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합격!! [486219] · MS 2013 · 쪽지

2014-08-05 09:30:16
조회수 2,637

2012 6월 국어 수분퍼텐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52738



b c 부분에서 줄기의 수분 퍼텐셜이 낮아져
잎의 수분 퍼텐셜이 낮아져 부분이 이해가 안되네요... 줄기의 물이 있을때는 물때문에 수분퍼텐셜이 0 이었는데 물이 이동하면 물의 수분퍼텐셜이 아닌 줄기의 수분퍼텐셜을 가져서 더 낮아진다는 말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teady.hyun · 505989 · 14/08/05 09:50

    음.. 제가 볼때는 너무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그냥 지문의 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아요.
    수분 퍼텐셜은 토양 혹은 식물체가 포함하고 있는 물의 양을 에너지 개념으로 바꾼 것이다. 라는 정의를 생각하고, 이온 농도에 따라 수분 퍼텐셜이 바뀐다고 되어 있네요.
    지문에 또,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뿌리, 줄기로 갈수록 수분 퍼텐셜이 낮아진다는 언급도 있네요.' 순수한 물은 특별한 용질이 없어서 이온농도가 낮은데, 토양이나 줄기에 있는 물은 그럴수가 없죠. (이 부분을 이해하셨으면 좋겠어요!)
    즉, 식물체나 토양에 물이 있을때는 애초에 수분퍼텐셜이 0이라고 생각을 안하시는게 좋겠어요. 그러니까 질문하신
    '줄기에 물이 있을때는 물때문에 수분퍼텐셜이 0이었는데' 이부분이 잘못 이해하신 부분인것 같네요.

    이온농도가 아주 낮은 물이 토양, 뿌리, 줄기를 거치면서 점점 이온농도가 높아지니까 (이것은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뿌리, 줄기로 갈수록 수분 퍼텐셜이 낮아진다는 언급도 있네요. 에서 받아들이시면 될 듯) 수분 퍼텐셜도 점점 낮아지는거죠

  • 서울대합격!! · 486219 · 14/08/05 10:00 · MS 2013

    제가말하고자하는건 줄기의 수분퍼텐셜이 자체적으로 낮아졌다는 말입니다

  • steady.hyun · 505989 · 14/08/05 10:12

    수분 퍼텐셜은 토양 혹은 식물체가 포함하고 있는 물의 ''''양'''''을 에너지 개념으로 바꾼 것이다.
    b를 예로들면, 줄기의 물이 잎으로 이동하면 줄기의 수분 퍼텐셜이 낮아지겠지요? 수분 퍼텐셜은
    포함된 물의 '양' 과 상관관계가 있으니까요. 그러면서
    c에서와 같이 연쇄적으로 반응이 일어나서,
    물이 이동할 수 있겠지요

  • 서울대합격!! · 486219 · 14/08/05 10:17 · MS 2013

    아 그렇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__) 열공하세요

  • 서울대합격!! · 486219 · 14/08/05 10:13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redas · 452271 · 14/08/05 09:51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콥꾸레 · 511055 · 14/08/05 13:40 · MS 2014

    수분 포텐셜이 낮아졌다는 것은 이온농도가 올라갔다는 거죠 근데 물은 수분 포텐셜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고 나와있으니까 잎에 있는 수분이 밖으로 배출되면 이온농도가 올라가겠죠 물이 밖으로 빠졌으니.. 그럼 수분 포텐셜이 낮아질테고 상대적으로 수분 포텐셜이 더 높은 줄기에있던 수분들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는 원리 때문에 잎으로 이동할테고 그럼 또 줄기는 수분 포텐셜이 낮아지고 뿌리에 있는 수분들이 줄기로 이동하고 이 현상 반복아닌가여? 맞나? 아닌가? 맞는거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