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자다카라자다 [480837] · MS 2013 · 쪽지

2014-11-10 09:34:41
조회수 4,078

계급/계층론 사회문화 고수님 질문드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011924

계급론은 사회불평등을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타파해야할 현상으로 보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계층론은 사회불평등을 보편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율yul · 515869 · 14/11/10 10:19 · MS 2014

    계급론은 지배,피지배로 나눠서 대립하고 계급간 이동 거의 불가지만 계층론은 대립하지않고 계층간 이동가능성이 크죠. 불평등한 분배상태는 계급,계층 둘다맞는데 계급은 그것때문에 대립하고 적대감느끼고 계층론은 불평등한 분배가 있고 계층은 있지만 그계층간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적대감이있진 않구요 불평등은 둘다있는데 관점차이..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10:23 · MS 2013

    ...?

  • OPEN RUN · 368301 · 14/11/10 10:25 · MS 2011

    불평등현상을 보편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건 기능론적 시각이구요
    베버의 계층개념에는 불평등현상에 대한 별다른 가치판단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단지 모든 사회가 상이한 집단이나 층으로 나뉘어져있어 갈등을 일으킬때도 있고 비교적 안정된 지배와 복종관계를 이루기도 한다..정도죠. 베버의 계층개념은 그냥 존재하는 현상에 대한 중립적 해석에 가깝죠.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10:27 · MS 2013

    이해됨 감사여.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16:09 · MS 2013

    흠 밑에 댓글보니 가치판단이 아주 없지는 않네요

    (막스 베버)계급론은 사회 불평등을 갈등론의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타파해야할 대상으로 본다고 하면
    이는 가치판단이 들어있는걸로 알 수 있을것같아요

  • OPEN RUN · 368301 · 14/11/10 17:26 · MS 2011

    어떤 댓글 말씀이신지...
    베버는 불평등을 갈등론의 관점으로 본 적이 없습니다;;;
    정반대로 이론에서 가치판단을 제거하고 객관적으로 연구하려는 것이 베버의 학문적 목표에 가깝습니다.

  • 포커스 · 529142 · 14/11/10 11:37 · MS 2014

    베버=기능론=계층론
    맑스=갈등론=계급론
    이라고 배웠는데요..ㅎㅎ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12:51 · MS 2013

    기능론=계층론 아닐껄요..?
    갈등론=계급론은 브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이분법적인 관계로 마르크스가 주장한 이론이 맞지만,
    위의 기능론과 계층론은 같은 이론이 아닌걸로 알고있어여

  • 포커스 · 529142 · 14/11/10 13:44 · MS 2014

    아 굳이 계층론을 기능론으로 봐야한다는건 아니지만 베버가 기능론자이고 계층론을 주장했다 는 정도의 뜻이었습니다 ㅎㅎ

  • OPEN RUN · 368301 · 14/11/10 14:17 · MS 2011

    베버가 누군질 모르거나 기능론이 뭔질 모르지 않는 이상 베버를 기능론자라고 가르칠 순 없을텐데요.
    대체 어디서 그렇게 배우셨는지;;;
    정말 그렇게 가르치는 사람이 있다면 깜짝 놀랄 일이네요.

  • 포커스 · 529142 · 14/11/10 14:39 · MS 2014

    ?? 베버가 기능론자가 아니라구요?

  • 포커스 · 529142 · 14/11/10 14:40 · MS 2014

    최진기선생님 강의였는데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14:34 · MS 2013

    베버 기능론 싫어할껄요..?

  • 율yul · 515869 · 14/11/10 14:44 · MS 2014

    본문에서 말씀하신 불평등현상을 보편적,필수적으로 보는게 기능론입니다. 갈등론은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필수적인 현상은 아닙니다. 또한 베버,마르크스 모두 갈등론에 기반합니다. 베버주의,마르크스주의라고 부르며 "기능론"에 가까운 "갈등론"일뿐입니다.

  • 논술만바라본다 · 495383 · 14/11/10 15:34 · MS 2014

    계급론과 계층론 모두 사회 불평등은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보았으나, 계급론은 이를 타파해야 한다고 보았고 계층론은 필수불가결하다고 보았죠.
    사회 불평등이 필요 = 계층
    사회 불평등 타파! = 계급

  • OPEN RUN · 368301 · 14/11/10 17:05 · MS 2011

    기능론/갈등론, 계층/계급에 대해 의외로 잘못 이해하는 학생들이 많은가보네요;;

    일단 베버는 갈등론자도 아니고 기능론자도 아닙니다.
    (오히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탄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이 베버죠.)

