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수집법 또 궁금한거생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74240
자신이 외부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책을 쓴 다음, 그 책으로 사회문화현상을 탐구하는데 활용했다면 이는 문헌연구이고, 그 책은 2차자료이다. (○,×)
전 막 이런 이상한 질문이 막 떠오름ㅜㅜ 답이뭐죠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74240
자신이 외부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책을 쓴 다음, 그 책으로 사회문화현상을 탐구하는데 활용했다면 이는 문헌연구이고, 그 책은 2차자료이다. (○,×)
전 막 이런 이상한 질문이 막 떠오름ㅜㅜ 답이뭐죠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문헌연구는 다2차자료에요..
저상황에서는 1차인듯
저런생각하지마세요 논리흔들리니까..
자기가 책을만든걸 자기가 또보니까
좀 지나치게 연상햇죠ㅎㅎ
일반적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수집한 연구 자료는 2차 자료여서 연구자의 목적과 의도에 꼭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1차 자료는 연구자 자신이 직접 만든 자료인데 비해, 2차 자료는 다른 사람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서술하였거나 연구된 내용이기 때문이다.
네이버백과에요
조금만 검색해도 알수잇엇네요ㄷㄷ
가공된(통계처리 등) 자료는 2차자료예요 1차는 원자료여야됨 따라서 2차자료로 봐야할듯해요
윗님 하지만 자기가직접만들고 기록 했다는점에서 1차자료적 성격도있어요
결론은 수능에안나와요 요네님 ㅎ
이정도까진 안묻겟죠?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