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llolaw · 425479 · 14/11/19 15:16 · MS 2012

    서울대 교수, 서강대 교수, 카이스트 교수 등 전문가들 마저도 오류가 있다고 지적한 것을 보면 그냥 억지로 평가할만한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 함흥민 · 531326 · 14/11/19 15:17

    8번은 조절유전자의 프로모터 고려해야되지 않냐, 고교과정 외 아니냐 때문에 논란일어난것같고
    14번은 형태학적"만"으로 보면 경우가 다양하지 않냐고 하는데
    8번은 가능성 조금이라도 있을지 몰라도
    14번은 진짜 억지같아요. 조건이 2개 주어졌으면 다 고려해야하는게..

  • 닉바꿨다ㅋㅋ · 452877 · 14/11/19 15:24 · MS 2013

    8번은 사실적오류는 아니고 다만
    고교과정을 조금 벗어난다는 거
    아닌가요?? 평가원에선 그 부분을
    추론가능하다고 출제한것이고....
    과연 어찌될지

  • 레이테르 · 444325 · 14/11/19 15:26 · MS 2013

    8번조차도 학회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고 기사가 나왔는데도 복수정답 안될 확률이 높은데 14번은 뭐... 말 다했죠

  • 15설대건공 · 492277 · 14/11/19 17:23

    pH를 다 떠나서 결합때문에 아이건 조절유전자가아니라 조절유전자 오페론의 프로모터지 이렇게 추론했는데도 틀리다고 말하실건가요?

  • 의대료 · 446407 · 14/11/19 19:08 · MS 2013

    결합하는건 맞죠 지나가면서 결합하니

  • Esolet · 372290 · 14/11/20 03:26 · MS 2011

    그럼 님은 RNA중합효소는 구조유전자에 결합한다. 가 맞다고 보시나요?
    교과서나 ,EBS나 RNA중합효소는 프로모터에 결합한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어디에 유전자에 결합한다고 서술되어있나요??

    결합한다 는 동작의 개념이지 지나가는 건 결합한다고 보기는 어렵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