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라리라 [298840] · MS 2009 · 쪽지

2014-08-21 17:16:54
조회수 13,223

정확히 의대 열풍이 분 시점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96973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111809203129502&outlink=1

한때는 서울대 공대가 연대 의대보다 더 높았다는 기사가 있네요.
지금도 물론 공대 매니아들은 아예 원서영역에 의대를 넣지 않는 경우도 있기는
있겠지만 평균점수를 생각해 보면 절~~~대 안 믿기네요;;; ㅎㄷㄷ

심지어 수능 수석들이 진학하는 학과는 서울대 의대가 아닌 서울대 물리학과,
그리고 그 이후엔 서울대 전자공학과였네요.

IMF가 1997년입니다. 이게 의대 점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걸로 알아요.
1~2년만에 바로 지방의대VS서울대 공대 구도가 형성되었을 것 같지는 않고..
그럼 00학번 혹은 01학번부터 지방의대랑 서울대 공대 고민하는 현상이 시작된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추억앨범™ · 6955 · 14/08/21 17:38 · MS 2002

    IMF 이전에는 서울대와 지방의대는 비교대상조차 되지 않았었는데 2000년 이후로 두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는 수험생들이 늘어났고, 02, 03학번부터 지방의대 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나타나다가 04, 05학번 때 정점을 찍었죠.

    04, 05학번 때는 자연계열 수능 전국 석차순으로 의대, 치대, 한의대 정원 다 채운 다음에 서울대 채웠다는 말도 있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그랬구요. 04, 05학번 때는 "의대 열풍" 을 넘어 "의대 광풍" 이라는 단어가 언론에 오르내렸어요.

  • 시네라리라 · 298840 · 14/08/21 17:45 · MS 2009

    그렇군요. 구체적인 예시까지 감사합니다~~

    한데 지금도 물론 입학점수 높긴 하지만 10년만에 치대와 한의대는 그 위세가 한 풀 꺾인 것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네요. 오르비에 메이저 치대와 수도권 의대 비교하는 거 보고 놀랐다는..

  • 추억앨범™ · 6955 · 14/08/21 17:49 · MS 2002

    한의대야 비정상적으로 높았던거고 앞으로도 좋아질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치대 위세가 꺾인건 저도 신기하네요.

  • 동사서독 · 383625 · 14/08/21 17:55 · MS 2011

    치대도 결국 한의대와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싶네요.

    개원가 포화...

    물론 한의대는 그에 덧붙여 건강보조식품의 발달이라는 측면도 제법 크리티컬하게 작용한 듯 싶지만요.

  • 엘마르 · 470903 · 14/08/21 17:56 · MS 2013

    한의대는 한때 중국산 한약재 사태도 한몫했죠.

  • 시네라리라 · 298840 · 14/08/21 17:57 · MS 2009

    이건 믿거나 말거나 하는 이야기지만 양의사는 젊으면 신기술 많이 안다고 좋아하고 나이 많아도 그런대로 경험이 많을 거라고 좋아한대요.

    한데 한의사는 젊은 의사를 환자들이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죠. ㅎㅎ 이것도 한몫했다고... 그리고 한의원은 침 좀 놓는 것보다 보약 지어 먹는 게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한번 용하다고 소문난 한의원을 이기는 게 굉~~~장히 힘들다더군요.

  • 岳畵殺 · 72210 · 14/08/21 18:43 · MS 2004

    한의원은 부익부 빈익빈이 좀 심한 것 같아요...

  • imath · 445766 · 14/08/21 19:26

    치대 아직 상위1%가 합격선 아닌가요??

  • 시네라리라 · 298840 · 14/08/22 08:59 · MS 2009

    물론 지금도 점수 높은 상위학과인 건 사실이죠. 한데 예전엔 서울대 의대랑 연대 치대 고민을 했었는데 요즘엔 삼룡의대랑 연대 치대를 고민하더군요.

  • 동사서독 · 383625 · 14/08/21 17:58 · MS 2011

    6차 중반(99~01)부터 꿈틀대던 의대 점수가 말기(02~04)에 이르면서 비약적으로 상승했죠.

    그리고 7차 초기인 2000년대 중반에 정점을 찍었고요.

    그리고 또 그 때가 의전 전환시기와 맞물리는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의대 인기가 치솟는데 의대 정원은 확 줄어드니 점수가 확 뛰었던...

