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에 수학이어떻게 쓰이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44750
경제학과는 수학이 많이 쓰인다고 하잖아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는 전제조건하에 니네는 뭔차탈거임
-
작수 미적 백분위 81맞고 확통런한 통통인데요.. 원래 수1,수2, 확통 모두...
-
여운줄 알았는데 8
진짜 여우상 미녀였네ㄷㄷ
-
화생하다가 화학버리고 사탐런하는 현역인데 6월부터 사탐 시작하려는데 인강뭐듣고 공부 어케해야함???
-
주식 ㅇㅈ 16
내 돈 내놔ㅏㅏㅏㅏㅏ
-
어느쪽이 더 비율 적을까
-
집에 밥솥이 있으면 밥을 해 먹는 게 햇반 먹는 거보다 싸다 근데 밥을 밥솥에 오래...
-
은테녀 자러간다 3
그럼 20000
-
우고쿠나가 뭔가요..? 21
애니 관련 같은데 제가 잘 몰라서...
-
캡처당할까 개무서울 거 같은데 다들 어케 하냐
-
어떻게 이럴 수 있지
-
내 돈 내놔 이자식아
-
독서는 독학하고 문학만 강기분 들으려고요
-
근데 저정도로 예쁘면 오르비에 인증해서 문제생길 일이 없음 8
심자어 디시에 했어도 별일 없을거임
-
어디까지인가요? 저 언미영물지 52245인데요 어느 정도는 노력했는데 머리도 별로...
-
강민철쌤 피카소화 시켰더니 블라인드 처리되서 무서워서 못하겠네
-
김과외 드디어 왔다 11
감동tv
-
카나토미 다음 0
기출 추천해 주세여 기하러예여
-
탈출하고 똥테가기
-
대학: 없음 외모: 친구 피셜 9등급, ai 얼평 하위 3% 리셋 ㄱㅈㅇ~
-
님들이라면 어디 감?
-
확통 만년 3등급 이하 탈출 어케 해야 할까요…. 16
고3 때 교육청 싹 다 3등급♡ 평가원 6월 평백 94로 2등급 제외 9,수능 싹...
-
그래도 좀 산 인생 있다고 몇몇 생각 정리해서 쓴 글입니다 1. "자신감 있게 크게...
-
이제 ㅇㅈ 안해야지 13
전체 ㅇㅈ은 너무 무서워 오늘은 같이 하자고 해서 했지만 이젠 안함
-
모시고 산다 ㄹㅇ
-
도전!! 해봤는데 어제 실패함
-
힘들다진차
-
내 자랑거리는 2
일본어밖에 없구나 근데 이것도 본격적으로 일본 살아본 사람한텐 개같이 밀리는데 하...
-
우린 나중에 오르비에서 썰풀거리 하나 생긴거다ㅋㅋ 저분이 박제되든 말든 우리가 알바...
-
현재 나온 자료 중 가장 개정 수능국어의 출제 경향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책이 바로...
-
부엉부엉 맞지요?
-
아침 점심 저녁 맛있는 음식으로
-
혼틈맞팔구 12
잡담태그잘달고강평드립별로안쳐요제발맞팔해주세요
-
심란하다 심란해
-
그래서 다음차뭐사냐 19
추천좀
-
흠
-
나 약간 16
쓸개
-
예비 고3입니다. 기출도 어느정도 돌린거 같아서 사설 찍먹 해봤습니다. 강k로 봤고...
-
저처럼
-
자기 개 발 1
보여줄사람
-
이항로 b 고프먼 a 지도학습 aa 지도학습과 고프먼은 전혀 딴판 이야기이니 논외로 치자고
-
그래 저렇게 예쁜 사람들도 발전하려고 하는데 내가 뭘 가진 게 있다고 노력도...
-
프사 뭐하지 18
-
ㅅㅂ 난 가진게 이거뿐이라
-
ㄹㅇㅋㅋ
-
암만 생각해도 현장에서 아예 쳐다도 안보고 통으로 찍고나온 판단 <<<< 잘했음
-
진짜 중간 끝나고 1박 2일로 갔다올까..
-
도전!!
-
한부모라서 한부모전형 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22살(만20세)입니다 정부24...
1학년때 학부기초로 경제 경영 수학 배우고
거기서 행렬에 여인수행렬 전치행렬 등등..
미분적분 다 확장해서배워요 지금수학하시는게 안쓰일까봐 걱정하시지않아도됩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경제수학을 잘한것은 아니지만 학부 쉅시간에 배웠던 기억으로 몆자 써볼게요~ 일단 그래프로 보통 못보여주는것도 배워요ㅋ 학부과정에서 수업에서는 최대값 최소값구하는 것을 많이 하는데 y=x 꼴은(독립변수 하나) 2차원 평면에 그릴 수 있고 z=x+y 꼴은 3차원에서입체로 그릴 수 있는데(x y를 가로세로로 교차시켜 놓고 z를 높이로) z=x+y+r+d 이런거처럼 3차원이 넘어가는건 그래프로 보여주기 힘들죠. 경제학에서는 변수가 2개보다 많은 경우가 많아서 저런 경우에도, 아니면 변수들의 최대값같은것에 제약이 걸려있는 경우에 함수 자체의 최대값(예로 최대이윤) 이나 최소값(예로최소비용)을 구하는 일을 자주 합니다. 이런것을 하는데 행렬이 계산을 편하게 해주는 도구적인 역할을 하고 미적분이 기본원리? 가 되어줍니다. 또 로그도 이자율 이런거 계산하거나 할때 써먹는다 합니다.(이건 기억 잘 안남ㅠ)
또 통계도 배웁니다. 고등학교때 배우는 확통이 기본이고 더 나아가 통계적 추론 같은것도배웁니다.(통계는 아직 잘은 모릅니다.)
위에서 언급한 정도 배우면 학부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에서 문제가 없다고 하네요. 여기서 수학을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해석학,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등을 배운다던데 이런 과목들은 안들어보아서 모르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뭐가 확 뚫리는 느낌이네요
개론에서야 미적분도 제대로 안쓰지만 올라갈 수록 많이 씁니다.
저는 경제학과는 아니고 2학년 전공인 미시이론,거시이론 수업들었는데요
미분은 객관적인 자산과 주관적 효용을 결합시키는 쪽에서 기계적인 미분을 쓰구요.
(주어진 제약하에서 효용 멕시마이즈 or 반대로 동효용내 예산 최소화 등.
대출,차입 이런거 할때도 마찬가지고..)
적분은 그래프 넓이 구할때 밑변 높이 이런식으로
하기도 하지만 바로 적분때리는 경우도 있고해서 많이 씁니다. 그리고 계량경제학 쪽
들어가면 본격적으로 통계를 배우고 벡터도 좀 쓰고 하는 걸로 알아요.
고등학교 때 하는 수학을 엄청하고 싶으시면
상경대보다는 이과쪽.. 그중에서도 수학과보다는
공대 오시면 됩니다. 기계,전자 등ㅋㅋ
어휴 감사합니다 확 와닿네요 ㅎㅎ 대학생 포스
그래프만 보여서 아.. 시시하게그래프만 다루나.. 하는줄알았더니 이런 ㅋㅋ 정확한 길을 제시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문과라서 이과쪽은 못가여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