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변이꼴조인성 [501233] · 쪽지

2014-09-09 08:34:07
조회수 889

빠르게 늙는 한국…고령인구 증가속도 OECD 최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54785



-지난 40여년간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이 9일 OECD 34개 회원국의 인구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12.2%로 30위에 머물렀지만 증가 속도는 1위를 기록했다.

각국의 고령인구 비중을 1970년 1로 설정하고 2013년까지 몇 배로 증가했는지 비교할 때 한국은 4.0배로 가장 높았다. OECD 평균 1.6배와 비교할 때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다.

일본이 3.6배로 2위였고 다음으로 핀란드(2.1배), 포르투갈·이탈리아(2.0배), 체코·캐나다·스페인(1.9배) 등의 순이었다.

한국의 중위연령(전체 인구를 나이순으로 볼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2010년 37.9세로 1970년 19.0세보다 18.9세 늘어나 고령인구 비중 상위 10개국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그다음은 일본으로 같은 기간 28.9세에서 44.7세로 15.8세 증가했다. 증가 폭 3∼5위는 캐나다(14.0세), 이탈리아(10.2세), 독일(10.0세)이었다.

한국의 유소년 인구(0∼14세) 비중(2013년 기준)은 14.7%로 26위를 차지했다. 이런 비중은 1위인 멕시코 28.4%의 절반 수준이자 OECD 평균 17.4%를 밑도는 것이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은 73.1%로 OECD 평균 66.6%를 웃돌며 1위에 올랐다. 이는 1950년 한국전쟁과 1970년대 베트남 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가 생산가능인구에 여전히 편입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산업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2012년부터 시작된 생산인구의 감소와 베이비붐 세대 은퇴시기의 도래는 미래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1:안좋은거 1등하는건 OECD 국가 중에 우리나라가 1등?
댓글2:이게다먹고살기힘들어서 애안낳으니까이러지
댓글3:육이오이후 너무 많이번식했지. 인구밀도만큼 우울한 나라인거다.
댓글4:제일 큰 문제는 지표로나 현실 체감으로 보나 서민들은 이미 한국이 회복불가능할 정도로 저출산이 지속되고 젊은이들의 희망이 꺾여가는 것을 느끼고 있는데 기업들과 정치권들은 자신만의 세상에 살면서 얼마나 더 남은기간동안 서민 피빨아먹을까 고심만 하고 있는상태. 초저출산율을 자랑하면서 그에대한 대책은 다른 출산율 높은 나라보다 훨씬 뒤쳐진다. 앞으로 5년안에 젊은이들에게 주거부담을 없애주는 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이 나라는 이민물결이 이는 서민이 나라를 포기하는 현상이 주를 이룰 것이다.
댓글5:나중에는 젊은 세대가 많이 줄어들어서 김연아,류현진,유능한 기업인들이 생겨나질 않고..그럼 발전이 미미해질테고..그럼 몇 십년 뒤엔 그냥 중국한테 먹히는거 아닌지..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사교육이 포함된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돈 까스가 먹고싶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kttss.kkttss · 503667 · 14/09/09 08:43 · MS 2014

    한국은 끝났어요

  • Izayoi Aki · 304134 · 14/09/09 09:13 · MS 2009

    솔직히 한국 인구 너무 많아요. 이런 좁은 땅덩어리에 5천만이나 바글바글대니.. 그렇다고 천연자원이 있는것도 아니고... 이러니까 사람 귀한줄 모르니 요구하는건 해가 갈수록 많아지고 그에 대한 임금 수준은 물가수준에 비추어 볼 때 점점 하락하고 가면 갈수록 중산층이하의 삶은 고달퍼져만 가고... 더군다나 지금 수준의 임금도 주기싫어서 이젠 외국인노동자 받아서 쓰고 '너 아니어도 외국인 노동자 쓰면 됨 배째' 이런식의 분위기가 만연하니.. 그리고 태어나는 아이들을 무슨 장래의 세금,연금 운영하는데 필요한 구성원 정도로 인식하는데.. 인간의 가치를 이정도로밖에 평가하지 않는 곳에서 애를 낳고 싶을지...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가 빠른 것은 결국 필연적인 결과죠... 갑질하는 사람한테는 뭐 우리나라보다 더 유토피아 같은 곳이 없겠네요.

  • 상변이꼴조인성 · 501233 · 14/09/09 09:34

    와 리얼 공감이네요..만약 통일을 한다면 어떻게 될 것 같으세요?더 살기 벅찰까요?

  • Izayoi Aki · 304134 · 14/09/09 10:29 · MS 2009

    통일이 된다면 인구가 1억까지 성장해서 일본처럼 내수만으로 국가경제가 돌아간다라고 하며 통일옹호론자들이 하는 말인데 더이상 뭐라 할 말이 있을까요? 통일하면 물론 영토, 인구수 등 대외적으로 보이는 지표야 좋아보이겠죠. 그런데 그게 일반 서민들의 삶에 좋은 영향을 미치던가요? 우리나라 수출이 늘고 대기업들이 선전한다고 해서 당장 우리의 삶이 나아지던가요? 낙수효과는 이미 허상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가계는 계속 가난해지고 기업들의 금고에는 주체할 수 없을정도로 돈이 쌓이고 있다죠? 통일도 결국 본질적으로 이런 효과를 가져올겁니다. 북쪽 국토개발한다고 건설업 쪽은 큰 이득을 보겠죠. 그런데 일반 국민들은 북한사람들 먹여살려야하고 북쪽 개발하는 인프라 사업 자금 대기 위해 무거운 세금 부담을 지겠죠? 그리고 지금도 재정파탄 이야기 나오는 연금, 건강보험들의 대상이 북쪽 사람들에게까지 적용된다고 생각해 보세요...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 않나요? 이런 상황에 처하면 과연 북쪽 사람들도 우리민족이라는 생각이 앞설까요 아니면 당장 먹고살기도 힘든데 민족이 뭔상관이냐라는 생각이 앞설까요? 진짜 극히 현실감각 없는 사람 아닌 이상 후자가 대부분일거라고 보네요.. 결국 통일로 인한 이득은 일부가 대부분 차지하고 그로 인한 부담은 일반 국민들이 다 지게 될겁니다...

  • 상변이꼴조인성 · 501233 · 14/09/09 10:52

    그렇군요ㅠㅠ 지금은 일단 공부나 열심히 해야겠네요. 꿈도 목표도 없는데 입시를 마치고..얼마 안지나서 취업을 생각하려고 하면 죽고 싶을 듯...하네요ㅠㅠㅠㅠㅠㅠ나 자신도 아직 확실히 누군지도 모르는데 말이죠...
    아무튼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전 항상 통일이나 고령화에 대한 대책이 나올 줄 알고 긍정적이게 바라봤거든요..이제야 양면?으로 볼 수 있겠네요.

  • sunnj · 439759 · 14/09/09 18:43

    한국지리 이기상쌤 수업들었는데 일본이 여태까지 노령화 속도 세계 최고였는데 우리나라가 훨씬 앞지르고 있다네여 ㅎ 그러면서 일본에 노인밖에 없으니깐 일본정복할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를 하셨죠 ㅋㅋ

  • 상변이꼴조인성 · 501233 · 14/09/09 18:47

    우스갯소리로 중국이 한국과 일본 둘 다 먹을 수도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