  • 제르맹 · 343315 · 14/08/21 18:20 · MS 2010

    ㅋㅋ 그래서 우리보다 한두살 많은 사람들 의사숫자가 평년보다 3~40퍼쯤 많다죠. 의대는 의대대로 다 들어가고 의대못간사람들이 또 의전으로 가서...

  • 제르맹 · 343315 · 14/08/21 18:20 · MS 2010

    ㅋㅋ 그래서 우리보다 한두살 많은 사람들 의사숫자가 평년보다 3~40퍼쯤 많다죠. 의대는 의대대로 다 들어가고 의대못간사람들이 또 의전으로 가서...

  • 제르맹 · 343315 · 14/08/21 18:20 · MS 2010

    ㅋㅋ 그래서 우리보다 한두살 많은 사람들 의사숫자가 평년보다 3~40퍼쯤 많다죠. 의대는 의대대로 다 들어가고 의대못간사람들이 또 의전으로 가서...

  • 수학실모예찬론자 · 410085 · 14/08/21 18:13

    90년대 후반부터 슬슬 기미가 보이더니
    Imf터지고 의치한쏠림 강화

  • 제르맹 · 343315 · 14/08/21 18:17 · MS 2010

    서울대 물리학과가 의대에게 처음으로 역전당힌건 97년도로 알고있습니다. 그전까진 서울대 물리 전자-서울대 상위 이공계,의대 -중위 이공계-하위이공계,연대의대 정도로 나뉘었다고 보면 되죠. 97년도 이후론 서울의대 -서울공대,연대의대 였다가 02년도에 서울대 전컴이 미달사태가 나면서 갑작스레 의대쪽으로 많이 무게가 갔습니다. 03때도 02랑 비슷한 추세다가 04때는 이공계가 완전히 바닥까지 내려갔었죠. 05때 다시 서울공대가 반짝 올라오긴 했지만 나머지 공대는 대의대에게 완전 압도된 상황이었고 그뒤로는 연고대 이공계열이 조금씩 살아난거 빼곤 크게 달라진게 없네요. 01년도에 서울공대 특차가 390 초반정도였고 삼룡의중 하나인 순천향의대가 388였습니다. 02는 잘 모르겠고제가 입시를 치른 03같은경우엔 서울공대가 언수과외 310정도면 어지간한 1차는 붙었었네요. 최종은 대충 315정도로 잡으면 되겠네요. 아는친구가 361점 맞고 충북의대를 예비로 붙었으니 반영과목때문에 절대적으로 비교하긴 힘들지만 03땐 지거국의대가 설공을 이미 눌렀다고 볼수있었습니다.

  • 岳畵殺 · 72210 · 14/08/21 18:41 · MS 2004

    02 때 전컴으로 뽑지 않고 공대를 통합해서 뽑았을 겁니다. 그래서 서울대공대가 쫄딱 망했죠.

  • 제르맹 · 343315 · 14/08/21 19:00 · MS 2010

    아아 그랬던가요? 03때도 전컴이 빵꾸나서 착각한것 같네요. 02때 설공이 지원자격을 1등급 제한하는바람에 특급 빵꾸났던걸로 기억하는데.. ㅋㅋ

  • 늙은애기호랑이 · 467160 · 14/08/21 18:46 · MS 2013

    부모님세대때는 공대>의대였다는 썰이..

  • 제르맹 · 343315 · 14/08/21 19:03 · MS 2010

    그건 서울대에만 해당되는얘기예요. 공대로 유명한 한양대도 한양의랑한양공은 비슷한 수준이었고 다른학교는 제가알기론 모든학교가 의대가 공대보다 높았습니다. 70~80년대에도...

  • 岳畵殺 · 72210 · 14/08/21 19:59 · MS 2004

    정확히는 서울대 안에서 이공계 중 하나가 돌아가면서 1위했고 의대는 2-3위 정도를 꾸준히 찍다가 2000년대부터는 부동의 1위가 되었습니다. 서울대 의대가 공대 과 전체와 비교해 중간 이하로 내려간 적은 없습니다. 다른 대학에서는
    의대가 제일 높은 과였고요.

