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엄 [384236] · MS 2011 · 쪽지

2014-10-04 08:32:59
조회수 1,677

법과정치,경제 하는 유저인데 진짜 이둘은 필수과목해애 한다고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21556

진짜 살아가는데있어서 세상이 어떻게 돌아 가는지 , 신문에선 뭐라고 떠드는지 이해할수있게 해주는 필수적인 기초 상식 지식인데

이렇게 중요한 과목 ,단원들을 지나치고

대학입학한다는거 자체가 말이안된다고봄

점수딸려고
별 쓸모도없는 사회문화 기능론이니 갈등론이니 한국지리니 배우는게 참 아쉬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수바보 · 502815 · 14/10/04 08:44 · MS 2014

    이과생(20세,재수생) : 우리 몸은 우리가 잘 알고 지켜야 한다. 따라서 생명과학을 필수과목으로...

  • 설교간다남자 · 507659 · 14/10/04 08:44 · MS 2014

    다 나름의 권위가 있는 과목인데.. 사문, 한지유저들을 그렇게 다 일반화하면서 까내리는거보면 님 사문을 꼭 배우셔야할듯

    저는 참고로 한국사 법정러

  • 니엄 · 384236 · 14/10/04 08:49 · MS 2011

    사회문화 햇던 사람으로서 솔직히 뜬구름잡는 소리만해대는 거 맞음. 솔직히 폐지되야된다고봄

  • 점수를올려라 · 517848 · 14/10/06 01:02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설경(雪景) · 444924 · 14/10/04 08:47 · MS 2017

    타과목이랑 선택자 무시하는 수준ㅉㅉ
    초등학교 도덕 배워야될듯.

  • 니엄 · 384236 · 14/10/04 08:52 · MS 2011

    언제 무시했음? 왠 ㅉㅉ ? 왜 ㅂㄷㅂㄷ? 까놓고 말해서 경제,법,정치가 중요한게 맞음 .. 어디특산물이 뭔지 아는게 중요한게아니라

  • 설경(雪景) · 444924 · 14/10/04 08:54 · MS 2017

    저 경제 전국경시 입상잔데요.
    남 까내릴 시간에 공부나 하세요ㅋㅋ
    점수 못따니까 ㅂㄷㅂㄷ하시는거같은데

  • 설경(雪景) · 444924 · 14/10/04 09:24 · MS 2017

    작성글보기 qhwl1 (니엄)
    09/03 17:38

    6월에공부시작해서 사탐경제로햇는데
    일단 시간이 언외처럼 부족한 과목이네요 ... 아 괜히한듯



    네 다음 자아분열

  • 심정화 · 482451 · 14/10/04 12:45

    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 ㅋㅋ ㅋ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ㅠㅋ큐큐큐큐큐큨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 꾸입! · 392603 · 14/10/04 08:49 · MS 2011

    아이디가참귀엽네요

  • 구구절절 · 444294 · 14/10/04 08:49 · MS 2013

    통합사회 이런거 만들지 않는 이상 힘들듯...

  • 타로맛버블티 · 468405 · 14/10/04 08:52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발딛음 · 524315 · 14/10/04 08:54 · MS 2014

    이런거 자기 혼자 생각하고 말면 되는데 여기다 떠드는거 자체가 말이안된다고봄
    자기도 대학가려고 사탐 공부하면서 각 과목만의 의미를 무시...

  • 내여자Yeoni · 517950 · 14/10/04 08:59 · MS 2017

    다 살아가는데 중요한 과목아닐까요

  • asos · 478820 · 14/10/04 08:59 · MS 2013

    법정 경제 한국사 세계사 지리 윤리 물리 1 2 화학 12 생물 12 다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 수준 과목은 다 너무나 중요한듯..

  • Lekahil · 463255 · 14/10/04 12:24 · MS 2013

    지구과학 어디감 ㅠ ㅠ

  • 심정화 · 482451 · 14/10/04 12:47

    지구과학 어딧노.ㅠ

  • asos · 478820 · 14/10/04 12:52 · MS 2013

    지구과학은 물리 화학에 포함시켜도 될거가타서...

  • 푸른찌르레기 · 456355 · 14/10/04 09:02 · MS 2013

    개인적으로는 법정 한국사 윤리 지리 물리 화학까지는 최소한 공통으로 하는게 좋지 않나 싶네요.

  • 아모네 · 385844 · 14/10/04 09:07 · MS 2011

    니엄마

  • GlassCase · 463916 · 14/10/04 09:24 · MS 2013

    글쓴분 법정하신다 했는데 아직 1단원 공부는 약간 덜하신듯 하네요.
    생활 양식으로서의 민주주의 요소에 관용 정신이라는게 있는데.. 수능도 얼마 안남았는데 꼭 복습하시길..

  • APOllO. · 502985 · 14/10/04 09:24 · MS 2014

    그래 탐구 열심히 해서 꼭 신문에 나오는 정치경제면 100% 이해하도록 해라~홧팅ㅋ!

  • jayden · 448929 · 14/10/04 09:24 · MS 2013

    필요없으면 과목을 안만들었겠죠?ㅎㅎㅎㅎㅎㅎ

  • 대한민국의 대통령 · 452877 · 14/10/04 09:33 · MS 2013

    다른과목도 얼마나 중요한데......

