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anjali [530411] · MS 2014 · 쪽지

2014-11-12 12:13:34
조회수 279

윤사 고대중국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018448

인간은 이익을 추구하는 악한 존재이다. 이게 순자한비자 라는데 묵자는 악한존재인지 언급 안해서 모르나요?

그리고 순자는 상벌로 인간을 통제해야 한다고 하지 않나요? 물론 교화도 하지만..

공.맹자도 상과 형벌의 필요성. 신분 간 위계의 중요성을 언급하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ouvelle Vague · 485842 · 14/11/12 12:17 · MS 2017

    순자는 상벌에 의한 통제 부정했어요 결국 순자의 최종 목표역시 도덕사회기 때문에..

  • Nouvelle Vague · 485842 · 14/11/12 12:18 · MS 2017

    기출 보면 많이 나오는데 공맹 역시 상벌로 백성을 다스리는거 부정함니당 덕치를 중시하져

  • 물을마시자 · 526965 · 14/11/12 12:22 · MS 2017

    1. 묵자가 말하는 이익은 돈과 재물을 중시한다기 보다는 오히려 '의로움' 에 가깝고, 묵자는 검소함을 중시했습니다.
    2. 공자, 맹자, 순자 모두 상, 벌의 필요성은 언급합니다만 순자가 '상벌로 인간을 통제하자' 라는 극단적인 주장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도덕적 교화를 통해 본성을 변화시키자는 것이 핵심주장 입니다.
    3. 위에 언급했듯이 필요성은 언급합니다. 그리고 신분 간 위계의 중요성이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모르겠지만 신분에 있어 '수직적' 질서가 존재한다고 하는 것은 맞습니다.

  • 난더이상국민이아니야 · 527292 · 14/11/12 12:23 · MS 2014

    이 분이 정확한듯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