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9-28 22:40:28
조회수 373

구개음화 갑자기 헷갈리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09638

분명히 굳이 구지 같이 가치 이런 식으로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생기는 현상인데

수완 실전1회에서 16번에 2번 티다가 치다가 이것도 구개음화라 하니까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그냥 자기 혼자 바뀐 것도 구개음화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esthetism · 523619 · 14/09/28 23:04 · MS 2014

    다가 연결어미에요~

  • jerrytwo · 480154 · 14/09/29 00:07 · MS 2013

    티다에서 다가 영향을 미쳐서 티가 치로 바뀌었다는 말씀이신가요? 그건 아닌 것 같은데...

  • honeybeee · 511000 · 14/09/29 00:30

    구개음화의 정의 자체가 '구개음이 아닌 음이 구개음으로 바뀌는 것' 입니다. 티다가→치다가 로 바뀐것도 옛날에 티다가 라고 발음했는데 언중들이 점점 구개음화시켜 치다가 라고 발음하게 되어 치다가로 언어가 아예 변이한 거죠. 옛날에는 '티다가' '둏다'가 이렇게 발음하는 단어들이 많았지만 모두 구개음화가 일어나서 현재는 저런 식의 단어(어근)가 없어진거에요.
    '굳이' 여기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나는데, 이걸 '구지' 라고 표기하면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기본 맞춤법 원칙어 위배되죠. 따라서 굳이라고 쓰기는 쓰되, 구지 라고 발음하는것을 규정하고 표준 발음법에 '구개음화' 라고 정해 둔거에요.
    즉.. 원래 구개음화는 형식형태소 이런거 상관없이 모두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현대에는 어근들은 모두 구개음화된 상태로 정착이 되어 버렸기 때문에 원형을 밝혀 적을 필요가 있는 어근과 형식형태소 사이에서만 구개음화를 얘기하게 된 겁니다.

  • honeybeee · 511000 · 14/09/29 00:33

    문과신가요...?? 수능범위에서는 현대 문법만 다루고 저렇게 고전문법은 안 나오는 줄 알았는데 이과만 그런가보네요ㅠㅠ

  • jerrytwo · 480154 · 14/09/29 00:42 · MS 2013

    네 저는 문과입니다.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리가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