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달만참자 [394688] · 쪽지

2014-08-20 15:45:25
조회수 2,129

빡샘 확통은 좀 아닌가요? ㄷㄷ .확률 고수분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93987

특정사건의경우의수/전체경우의수=확률 이잖아요. 근데 여기서 선생님이 강조하시는게

"항상 전체 경우의수를 따질때는(분모를 따질때는) 같은 정도로 기대되야 한다."

라는 약간 추상적인 ? 느낌의 말을 계속 강조하시거든요 그니까 

예를들어서

막대사탕 10개를 철수,영희,희영에게 나눠주는 데 희영이에게 5개를 나눠주는 확률을 구하시오

라는 문제에서 전체경우의수를 따질때 3H10 으로 하면 안되는이유가 막대사탕을 (a1,a2,```a,10) 으로 놨을때 (이것도 강조하세요, 같은거지만 다르게 놓고 풀어야한다고. 그래야 같은정도로 기대된다고 사실 무슨뜻인지는 모르겠고, 느낌만 알겠어요 ㅠㅠ..)

이럴때 전체경우의수들을 구할때, (10,0,0) (9,1,0) ```` (   )  들이 같은 정도로 기대되지 않아서 3H10으로 놓으면 안된다고, 그 (10,0,0)은 1가지지만 (9,1,0)은 1이 a1~a10까지 나올수있으니깐 10가지라서 각각 경우의 수가 같은정도로 기대되지 않는다고..

그러는데.. 솔직히 지금 이렇게 풀이를 들어서는 아...그...그..그런가? 그러긴하는데

나중에 혼자풀떄는 이걸 적용할수 있을지도 모르겠고, 제가 해오던 확률공부는 이런식의 개념이 없었거든요. 아예? 근데 또 빡샘이 개념을 원칙으로 하니까..ㅠ 이런식으로 다시 해야하나.. 근데 좀 어렵네요.

질문이 넘 길어서 죄송한데, 결론은

1. 항상 분모가 같은 정도로 기대되어야 한다. 의 명확한 뜻이랑 적용방법을 알수있을까요?ㅠ

2. 이렇게까지 정확하게 개념을 해야할까요? 확률 그리어렵지않게나온다는데..

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냐즈누느스 · 365615 · 14/08/20 15:48 · MS 2011

    전 확률 첨공부할때 빡쌤들엇는데 완전좋던데용.. ㄷㄷ 개념서로 공부할땐 확률 진짜 어렵고ㅎㅏ나도 안풀리는데 빡쌤 확률강의 다듣고 웬만한 기출다풀려요 놀랫음

  • 냐즈누느스 · 365615 · 14/08/20 15:49 · MS 2011

    근데 좀 추상적이긴하죠... 좀 추상적이라도 여러번 강의들어보세요...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5:51

    저위에것좀 답변해주실수있으세요?

    지금듣고있는데 좀 답답해서..

  • 냐즈누느스 · 365615 · 14/08/20 16:31 · MS 2011

    교과서 보시면 빡쌤이 무슨말씀하신건지 잡힐듯... 교과서 확률 부분에서 같은 정도로 기대되도록 사건을 만들어야되는 내용 그게 딱 빡쌤이 말씀하시는거에요

  • 냐즈누느스 · 365615 · 14/08/20 16:34 · MS 2011

    그 10개나눠주는 공이 다 같은 공이라고 가정이니까 완벽히 똑같으 공 10개를 뽑는건데 구별이안가니까 그냥 공에 번호를 매긴다는 식으로 1번공2번공 ...10번공까지.... 음 설명은 잘못하겟네요 ㅋㅋ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5:52 · MS 2011

    경우의 수와 확률은 솔직히 개념이 필요없지 않나요..?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5:53 · MS 2011

    아 그리고 알바조심하세요~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5:55

    윗분은 알바아니신듯한데...ㅋㅋ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6:01 · MS 2011

    윗분에대해 말씀드리는게 아니라 ㅎㅎ^^..
    오르비에 대성알바가 많다보니, 대성인강에대해 질문할 때는 조심하라는 일반론이었어요~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6:07 · MS 2011

    확률/경우의수문제는, 자신이 풀지 못한 문제를 다른 사람이 풀어주면 독이된답니다. 개념이 없는 단원이에요. 그럼에도 틀린다는 것은 1. 쓸데없는 개념으로 머릿속에 혼란이 오거나 2. 사고력이 받쳐주지 못하거나 3. 실수이거나

    셋 중 하나랍니다. 본인의 언어로 표현하세요. 기호이든 한국어이든 영어이든^^ 그 다음 경우의 수를 철저히 계산하세요. 그 다음에 확률이 있는것이랍니다.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6:10

    혹시.. 저 위에 질문도 답해주실수 있나요 ?1,2번용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6:11 · MS 2011

    1번은 제가 사용하는 말이 아니라 모르겠습니다~
    2번은, 확률문제는 초등학생에게 주더라도 풀 아이들은 풀 만큼. 개념이 얕다는 것입니다^^

  • 영어공부법 · 394568 · 14/08/20 16:13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6:29

    네에.. ㅋㅋ 아이고 다른선생님 확률강의좀 들어봐야겟네요..

