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9-12 20:36:53
조회수 3,201

사문 자극 전파와 발명 구분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66697

이번 9평 16번 문제에서 발명과 자극 전파가


사회 내부의 요인에 의해 나타났는가?라는 질문으로 구분이 되었는데

자극 전파의 정의가 교과서 서술에 따르면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새로운 발명을 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발명이 가져야할 조건을 모두 자극 전파가 충족하고 있다는 것인데

자극 전파가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게 아닌가 의문이 듭니다.

아니면 자극 전파 정의에 쓰인 발명은 사전적 정의일 뿐이고

위의 발명은 사회문화 교과 개념인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ameonit · 519401 · 14/09/12 21:55

    발명은 한 사회 내에서 최초로 만들어내는거고 자극 전파는 외부요소가 반드시 개입되고 그 외부요소랑 내부요소를 융합해서 새로운 걸 창조해내는거죠. 발명은 다른 사회의 요소를 받지 않고도 한 사회내에서 그냥 새롭게 나타나는겁니다. 내부 외부요인으로 나눈 이유가 여기있습니다.
    예를 들면 김치는 한국이 발명한거고 김치스파게티는 한국이 이탈리아의 스파게티를 받아들여서 만들어낸거니까 자극전파 개념이죠. 물론 이것도 발명의 일환이지만 사회문화에서 쓰이는 그 발명은 우리가 국어사전에서 찾는 발명이랑은 약간 다른 의미입니다.

  • 화이팅) · 1202432 · 24/10/02 14:35 · MS 2022

    오래된 질문이지만 혹시나 저처럼 헷갈려서 검색하다가 오개념 얻어갈까봐 정확한 개념 댓글로 남깁니다.

    애초에 카테고리 자체가 다르다는걸 생각하고 들어가면 둘을 같은 선상에서 고민하는게 의미없단걸 알 수 있습니다.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 이렇게가 대분류입니다. 외재적 요인의 종류 중 하나가 자극 전파고, 내재적 요인의 종류 중 하나가 발명입니다.

    자극 전파와 발명의 구분은 발명의 유무로 하는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회 문화의 요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가 중요합니다. 발명을 했단건 같을지라도 그저 경험이나 국내의 지식으로만 했다면 내재적 요인에 의한 것이니 발명이고, 다른 나라와 같은 외부 사회와 접촉하고 교류하다가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것을 만들었다면 외재적 요인에 의한 것이니 자극전파인 것이죠.

    추가로, 자극전파가 내부요소랑 외부요소가 결합한거라 착각하기 쉬운데, 자극 전파는 기존 요소가 없다는게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기존요소에 외부 요소가 더해져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문화융합과 구분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자국의 요소에 더해진게 아니라 외부 자극에서 아이디어를 얻는것이 자극 전파입니다.

    저는 최적 선생님의 오르비 칼럼과 수능특강 그리고 윤성훈 선생님의 글을 보고 공부하여 이같은 결론을 얻어냈으니 정확할 겁니다.

  • naedtrbl · 906904 · 24/11/10 22:32 · MS 2019

    마지막 점검 전 순간 헷갈려서 잘 정리하고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