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anjali [530411] · MS 2014 · 쪽지

2014-11-12 08:39:25
조회수 594

윤사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017777

키르케고르는 신 앞에서의 실존을 주장하는데 이는 신에게 귀의하란 건가요? 그리고 키르케고르는 그리스도교인가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중용은 어떻게 생기며 중용은 품성적 덕인가요?

아리스토텔레스. 이성적 관조란 뭐죠?
아리스토텔레스. 이성을 인건의 고유한 기능으로 보고 인간에 내재되있다고 보는 건가요?

칸트에게 의무감이란 실천이성이 명령하는 행위에 대한 의무감으로 도덕적 행위의 원천이 되나요?
칸트에게 의무감.의무의식.선의지.실천이성은 선험적인가요?

도가에서 자연은 운행법칙이 무위 인가요?

그리고 규칙공리주의는 상식적 도덕에서 볼 때 명백히 비도덕적인 행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지 않나요? 정의롭지 못한 규칙이어도 유용성을.낳으면 규칙으로 세우니까... 근데 이 선지가 오히려 규칙공리주의 관점에서 행위공리주의 비판이네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VD합격 · 455669 · 14/11/12 08:58 · MS 2013

    1. 그리스도교라고 볼수있어요 종교적 단계에서 진정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니까요
    2. 중용은 실천적지혜를 바탕으로 마땅한 때에 마땅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천하여 생기는 품성적덕이에요
    3.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성적관조는 생소하네요 수능전 생소한개념은 제쳐두시는게 좋습니다 깊이파고드실 시간에 다른 부분 정리하셔요
    4. 네 맞습니다 그리고 모두 선험적이에요
    5. 무위와 무목적의 자연입니다
    6. 공리주의는 거짓말을 할 때 유용성이 크다면 허락합니다 사람을 죽이는것도 2명죽이는게 10명 살리면 허용하구요 규칙공리주의는 그걸 비판하는거예요

  • 대역전 · 494096 · 14/11/12 09:05 · MS 2014

    5.무위이고 무목적이지만 무질서는 아닌건가요?
    6.규칙공리는 거짓말은 도덕적으로 나쁜거니깐 거짓말을 해서 최대다수이익을 추구하는걸 비판하는건가요? 아니면 여러 사례를 통해 장기적으로 거짓말은다수의 이익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판단해서 규칙을 만든 건가요?

  • R=VD합격 · 455669 · 14/11/12 09:13 · MS 2013

    네 도의질서에따라 움직입니다 후자의 입장이 규칙공리주의의 입장입니다 전자는 칸트의 입장과 비슷하구요 어쨌든 규칙공리주의자도 공리주의자라 유용성을 중시하거든요 ㅎㅎ

  • 대역전 · 494096 · 14/11/12 11:21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ArianaGrande · 429116 · 14/11/12 09:15

    5 네 질서는 있다고 봅니다 또 동양의 사고방식을 따라 전일주의에, 모든 사물의 근원이 하늘이라는 것도 인정하지만 인간사에는 신경안쓴다는 입장이죠.
    6 여러 상황에서 거짓말이 최대이익을 뽑지 못하니 거짓말을 하지 마라는 규칙을 세운거에요

  • 대역전 · 494096 · 14/11/12 11:22 · MS 2014

    질문있습니다 순자는 덕에따라서 신분이 바뀔수있다고 봤나요?

  • 성적 욕구 · 326971 · 14/11/12 10:40 · MS 2010

    그냥 키에르케고르는 기독교 목사라고 생각하시는 편이 좋아요

  • Gitanjali · 530411 · 14/11/12 10:42 · MS 2014

    감사합니다들. 오늘 연계정리하다가 궁금한거 또 물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