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511425] · MS 2014 · 쪽지

2014-10-27 15:28:32
조회수 217

11-6 (10년시행) 사막의형성요인 질문좀받아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79008

이 지문에 딸린 2번째 문항에서


ㄷ이 오답인것과
ㄹ이 정답인건알겠는데

ㄱ과 ㄴ이 불확실합니다

'느낌'상 ㄴ보다 ㄱ이 더 적절한것같긴한데,

[A] 에서 사용된 가설의 <검증방법> 으로써 ㄴ이 불가능한 이유가 뭔지 모르겠어서
ㄴ에 시선이 꽂히네요..

1.탄소동위원소분석
2.고지자기(자기장)분석

이 2가지가 <ㄱ.추가적인증거> 인지 <ㄴ.적용가능한 새로운현상> 인지 판별해낼 힘이
저에겐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번이마지막.. · 481988 · 14/10/27 16:25 · MS 2013

    과학자들은 화석의 탄소 동위원소 분석 "뿐만 아니라" 퇴적 지층에 대한 고지자기 측정을통해..~- 이부분을 통해 추가적인 증거를 통해 보강한다고 할 수 있죠. 고지자기 즉 과거 지구장 측정 결과을 통해 이지역이 히말라야 산맥의 형성과 함께 융기하였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이부분입니다.

    적용 가능한 새로운 현상이라는 건 말그대로 사막의 형성 과정이 아닌 다른 현상을 빗대어 말해야 합니다. 즉 고지자기 분석 방식이나 탄소 동위원소 측정이 사막의 형성 과정 외에 다른 현상에 적용될 수 있나가 나와야 할 것 같아요

  • on-line · 511425 · 14/10/27 18:34 · MS 2014

    박광일t 가 '적용가능한새로운현상' 을 지각변동으로 인한 호주대륙의 사막형성 으로 설명하셨는데 이것도 맞는거겠죠?

  • 이번이마지막.. · 481988 · 14/10/27 16:28 · MS 2013

    고지자기 분석이 적용 가능한 새로운 현상을 찾는게 아닌-> 고지자기 분석을 통해 산맥의 형성과정의 내용을 보강하는 것입니다.

  • on-line · 511425 · 14/10/27 18:30 · MS 2014

    감사합니다 ,

  • 샤니악 · 358228 · 14/10/27 17:47

    추가적인 증거와 새로운 현상은 다릅니다.
    추가적인 증거라 하면 기존의 이론에 부합하는 내용중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은 사실이면 됩니다. (증거의 양적 추가)
    새로운 현상은 현상 자체가 기존에는 나타나지 않았어야 합니다.
    (새로운 현상의 등장-없었던 것이 생김)

  • on-line · 511425 · 14/10/27 18:29 · MS 201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