    기능론은 콩트에서 뒤르켐으로, 이후 머튼이나 파슨스 등의 미국 사회학자들로 이어진 관점입니다. 사회적 합의, 결속, 평형상태를 강조한 것으로 베버의 사상과는 딱히 교점이 없습니다.
    (맑스의 갈등론적 시각을 이어받되, 베버의 계층개념에도 영향을 받은 갈등론자들은 있지만 베버가 갈등론이나 기능론에 해당하는 이론을 주장하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사회운동에 적극적이었던 뒤르켐이나 맑스와 달리 베버는 연구자로서의 객관적 자세를 대단히 강조하는 입장이었습니다. (기능론/갈등론에 각기 다른 가치판단이 들어있는 것과 달리 베버의 이론들은 굉장히 건조하죠. 존재와 당위에 대한 진술을 명확하게 가르고 가치중립적인 자세를 취했던 것이 베버입니다. 이런 베버가 갈등론자나 기능론자로 묶일 순 없죠.)

    베버의 계층론은 사회적 계층, 집단이 분화되어있는 '현상'을 분석한 이론입니다. (계급에 대한 맑스의 분석을 다차원적으로 정교화하되, 맑스와 달리 계급투쟁이 아닌 복잡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갈등론은 물론 아니구요)
    계급투쟁이 필요하다던지, 계급분화가 불가피하고 필수불가결한 현상이라던지, 이런 류의 가치판단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그냥 '현상'을 객관적으로 연구한 것이예요.
    맑스의 계급론은 계급갈등을 전제로 하고 있고, 기능론자들은 사회적 계급의 분화가 갖는 순기능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가치판단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있는 것이구요.

  • 율yul · 515869 · 14/11/10 17:50 · MS 2014

    죄송한데 필수불가결하다던가 제댓글쓴건 ebs 에서 그대로따온것입니다 깊은내막은 모르지만 ebs에서는 필수불가결하다던가 보편적이라는 말 등을 명시하고있습니다 계급투쟁 계급분화 불가피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능론.갈등론 또한 제생각이아니고 그대로따온것입니다; 추측컨데 ebs 는 사상기술은 단순표면화한듯 하네요

  • OPEN RUN · 368301 · 14/11/10 18:06 · MS 2011

    필수불가결, 불가피는 기능론에서 보는 계급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만
    베버가 갈등론자라는 설명은 ebs 어디에서 보신건지요?

  • 포커스 · 529142 · 14/11/10 18:00 · MS 2014

    최진기샘 강의에서는 제가 썼던 댓글처럼

    맑스=계급=갈등론=사회실재론
    베버=계층=기능론=사회명목론

    이라고 가르치셨네요..

    낙인이론도 갈등론과 상징적상호작용론 둘 다 있다고 가르치셔서 문제풀 때 애 많이 먹었었는데ㅋㅋㅋ

  • OPEN RUN · 368301 · 14/11/10 18:12 · MS 2011

    낙인이론은 갈등론적 관점도 있고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그건 상충되는 관점이 아니니까요.
    다만 베버가 기능론자..라는 설명은 대체 어디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건지 모르겠네요ㅋㅋ
    저도 나름 사회학 전공자입니다만... 이건 정말 금시초문ㅋㅋㅋㅋ

  • 포커스 · 529142 · 14/11/10 18:41 · MS 2014

    이해는 가는데 그렇게 따로 설명해 주시니까 문제풀이에서 생각 할게 많아지더라구요 그냥 수능특강에 있는것처럼 낙인이론은 낙인이론으로민 설명해주셨으면 헷갈리지는 않았을텐데 ㅋㅋ

  • 김망 · 530796 · 14/11/10 21:42 · MS 2014

    궁금한게 실재론은 거시적관점이고 명목론은 미시적관점이지 않나요;;

  • 바자다카라자다 · 480837 · 14/11/10 21:43 · MS 2013

    처음듣는데여?!!내가모르는건가?!

  • OPEN RUN · 368301 · 14/11/10 22:06 · MS 2011

    네, 거의 그렇다고 볼 수 있죠.
    사회가 실체가 있다고 생각하니(실재론) 사회구조를 연구하고(거시), 사회는 실체가 없고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니(명목론) 개인들의 관계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미시) 거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