    넘 생소해서 빡샘은 ㅠ

  • 네이마르 · 402358 · 14/08/20 16:23 · MS 2012

    근원사건을 중요시하는건가..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6:28

    네 그거 맞아요.. 근데 정확히 모르겟네요 ㅠㅠ

  • 네이마르 · 402358 · 14/08/20 16:37 · MS 2012

    수학 잘하는 친구도 확률은 근원사건만 알면 다풀림ㅋ 이랬는데.. 저도 그 개념이 쉽게 와 닿지 않네요ㅜ

  • transcendent · 143924 · 14/08/20 16:53 · MS 2006

    중요한 개념이에요. 논술에 나올만한 소재이기도 하죠.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7:00

    1번 물어본다면 ㅠ 실례일까요?

  • 핫식수 · 401314 · 14/08/20 16:53 · MS 2012

    ㅋㅋㅋ저만 그런게 아니었네요 항상 같은정도로 기대돼야한다 이말이지 이러면서 강조하시는데 저는 그게 잘 이해가 안돼서 그냥 ㅠㅠ하면서 넘어갔더랬죠 이거 빡쌤듣는 분들이 답해주셔야 할듯

  • 솔로깡 · 330158 · 14/08/20 16:53

    A와 B를 시행하였을 때, A사건과 B사건이 독립조건인지, 혹은 독립이 아닌지 중요시하라는 의미로 생각됩니다. (글 내용을 아직 정확히 읽지 않아서 모름)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6:59

    독립에 대한 개념이 아니에용..ㅠㅠ 확률 아예 첨 시작할때 개념이에요.

  • 솔로깡 · 330158 · 14/08/20 17:02

    밑에 설명드렸습니다.

  • 솔로깡 · 330158 · 14/08/20 17:02

    글 내용 읽어봤습니다. 확률에서 가장 많이 물어보는 것이 독립조건이기에 그쪽 내용일거라 생각했는데, 관련은 크게 없네요.

    글 내용을 보면, 결국 10개의 사탕이 같다는 보장이 없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막대사탕 10개가 동일한 것이어서 구분이 안간다면, 상관없겠지만 각각 딸기맛, 포도맛, 오렌지맛, 레몬맛..... 등등으로 10개 모두 다른맛이라면 문제는 달라지죠.

    (10, 0, 0)의 경우 전부 사탕 하나로 다 몰았기 때문에 상관 없습니다만,
    (9, 1, 0)의 경우 두번째 사람이 받아야 할 사탕 하나가, 딸기맛일수도 있고, 포도맛일수도 있고, 오렌지맛일수도 있고..... (9, 1, 0)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0가지입니다.

    즉, (9, 1, 0)이 일어난다고 기대할 수 있는 정도와 (10, 0, 0)이 일어난다고 기대할 수 있는 정도는 다를겁니다.

    즉, (10, 0, 0)일때의 경우와, (9, 1, 0)일때의 경우가 "같은 확률로 일어날 수 없다" 즉, "같은 수치의 기대를 걸 수 없다." 가 됩니다. 요컨대, (10, 0, 0)이 일어날 기대치와, (9, 1, 0)이 일어날 때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정도는 달라야한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10, 0, 0)과 (9, 1-딸기맛, 0)일 때의 기대되는 정도는 동일하겠지요. 요컨대, (10, 0, 0)이 일어날 확률과, (9, 1, 0)이 일어날 확률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정도로 기대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9, 1, 0)이 (10, 0, 0)보다 10배의 경우가 더 많으므로.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7:10

    근데 문제가 같은종류의 사탕 인데 빡샘이 풀이하실때 다른종류라고 생각하고 풀으라고 하시거든요? 그니깐 문제는 같은종류의 사탕10개를 3사람에게 나눠주는데 영희가 5개를 받을 확률을 구하시오, 가 문제인데

    풀이할때 다르다고 생각하고 a1~ a10 까지 놓고 (이것도 기대할수있는값이 같도록 하기위해서) 풀으라고 하셨거든요..

    솔직히 이거부터가 이해불가입니다. 제머리로는.. 같은종류인데.. 다르게 놓고 풀라는말 자체가.. 빡대가리..

  • 솔로깡 · 330158 · 14/08/20 17:19

    사탕이 같은 종류라고 하여, "구분이 가지 않는다"는 표현 즉, (9, 1, 0)에서 1의 사탕이 10개 중 어느 사탕이든 출신을 묻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가능하진 않습니다.

    상황이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1. 나누는 방법의 경우의 수
    2. 나누는 경우의 수

    1번의 경우, 나누는 방법 그 자체의 수이므로 (9,1,0)과 (10,0,0)은 동등한 가치를 가집니다. 즉, (9,1,0)일 때, 1의 사탕에 무엇이 오든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나누는 방법 그 자체의경우의 수"를 구하는겁니다. 누가 몇 개를 받았느냐... 이것만 신경쓰는겁니다. 즉, 3H10이 근원사건이 됩니다.