  • Epioptimus · 415793 · 14/10/04 09:49 · MS 2012

    2과목 체제가 말이안된다고 봐야죠 이과는 더 심각.. 공대오는애들이 물리화학 모르고 오는애들도 있습니다

  • soulciety · 520715 · 14/10/04 09:50

    쓸모가 없긴.. 사회문화 논술쓰는데 도움 많이 되는데요?

  • yksa · 480852 · 14/10/04 09:55

    경제 한국사 응시자로서 ㄹㅇ개소리
    경제도 이상주의적 학문이고 고등학교 경제는 일부에 지나치지 않음
    법정? 고등학교 과목으로 뭘 얼마나 안다고 그것도 극히 일부일 터인데 그리고 법이 개입할 상황에선 어짜피 변호사가 있으니 지장없음
    어짜피 고등학교 수준 탐구아는 건 아무것도 아님
    윤사배운다고 철학을 떠들 것인가 법정배운다고 사법 정치를 논할 것인가 경제배운다고 재계에 관해 논할 것인가
    그리고 한지 무시하시는데 지리적요인이 한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데 깎아 내리는지
    당신은 세상의 중심이 아니니 자기중심적 사고 버리시길

  • 칠판 수업 · 509052 · 14/10/04 09:56 · MS 2014

    신문에 있는 사설이나 좀 읽어보세요. 말도안되는 소리를 하고있네

  • 별표세개조지삼 · 424146 · 14/10/04 10:06 · MS 2012

    이분 최소 교육부장관에 경제학박사 법학박사 정치학박사

  • 얼라이프 · 503582 · 14/10/04 10:09 · MS 2014

    차라리 세계사가 더 중요하지 않나... 이상 법정 사문 선택자

  • 부리부리몬 · 400355 · 14/10/04 10:44 · MS 2012

    일부러 어그로 끄는거같은데..

  • PiaTe · 467201 · 14/10/04 11:07 · MS 2013

    문이과 통합되면서 나오는 통합사회(윤리+역사+일빈사회+지리)랑 통합과학(물+화+생+지)은 수능필수 될 것 같네요.

    그리고 고등학교 과목들 괜히있는거 아닙니다.

  • 금강불괴 · 516043 · 14/10/04 11:53 · MS 2014

    아가야 일단 윤리나 배우고 와 우쭈쭈

  • 하츠네미쿠 · 475392 · 14/10/04 12:21 · MS 2013

    상관없습니다.
    대학 들어가면 사탐 모든 과목을 다 배울수있습니다.
    교양강의만 들어도 고교과정이 굉장히 얕고 피상적이었구나 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이배울수 있습니다.
    전공은 말할 것도 없구요.

  • hellolaw · 425479 · 14/10/04 13:17 · MS 2012

    그러나, 고등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필수적으로 배워야할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대학교에서 다양한 교양 과목이 있는 것은 맞지만
    비인기 교양은 폐강될뿐더러, 우리나라의 전공중심 대학과정에서 교양과목 교육은 찬밥신세도 학점 또한 제한되어 있어 많은 과목을 학습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개설된 사회나 과학 분야를 듣지 않는 사람이 대다수지요
    예를 들어, 인문계 학생이 자연계 과목을 안 듣는것 혹은 자연계 학생이 인문계 과목을 안 듣는 것 등이 해당되지요

    그리고 위의 연장선이긴 하지만, 대학에서 사탐 모든 과목을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법대가 없어지고 대학원으로 이동하면서 학부에서 법을 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상당히 줄었습니다.
    또한, 지리 같은 비인기 과목은 아예 과가 없는 대학도 부지기수입니다.
    전공도 사실 우리나라 교육에서 진짜 배우고 싶어서 제대로 배우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 평소에 놀다가 시험기간에만 밤새서 외우고 치고 나시험 끝나면 다 휘발되서 기억도 안 나지요

    그래서 초중고등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는 것입니다.

  • Lekahil · 463255 · 14/10/04 12:22 · MS 2013

    물2화2 필수해야되는데 왜 안하지? ㅡㅡ

  • hellolaw · 425479 · 14/10/04 13:11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hellolaw · 425479 · 14/10/04 13:11 · MS 2012

    법정, 경제 중요성 인정합니다.
    근데 다른 과목들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한국사만 중요하니 수능 필수화하고 할 때 제가 이런식으로 반대했었거든요

    중요한 과목이 어디 국사뿐이겠냐구요

    그리고 님은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사회문화를 제대로 공부하면서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을 학습하면서
    다양한 시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제대로 공부하지 않으면 그냥 현실에 쓸모 없는 과목이라고 생각하겠죠

    우리 공부라는 게 꼭 현실에 쓸모 있어야만 배우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과목들은 수능 수준에서는 현실에 쓸모 없습니다.

  • 찐빵먹고싶다 · 524075 · 14/10/04 16:02 · MS 2014

    솔찍히 지금배우는건 수능수준인데..
    누가보면 학자인줄알겠네

  • 경교15학번가자 · 410131 · 14/10/06 00:53 · MS 2012

    저는 세지 없이 글로벌시대를 어떻게 살아갈지

  • 연일 · 382244 · 14/10/06 01:17 · MS 2011

    지구과학 안배우고 어떻게 지구에 살아요 양심도 없이..

  • ㅎㄴㅈ · 322471 · 14/10/06 08:22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