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11-05 15:55:32
조회수 3,260

윤사 고수분들! 사단에서 관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99880

사단을 단서로 한 사덕이 내재되어 있다는 맹자의 성선설의 영향을 받아


성리학 역시 사단이 선천적 본성이라고 보잖아요

그런데 이황 이이의 사단 칠정론을 보면 어쨌든 사단은 기가 발하든 이가 발하든

무언가가 발하여 드러나는 정인데

그럼 이황 이이는 사단을 본성이라고 보진 않는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비스듬히 걸쳐 · 489825 · 14/11/05 16:09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풋 · 425306 · 14/11/05 16:27 · MS 2018

    성(사덕)과 정(사단)은 전부 심(마음)에 속해있는거니까 전부 본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amabile6469 · 520969 · 14/11/07 00:45 · MS 2014

    성리학에서는 4단을 본성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4단을 본성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맹자이구요..( 맹자는 4단, 4덕 모두 본성)
    님 말대로 4단은 '정'으로써 '성'을 드러내는 것일 뿐, 본성은 아닙니다.
    성리학에서 본성은 본연지성 = 본연지성의 내용은 : 4덕
    (김성묵쌤 강의에서 저도 들은거에요...)

  • jerrytwo · 480154 · 14/11/07 18:28 · MS 2013

    그렇다면 맹자의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것은 그냥 본래 착하다는 말만 성리학에서 가져온 건가요?

  • jerrytwo · 480154 · 14/11/07 18:28 · MS 2013

    그렇다면 맹자의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것은 그냥 본래 착하다는 말만 성리학에서 가져온 건가요?

  • amabile6469 · 520969 · 14/11/07 21:07 · MS 2014

    맹자가 처음으로 4단, 4덕개념과 양지 양능설을 언급하면서 유학의 성선설을 이론적으로 정립하였고, 이후 성리학으로 유학이 전개되면서 주자는 맹자의 [4단, 4덕]개념으로 성선설을 계승하여 이론을 풀어 나간거구요. 왕양명은 성리학자였지만 사물에서 이치를 찾는다는 것에 회의를 느껴 주자를 비판하면서 맹자의 [양지, 양능설]을 계승하여 치양지설을 주장하였고요.ㅎㅎ 이런식으로 이해하시면 될거에요^*^

  • amabile6469 · 520969 · 14/11/07 21:12 · MS 2014

    이건 제가 다른분에게 한 답변인데
    이거 추가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네 맹자는 사단 사덕을 선천적인 본성이라고 표현했고요.(팔 다리 어디에나 다 있따) 그 4단과 4덕의 관계는 端 이라는 말로 약간 애매모호하게 표현했습니다. ( 측은지심 인지'단'야) 이걸 가지고 성리학과 다산이 다르게 해석한거에요 성리학은 이 端을 단서 로 본거고 정약용은 4덕으로 향하는 시작점으로 본거에요(잠재적 능력정도?) 그러니 4덕이 이루어진다 라고 본것은 정약용 뿐이구요. 4단의 확충이라는 말은 둘다 쓸 수 있는데 4단을 확충하여 4덕을 이루자! 라는건 정약용 뿐입니다!!ㅎㅎ

  • jerrytwo · 480154 · 14/11/08 00:29 · MS 2013

    아 그래서 단서로 본 성리학은 4단을 단서로 본성(4덕)을 유추했고 정약용은 4단(본성)을 시작으로 4덕을 이루는 식으로 된 거군요.

  • amabile6469 · 520969 · 14/11/08 13:12 · MS 2014

    아뇨뇨뇨뇨!!!!!! 정약용에게 4단은 본성이 아니에요!!!! 선천적으로 마음에 주어진 것이긴 하지만 본성은 절.대 아니랍니다! 정약용은 성기호설을 주장하잖아요. 본성은 그냥 기호일 뿐이라고, 그중에서도 영지기호가 본성이라고 주장했어요!! 이거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 jerrytwo · 480154 · 14/11/08 18:29 · MS 2013

    헉 전 여태까지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 = 본성 이렇게 생각해왔는데 그것 자체가 아닌 건가요? 본성이라는 말 뜻 자체가 선천적으로 내재된 속성 아닌가..요?

  • amabile6469 · 520969 · 14/11/09 12:47 · MS 2014

    조금..달라요 ㅠㅠ 선천적으로 주어지는것과 본성은 달라요. 특히 정약용은 구분하셔야합니다~~

  • amabile6469 · 520969 · 14/11/09 12:48 · MS 2014

    공자도 맹자도 순자도 모두다 인간의 욕망이 선천적이라는 것을 인정하죠. 하지만 공자와 맹자는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하고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한 욕망이라고 정의하잖아요. 이런식으로 약간 다른 개념이에요

  • amabile6469 · 520969 · 14/11/09 12:51 · MS 2014

    정약용에게 선천적인 것: 욕망(도의적 욕구, 이익적 욕구), 기호(영지기호, 형구기호), 4단... 이렇게 선천적으로 마음에 주어진 것이라고 주장했고, 그중에서 본성은 '영지기호' 만 입니다^^

  • amabile6469 · 520969 · 14/11/09 12:52 · MS 2014

    아 중요한거 빼먹었네요..!! 선천적인것에서 하나 추가 '자주지권' 도 포함입니다!

  • amabile6469 · 520969 · 14/11/09 13:08 · MS 2014

    아그리고 성리학에서는 4단을 본성으로는 보지는 않지만, 선천적인 것으로 본답니다~

  • jerrytwo · 480154 · 14/11/09 16:39 · MS 2013

    문제 풀면서 여태 선천적인 것과 본성을 구별해야만 풀 문제를 안 풀어본 건지 모르겠지만 님 덕에 이제서야라도 알게 되었네요 개념 정립 다시 한 번 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