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dog [414727] · MS 2019 · 쪽지

2014-09-10 12:12:01
조회수 704

윤사)Q. 성리학심성론에서 제가 잘못생각하는 부분이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59338

성리학의 심성론에관하여 공통점을 서술할것이고 혹여나 완전히 틀린내용이거나  이이나 이황 한 사상가만 들어맞는 내용이 있으면 틀린것이니 지적해주세요.


심성론에는 2가지특성 (性,情)이 있는데

性은 발동X 드러나지않은 상태의 마음이고(미발)

情은 이미 드러난 상태의 마음이다.(이발)

성리학에서는 본성(性)은 인의예지의 사덕이라 본다. 情은 사단과 칠정으로 나뉜다. 

이 사덕은 본연지성(타고난 그대로 순선무악)과 기질지성(본연지성을 담고있는 기의 성질 가선가악)으로 나뉜다. 여기서 淸(청)한 이를 성인 濁(탁)한 이를 범인이라한다.


성에서 본연지성이 발하면 사단이고 기질지성이 발하면 칠정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게EBS · 487449 · 14/09/10 12:41 · MS 2017

    한국성리학중에서 이황쪽아닌가요?

  • genius sociology · 285572 · 14/09/10 12:50 · MS 2009

    본연지성(리-사덕)은 기질에 담겨있는데 이러한 전체를 기질지성이라 합니다..
    이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질지성은 기를 주로한 것이고, 본연지성은 리를 주로한 것이니 구분해야한다.
    이이: 저렇게 되어 있는데 왜 구분하냐..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을 포함한다.

    본연지성(리-사덕) 발하면 사단 - 이황만됩니다.
    기질지성이 발하면 칠정이 된다. - 이황.이이 아무도 이런말 안씁니다..기질이 발하면 칠정이 된다고 해야 공통점

  • flowdog · 414727 · 14/09/10 13:02 · MS 2019

    답변 감사드립니다. 기질과 기질지성의 차이가 있나요?

  • genius sociology · 285572 · 14/09/10 13:08 · MS 2009

    기질(기)과 리를 합친 개념이 기질지성입니다. 즉 형이상의 원리인 리가 물질적 요소인 기(기질)에 쳐박혀 있는 모양을 기질지성이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