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511425] · MS 2014 · 쪽지

2014-10-28 15:50:49
조회수 652

11년9월 <전통적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 질문이요 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81436

1문단에서


전통적공리주의의 특징 3가지가 나오는데

셋째 조건이 잘 이해가안갑니다

개개인의행복을 모두동일하게중요한것으로 간주하므로, 어느누구의행복도 다른누구의행복보다
더중요하지않다 <그래서> 두사람의 행복을 비교할때 오직 그 둘에게 산출될 행복의 양들만을 고려한다.

일단 이 문장자체가 이해가안가네요
개개인의행복을 모두<동일하게>중요한것으로 간주하는데 어떻게 두 사람의 행복을 <비교> 할수가
있나요

그리고 이와 연관해서 지문에딸린 첫번쨰 문항 4번선지,
몸살환자보다 다친사람을 돕는것이 <더많은행복> 을 산출한다고 판단했겠군?

지문에서 어느 누구의 행복도 다른누구의행복보다 더 중요하지않다고 해놓고 이게 무슨말인가요?

도저히 이해가안갑니다 가르쳐주실수있나요?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깡깽 · 484764 · 14/10/28 15:54 · MS 2013

    우선권과 양의 차이라고 말하면 되려나요

  • on-line · 511425 · 14/10/28 15:56 · MS 2014

    잘 이해가 안가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수있나요 ㅎ

  • 깡깽 · 484764 · 14/10/28 16:06 · MS 2013

    영화를 예로 들어보자면, 어떠한 장르의 영화라도 그것은 장르의 구분없이 다 영화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런데 어떤 영화광이 있어요. 그 사람은 어떤 영화든 많이 볼수록 재미를 느껴요. (질적 우선순위 배제, 나는 SF영화가 제작 면에서 로맨스 영화보다 더 높은 난이도와 비용을 요구하므로 SF가 영화적 면에서 더 가치있다, 이런 거 없음. 영화는 다 똑같다 입장.) 그럼 SF영화든 로맨스 영화든 많이 보면 장땡이죠? 대충 그런 맥락.

  • 깡깽 · 484764 · 14/10/28 16:10 · MS 2013

    윤리를 하시면 양적 공리주의로서 이해가 쉬운데 허허..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 on-line · 511425 · 14/10/28 15:58 · MS 2014

    더중요하지않다 = 선착순10명 한테 100억씩준다고할때 친한사람이라고 우선선발하지않는다.

    그 둘에게 산출될 행복의양들만을 고려한다= 부자한테 100억주는것보다
    노숙자한테 100억주는게 더 좋다?

    잘 이해가안가네요

  • 시발점 · 418219 · 14/10/28 16:10 · MS 2012

    님이 얻는 쾌락 1이나 제가 얻는 쾌락 1이나 같다는 의미입니다. 구렇기 때문에 양만을 기준으로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고요.
    4번 선지는 중환자에게 시간이라는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친구한티 시간을 쏟는 것보다 쾌락을 더 많이 만든다는 의미고요 (중환자: 38 > 친구: 5)

  • 샤니악 · 358228 · 14/10/28 16:13

    전통적 공리주의자는 행복의 양을 비교한다고 돼있네요. 개인의 행복에 질적 차이는 없고 양이 많으면 더 좋다는 뜻입니다.
    4번 선지는 이 놈이 전통적 공리주의 관점에서 행동했을 때를 보라는 것이므로 다친놈을 구한게 행복의 양이 크다고 본 것이죠.
    행복의 양⬆➡더좋음
    행복의 양:몸살 간호<다친사람 구하기➡다친사람 구하기 더 좋음

  • minsooooooo · 356938 · 14/10/28 16:52 · MS 2017

    개개인의 행복을 모두 동일하게 중요시한다는 말은 쉽게 말하면 이건희같은 사회 지도층이나 노숙자나 쾌락을 느끼는건 똑같다는 말이에요. 똑같다는 말의 예를 들자면 이건희와 노숙자가 둘다 쓰러져 병원에 입원할 상황이 생겼을때 이건희가 더 중요한 사람이니까 이건희를 먼저 입원시키자는게 아니라 이건희와 노숙자중에 누가 더 심각하게 다쳤는지를 고려해서 먼저 입원시킬 사람을 정하는 거죠.

    따라서 행복을 비교할때 둘에게 산출될 행복의 양만을 고려한다는 말은
    이건희가 더 중요한 사람이니까 이건희의 행복에는 가산점 x2를 해서 고려하자는게 아니라
    이건희나 노숙자나 똑같은 사람이니까 둘이 느낄 행복을 똑같은 방식으로 계산하자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