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날두두 [504084] · MS 2014 · 쪽지

2014-09-06 07:10:46
조회수 1,179

경제학과에 수학이어떻게 쓰이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44750

경제학과는 수학이 많이 쓰인다고 하잖아요


제가 고3들어와서 수학에 재미를 붙였거덩요 ㅋ 

그래서경제학과? 생각중이에요 근데 도서관 가서 경제학개론을 살~ 훑어보니까

보이는건 그래프밖에 없던데,.

경제학과에서 수학이 쓰이는게 그래프 밖에 없는건 아니죠?

수학이 어떻게 쓰이나요? 경제학도 선배님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연놈 · 463731 · 14/09/06 08:23 · MS 2013

    1학년때 학부기초로 경제 경영 수학 배우고
    거기서 행렬에 여인수행렬 전치행렬 등등..
    미분적분 다 확장해서배워요 지금수학하시는게 안쓰일까봐 걱정하시지않아도됩니다

  • 호날두두 · 504084 · 14/09/09 08:37 · MS 2014

    감사합니다!

  • xin zhao · 393348 · 14/09/06 09:39

    저도 경제수학을 잘한것은 아니지만 학부 쉅시간에 배웠던 기억으로 몆자 써볼게요~ 일단 그래프로 보통 못보여주는것도 배워요ㅋ 학부과정에서 수업에서는 최대값 최소값구하는 것을 많이 하는데 y=x 꼴은(독립변수 하나) 2차원 평면에 그릴 수 있고 z=x+y 꼴은 3차원에서입체로 그릴 수 있는데(x y를 가로세로로 교차시켜 놓고 z를 높이로) z=x+y+r+d 이런거처럼 3차원이 넘어가는건 그래프로 보여주기 힘들죠. 경제학에서는 변수가 2개보다 많은 경우가 많아서 저런 경우에도, 아니면 변수들의 최대값같은것에 제약이 걸려있는 경우에 함수 자체의 최대값(예로 최대이윤) 이나 최소값(예로최소비용)을 구하는 일을 자주 합니다. 이런것을 하는데 행렬이 계산을 편하게 해주는 도구적인 역할을 하고 미적분이 기본원리? 가 되어줍니다. 또 로그도 이자율 이런거 계산하거나 할때 써먹는다 합니다.(이건 기억 잘 안남ㅠ)

    또 통계도 배웁니다. 고등학교때 배우는 확통이 기본이고 더 나아가 통계적 추론 같은것도배웁니다.(통계는 아직 잘은 모릅니다.)

    위에서 언급한 정도 배우면 학부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에서 문제가 없다고 하네요. 여기서 수학을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해석학,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등을 배운다던데 이런 과목들은 안들어보아서 모르겠습니다.

  • 호날두두 · 504084 · 14/09/09 08:40 · MS 2014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뭐가 확 뚫리는 느낌이네요

  • 개척정신 · 516529 · 14/09/06 12:35

    개론에서야 미적분도 제대로 안쓰지만 올라갈 수록 많이 씁니다.
    저는 경제학과는 아니고 2학년 전공인 미시이론,거시이론 수업들었는데요
    미분은 객관적인 자산과 주관적 효용을 결합시키는 쪽에서 기계적인 미분을 쓰구요.
    (주어진 제약하에서 효용 멕시마이즈 or 반대로 동효용내 예산 최소화 등.
    대출,차입 이런거 할때도 마찬가지고..)
    적분은 그래프 넓이 구할때 밑변 높이 이런식으로
    하기도 하지만 바로 적분때리는 경우도 있고해서 많이 씁니다. 그리고 계량경제학 쪽
    들어가면 본격적으로 통계를 배우고 벡터도 좀 쓰고 하는 걸로 알아요.

  • 개척정신 · 516529 · 14/09/06 12:36

    고등학교 때 하는 수학을 엄청하고 싶으시면
    상경대보다는 이과쪽.. 그중에서도 수학과보다는
    공대 오시면 됩니다. 기계,전자 등ㅋㅋ

  • 호날두두 · 504084 · 14/09/09 08:39 · MS 2014

    어휴 감사합니다 확 와닿네요 ㅎㅎ 대학생 포스

    그래프만 보여서 아.. 시시하게그래프만 다루나.. 하는줄알았더니 이런 ㅋㅋ 정확한 길을 제시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문과라서 이과쪽은 못가여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