    현 문제에서는 2번의 "나누는 경우"자체만을 의미하므로 (9,1,0)에서 1을 받을 경우가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습니다. 같은 종류의 사탕이라 하여도, 10개 중에서 어떤 사탕이 그 1개가 되느냐를 생각해야 합니다. 누가 얼마나 받았느냐 + 무슨 사탕을 받았느냐(같은 종류라 하더라도, 10개에서 어느 위치의 사탕을 뽑느냐는 확실히 구분되어야 할 문제죠.) 즉, (9,1,0)은 (10, 0, 0)보다 10배의 확률로 기대가능합니다. 따라서 3H10이라는 근원사건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 namevalueing · 448294 · 14/08/20 17:02 · MS 2013

    각각의 근원사건이 같은정도로 기대되기위해서 처음부터 아예 구분을 지어 푸는건데 그게 수학적확률의 정의이기 때문에 그렇다는거죠.. 교과서도 참조해보세여

  • 수능등급486 · 507350 · 14/08/20 17:04 · MS 2014

    직육면체주사위라면 각 숫자가 나올확률이 1/6이 아니잖아요. 왜그럴까 생각해보세요

  • 수능등급486 · 507350 · 14/08/20 17:11 · MS 2014

    빡티처러버로서 전 확통 매우 만족하면서 들었습니다.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7:14

    네먼가알거같네요 감사감사합니다.

  • transcendent · 143924 · 14/08/20 17:05 · MS 2006

    우리가 확률을 공부할 때, 처음에 주사위를 던지면서 배우잖아요. 그리고 주사위를 던져서 1이 나올 확률이 1/6이라고 하죠. 이때 근원사건인 1,2,3,4,5,6이 일어날 확률이 같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에요. 만약에 1이 다른 근원사건인 2,3,4,5,6보다 더 잘 나온다고 하면 확률은 1/6보다 커지겠죠.
    그리고 교과서에서 집합으로 설명하는 부분을 읽어보시면 이해가 수월할거에요.

  • transcendent · 143924 · 14/08/20 17:08 · MS 2006

    말씀하신 문제가 이해가 안되면 문제를 단순화시킨 다음에 직접 경우를 나열에 보는 것도 좋습니다.

  • 네달만참자 · 394688 · 14/08/20 17:13

    아.....! 좀 알것같네요. 아 !



    그렇네요

    그니깐 제가 의문이었던게, 어떤식으로 기대값이 같아져야하는건지 적용이 불가했는데;

    그러니깐 그 경우의 수를 나열했을때, 저 위의 경우에서는 (10,0,0) (9,1,0) ....... 이겠죠? 그러니깐 그 각각의 경우의수가 나올 확률이 n분의 1이 아니어서 그렇다는거죠?

    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뭔지

    느낌이

    올랑말랑

    합니다. 감사합니다.

    단순한거였는데 ㅂ.ㅅ.이었네요

    우선 확률문제나오면 나열해서 저걸 따져주면 되겠네요..!

  • 새벽돌이 · 338075 · 14/08/20 19:05 · MS 2010

    대학교 확률론 교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Ross책에는 이러한 경우를 sample space having equally liklely outcomes 라는 명칭으로 설명하고 있는데여, 단순한 개념이면서 당연한 개념이죠.. 이걸 가르치신듯 하네요 그 강사분은... trancscendent님이 말씀하신 공정한 주사위(fair dice)가 그 예이며, 그 강사분이 대학 교재에서나 볼법한 개념을 설명하셨으니 이해하기 어려웠을지도 몰라요.

    흔히 항상 예제로 드는 문제인 주사위 2개를 던져서 숫자합이 7이 나올 확률은? 에서 이러한 개념이 쓰이죠..

    문제 푸실때 항상 적용했던 개념인데 강사분이 이야기 한 경우는 좀 복잡한 경우라 익숙하지 않게 보여서 혼동되신듯 하네요.

  • hellolaw · 425479 · 14/08/20 19:33 · MS 2012

    그게 수학적 확률의 정의에요

  • 연경가까 · 406646 · 14/08/21 15:53 · MS 2012

    본문에 든 예시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이라는 말이 없어서 그런건가요? 이런 말이 있으면 전체 경우의 수는 3H10이 맞는건가요? 아니면 이런말이 있더라도 각각 다른것(a1,a2,a3 ...)으로 인정하라는 말씀이신가요? 위 예시대로 풀었을 때 전체경우의 수는 뭔가요? 궁금하네요 ㅠㅠ
    빡쌤 확통 들을까 고민중에 맛보기2강 봤는데 확신이 안서네요ㅠ 문제풀이부분을 들어야 이해가될지...

  • KMH. · 502640 · 14/08/22 00:46 · MS 2014

    강의에서는 선생님께서 문제내실때 모양과 크기 종류 그위에쌓인 먼지의갯수까지 같다고 가정하시고 문제내시거든요 저도 정말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간건 아니라서 누가 통쾌하게 답변좀 해주셧으면 좋겟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