  • 시네라리라 · 298840 · 14/08/22 08:34 · MS 2009

    이 분 얘기하시는 건 동일대학 내 공대와 의대의 비교가 아니라 의대와 공대의 사회적인 위상을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저보다 먼저 댓글 단 두 분 얘기하시듯 70~80년대에도 서울대를 제외하곤 모든 의대 있는 대학의 입결은 의대가 가장 높았습니다. 한데 서포카연 공대와 의대의 비교라면 서연카 의대가 아닌 이상 전자를 선택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특히 지금은 서포카연 공대보다 서연카 의대 입결이 더 높은 데 반해 70~80년대엔 산업 발전기라 취업 걱정도 없었고 되기까지의 기간도 짧은 공대 선호가 강해 입결도 막상막하였죠. (한데 윗분 댓글 보니 한양공이랑 한양의가 비슷했다니 정말 공대 선호가 강했나 보네요;;;)

    지금 서울의대랑 맞먹는 지방 의치대는 70~80년대엔 연공보다 낮았어요. 이걸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 제르맹 · 343315 · 14/08/22 10:31 · MS 2010

    대학을 전/후기로 따질땐 지방의치대가 높았다기보단 연대공대가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연대가그리 공대에 비중을 두지 않던 때였죠. 경부전의대같은경우엔 적어도 입시가 시작된 이상 연공보다 낮은 적은 없는걸로 아네요. 아는 의사분중에 부산대갈성적은 조금 부족하고 인제대의대랑 연대공대를 고민하다가 인제대의대 갔단 분도 봤구요. 물론 지방사립의대보다야 서울의 상위공대가 높았을것 같긴합니다. 그리고 70~80년대엔 의치대를 한번에 묶기가 좀 그런게 치대는 위상이 지금만큼 높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포공이나 카이스트는 80년대 후반부터야 등장한 학교라서.. 과거에 서울공대를 제외하고 경부전 특히 경부의대보다 높은 공대는 없는걸로 압니다. 포항공대가 등장하면서부터 좀 비슷했었죠. 사람들이 과거엔 공대선호 어쩌고 하는데 그건 딱 서울대에 국한되는 얘깁니다.

  • 시네라리라 · 298840 · 14/08/22 11:35 · MS 2009

    님 글 보고 인터넷 찾아보니 카이스트 학사과정 신설은 1984년 12월, 포항공대는 1986년 개교했군요. 70년대에 이들 대학이 없었다는 건 지금 알았습니다.

    지거국 인기야... 지금도 지거국 의대는 집이 그 지역이라면 굳이 인서울 의대 오느니 지거국 의대 가는 학생들도 많을 텐지요.

  • 제르맹 · 343315 · 14/08/22 11:39 · MS 2010

    아 전 카이스트 86 포공 88로 알고있었는데 85 86이었나요? ㅎㅎ

  • constellation · 73011 · 14/08/23 18:35 · MS 2004

    그리고 대부분의 의대가 70~80년대에 개교했죠
    그래서 지방대,사립대라는것만이 디메리트가 아니라 신생이라는것도 한몫했을겁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반드시 필승한다 · 512856 · 14/08/21 22:10 · MS 2014

    궁금한게 있는데 앞으로도 의대가 예전의 서울대 물리학과 같은 부동의 1위를 할수있을까요?
    오르비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제르맹 · 343315 · 14/08/22 00:20 · MS 2010

    위에 악화살님이 써놓으셨지만 서울대 물리도 부동의 1위는 아니었습니다. 전자공학과랑 업치락 뒤치락 했죠. 건축이 가끔 치고올라온적도 있구요. 보통 물리 전자 의대 건축순인데 가끔 가다가 바뀔때도 있었다고해요. 00년 이후로는 12년인가 13년때 수학과한테 최종컷 내준것 빼고는 의대가 다 1등이었다고 하더군요.

