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현대덕윤리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50894
현대 덕윤리에서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함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 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한게 왜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는 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간 입시데이터로 미루어보건대 지금부턴 한분 빠질때마다 바로전화라 이미 너무 낮아진...
-
내신 성적으로는 설농,포스텍 간당간당 Ky 기공, 서강 시반공반, 유니반갈정도...
-
ㅇㅇ 아 진짜 에바야 거기 스나 쑬걸…하…그러면 건동홍 성적대 애들도 붙은건가요?
-
셋 다 실전개념으로 알고 있는데.. 셋 중 하나만 해도 될까요? 엣지는 하반기에...
-
님들이라면 어디고름? 서강반은 하닉 회로설계 계약학과임 서강반이 수능으로 설공 붙을...
-
읽는데 몇 분 정도 걸리나요? 문제 풀기 전에 지문만 읽을때 3-4분 정도 걸리는데...
-
이감을 사야할까요 상상을 사야할까요 아니면 한수? 13
작년엔 이감 쭉 풀었는데 간쓸개 되판다고 너무 고역이었어요.... 뭐 사야할까요?
-
어케 잤는 지 기억이 안남
-
공부기간 2024.1~2024.10.17 (10.18일부터 공부안하고 롤만함.....
-
달러든 주식이든 살 때는 싸서 댕꿀ㅋㅋ하는데 평가액 볼 때 +적으면 슬픔
-
씨르비 오발
-
안사지고 16퍼올라잇네 걍바로살걸ㄲㅂ
-
그러면 ebs는 더더욱 안봐도 될꺼임 ebs 적중저격은 대놓고 피하려고 발악하고...
-
괜찮군
-
의대가 눈앞에서 닫힌다생각하니 앞이 깜깜하네요ㅠㅠ 아무리봐도 빠져 나갈사람은 없고...
-
씨발
-
우울해ㅠㅠ
-
모두 붙으시길
-
운동시작 0
기릿~
-
배불러... 0
-
기하에 너무 익숙해져버림
-
어떤가요???
-
나 안아.. 4
-
마지막날인가여??
-
작수 44222 받았습니다.....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
너무 졸림
-
돌진준비를 한다는 것
-
미적분 수분감 1회독 하고 이제 뉴런 하려고 하는데 수분감 2회독하고 n제를 푸는...
-
ㅇㅇ
-
남겠다
-
카케구루이 4
좋아하시는 분 있? 저는 도무지 사오토메 메아리의 인기를 납득할 수 없음뇨 내 취향 아님ㅡㅡ
-
우와 0
내 글 3연속이네 ㄷㄷ
-
검찰 특 8
숭실대 마크 따라함
-
진짜 내전역보다 더 기다렸다 무자식아
-
진짜어디감? 7수하러감?
-
사실 최애는 쟈바미 유메코지만은 모모바미 리리카도 엄청 좋아하는 관계로 샀다...
-
(재업)2209 국어 모의고사 점수 맞추면 2500덕 6
등급컷을 잘못 알았네용 ㅎㅎ
-
확통 도형 0
확통 사탐공대 선택했습니다 현우진 듣고있는데 수1때문에 도형노베 들어야할까요?
-
디아카이브 모고 푸는데 100분해서 77점나옴 14 15 17 22 29 30 틀림...
-
제발여
-
이제 내 닉넴보면 숭실대학생이라는게 옯붕이들에게 각인된듯
-
이제 일어남 7
근데 다시잘까 진지하게 고민중임뇨
-
자세히 말하자면 두명 중에 하나 골라야해서 나머지 한분한테 죄송하다 얘기해야하는데...
-
아침 ㅇㅈ 15
힘좀 썼어요
-
경희 자유전공 (국제캠) vs 이대 통합선발 -둘 다 학점 상관없이 2학년 때 학과...
-
지금일어남 1
하이
-
전화추합 제발 1
하나만이라도 좋으니까….
-
나 적분을 너무못해 ㅠㅠ
-
흑흑 ㅠㅠㅠ
종래의 사변적인 윤리학에 비해 보시다시피 현대 덕윤리 쪽이 좀 더 자연스럽죠. 정언 명령이랑, 평상시 착하게 살기, 이 두 가지의 선택지 중에서 더 쉬운 것, 인간에게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것은 착하게 살기 쪽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현대 덕윤리가 주장한 것들이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조!
걍 "칸트 같은 친구들보다, 현대 덕 윤리가 쉬움 -> 쉬우면 더 따라하겠징?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입니다.
전 대충 이렇게 기억하고 있는데, 이해 안 하시고 외워도 될 검니다...
위에서 시발점님이 예시를 드셨듯이 칸트는 보통 현대 윤리학자들한테 '도덕법칙 따르는거 다 좋긴 한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함??' 이런 비판을 제일 많이 받죠. 법칙을 철저히 따르는게 이상적이긴 한데, 그렇다고 문제가 다 해결되는게 아니니까요. 두 개의 정언명령이 충돌하거나 하는 상황 등이 벌어지면 칸트 같은 의무론자들의 해법은 쓸모가 없어지고, 그러다 보니 윤리적인 실천이 잘 안될때가 많은거죠.
덕 윤리는 도덕법칙이나 행동 그 자체에 대한 도덕판단 보다는 개인의 성품을 키우는게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 시발점님이 잘 표현해주셨듯 법을 지키는 것보다 그냥 착하게 사는게 더 자연스럽고 쉽기 때문에 윤리적 실천 빈도가 높아지는 거겠죠?ㅎ
다들 잘 말씀해주셨네요. 조금 더 붙여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의 덕 윤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그 뿌리로 두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계시지요?
도덕적 덕을 가지기 위해서는 '습관'을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덕적 덕을 가지게 된 인간은
'중용'의 덕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 있답니다.
예를 들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용감하게 행동하는 사람은 용감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
요한 것은 '용감하게 살아야 한다.'라는 칸트식의 당위가 아니라 인간 존재 자체가 얼마나 '용기'라는
덕성을 함양하고 있느냐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