결국 방임인데 1,2 사례로만 봐도 답이 되기엔 좀 무리하지 않나 생각..ㅠㅠ

  • 빡모추종자 · 506021 · 14/11/27 20:48

    아마 이타적본성을 완전히 부정한다기보다는 본성만으로 해결될수없는 부분에 대해서 보완책 쓰는게...

  • 안녕,여름아 · 510347 · 14/11/27 20:50 · MS 2017

    ㅇㅇ저도글케씀! 아근데 저는 중심이 3이 아니고 2 제도개입 중심으로 형평성 만들고 제도적 측면의 보완으로 이타성 개인윤리적 측면으로 사회연대 보완했어욥

  • 빡모추종자 · 506021 · 14/11/27 21:26

    저는 2를 직업선택의자유를 침해하는 현대사회이념에 부합하지않는 정책이라고 했어요ㅋㅋ
    유도정책 필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