  • 잘먹고잘사는법 · 432326 · 14/08/22 01:22 · MS 2012

    의대가 전문직중에서 그나마 젤 중요한 사람 건강 생명 관련된 일이니...
    그리고 과거에도 서울대는 학벌영향 많이 본겁니다.
    서울대 공대보다 꽤 많은 의대가 깔렸던 시절에는 의사안해도
    서울대나와서 산업현장에 뛰어들어 지금 대기업 임직원이나
    공기업 뭐 국가단체장 등등 여러 분야로 성공할 가능성이 많았었고
    취직난이다 뭐다 지금처럼 난리가 아니었으니 의사말고도
    먹고살만한게 많다고 생각했겠지요. 그게 IMF 이후 좀 심해졌다고 해야하나
    평생직장에다가 보통 직장인들보다 기본 연봉 2~3배씩 받아가며
    일하는 곳... 그중에 의대진학하면 거의 90%이상 의사되죠.
    대학가서 또 준고시~고시급 시험에 도전해서 당락을 결정내야하는
    여타 전문직과 달리 의사도 국가고시가 있지만 나름 힘든 의대 본과과정만
    잘 넘기고 졸업하면 의사면허가지는건 거의 90%이상 확정이니까요.
    과거에야 학력고사 특차 뭐 이런거 있었지만 수시 특례 이런거 많지않았으니
    비교가되지 사실상 지금 서울대 공대비롯 자연계열 정시인원뽑는거보면
    너무 적지않나 싶어요. 뭐 과거야 서울대 물리 전자 이런곳에 전국 수석이
    배출되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 설대 수통같은 소수뽑는과는
    사실상 평균적으로보면 삼룡의 밑에 깔린다고 봐야죠.
    의대는 정시 수십명씩 뽑는데 다섯손가락도 안되게 뽑으면서
    입결비교는 좀;;;
    그리고 무조건 의대광풍도 아닙니다. 막연하게 의대갔다가 적성에 맞지않고
    회의감들어서 휴학또는 자퇴하고 다른 길 찾는 사람들 주변에 한둘정도 본것같네요...
    의대붙어놓고 약대간 케이스도 봤음

  • 델피나드 · 494424 · 14/08/23 01:03 · MS 2014

    서울대 공대에 신입생중 정시로온애들 빼고 수시로온애들은
    지방대의대애들이 고3모의고사내내틀린문제 갯수를 수능때한번에틀린경우가다반사일겁니다

  • 델피나드 · 494424 · 14/08/23 01:05 · MS 2014

    서울대 무슨과든 수시로간것도 대단한거지만
    의대생들과 자꾸비교하는건좀 아닌듯요

  • 스카이블루코리아 · 493719 · 14/08/24 01:03 · MS 2014

    이공계 나와서 노예가 되는 노예의 삶을 모르니 세상 물정 모르는 교사의 사기질과
    노예들이 만들어내는 돈을 누려야 하는 언론과 공무원, 정치가, 재벌들의 사기질에 당하지.

    80, 90년대에 의대갈 지적 능력이 되는 사람들을 싸구려 월급쟁이 샐러리맨 노예로 월화수목금금금 부려먹으며 소모품으로 쓰던 부귀영화 시절도 끝나가다 보니
    이미 삼성전자도 위기인 상황이고.

    80, 90년대 의대갈 고급 이공계 인재들이 알아서 싸구려 월급쟁이 샐러리맨 시다바리로 기어들어와 주니까 눈에 보이는 게 없어서 능력도 없는 것들이 설쳐대던 우리 문돌이들덕분이지.

    일본이 망해가면서 지금 소니, 도시바, 후지쯔, 히다찌, 마쓰시타, NEC 구조조정하면서 수천명 사람들 짤라내니까, 거기서 짤린 일본 공돌이들이 머리 나쁘고 멍청한 애들이여서 짤리는 거 같지?
    개네들이 10년 20년 전에 일본 전자산업이 세계를 제패할 때
    일본에서 제일 똑똑하다던 이공계 나온 애들이었다는 사실은 아냐?
    한참 호경기의 일본 전자산업이었는데 왠만한 공대만 나와도 모셔가던 바로 그 일본이었지.
    그래서, 일본 공대의 커트라인도 높았고.

    그나마 기술우대라고 포장하던 일본에서도 개네들이 소모품처럼 사용되서 지금 일본 전자기업들에서 대대적으로 짤리고 있지. 사실 일본에서도 기술자 우대가 사기라는 게 이미 뽀록나서 10여년 전부터 일본 동경대 공대조차 커트라인이 무너져버린지 오래고.

    이미 일본조차 일본의 모든 의대가 동경대 공대 커트라인을 넘은 지 오래다.

    80, 90년대 고급 이공계 인재들 노예화로 구축해 놓은 산업 경쟁력이 얼마나 오래 갈지 관전 포인트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