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수포네버 · 503386 · 14/11/12 09:57 · MS 2014

    공출을 하기때문에 배급제를 실시하니까 중일전쟁 이후 39년 같네요. 20년대는 그냥 만주에서 잡곡 수입이고

  • 각설이 · 463916 · 14/11/12 09:59 · MS 2013

    배급은 국민 총동원령 이후가 아닐까 싶네요..

  • dahkyung.lee · 529685 · 14/11/12 10:03 · MS 2014

    배급이라는 단어가 쓰이는 건 중 일 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인력과 물자 수탈이 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입니다. 만주산 잡곡을 수입해서 식량을 충당했다 라는 표현은 20년대에 산미 증식 계획이 시작하면서 쓰이는 말이구요~
    좀 더 세부적으로 따지자면 산미 증식 계획이 20~34년까지 하다가 38년에 재개 되니까 산미 증식 계획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식량 배급제를 하고 있는거죠. 저 말만 단독으로 나오지는 않을테니까 주어진 시대상황이나 발문을 통해서 파악하면 될 듯 합니다! 분명한 건 '배급'이라는 단어는 38년 이후라는 거ㅎ_ㅎ

  • SNU ECON · 487503 · 14/11/12 15:28 · MS 2014

    산미 증식 계획(20~34)을 1940년에 조선증미계획(40~45)이라는 이름으로 재개하면서 쌀을 공출했고 이 공출물량을 확보하려 조선인의 쌀 소비를 줄이고자 배급제를 도입하고 만주산 잡곡을 수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