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저 1호가 찍은 목성.gif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46145

70년대에도 디지털 카메라는 있었답니다..
보이저 1호에 달린 것도 그 중 하나...
저걸 70년대에 태양계 무선 인터넷(http://en.wikipedia.org/wiki/Deep_space_network)을 이용해 전송..
Cameras - There are several camera on-board the Voyager spacecraft. Here is a link to the Instruments page
on the Voyager website. This site provides diagrams of the optical
elements of each of the cameras, but it doesn't seem to provide specific
specifications on the detectors. On NASA's Planetary Data System website, there are detailed specifications on each camera. Links to those pages are provided below.
- The Infrared Interferometer Spectrometer (IRIS) - 128x128 pixel format mercury-cadmium telluride detector
- The Ultraviolet Spectrometer (UVS) - Note:
this page is really hard to read as it looks like it was scanned from a
two column format with the columns interleaved. But it looks like this
detector has 128 channels for the spectra. - the two Imaging Science Subsystem (ISS) vidicon cameras
- The Narrow angle Camera (NAC) - 1024x1024 CCD
- The Wide Angle Camera (WAC) - 1024x1024 CCD
- The Photopolarimeter System (PPS) - One pixel - an EMR 510-E-06 photomultiplier tube (PMT) with a tri-alkali (S-20) photocathode.
Data was stored on a digital tape drive and then played back during
transmission periods. During the planetary encounters, data was
accumulated much faster than it could be relayed back to Earth. Images
were downloaded as fast as possible, but mostly the data built up on the
tape drive and was then played back over the long interplanetary
stretches.
As for getting the data back, it was transmitted back to Earth and
received by NASA's Deep Space network of radio dishes placed around the
world specifically to receive transmissions from the various space
probes out in the solar system. The rates are very low by todays
standards, but this is late 1960s and early 1970s technology.
Voyager telemetry operates at these transmission rates
- 7200, 1400 bit/s tape recorder playbacks
- 600 bit/s real-time fields, particles, and waves; full UVS; engineering
- 160 bit/s real-time fields, particles, and waves; UVS subset; engineering
- 40 bit/s real-time engineering data, no science data.
So the best transmission rate is 7.2 kilobits per second.
Here is a link to the official Voyager website.
http://voyager.jpl.nasa.gov/spacecraft/instruments.html
보이저 1호는 아직도 작동중.
아. 동영상 말고 사진들은 당연히 칼라. 교과서에 있는 그 유명한 행성 사진들도 70년대 발사된 보이저,파이오니어 시리즈들이 찍은 것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날 영어 1등급 진짜 간절한데 인강 누가 좋아요? 션티,이명학,또선생 등.. 6
진짜 90턱걸이로라도.. 제발 1맞아야는데 최저땜에 제발 요ㅜ
-
옯찐따는 나다 2
여기서마저 찐따 담당 휴
-
퇴근하는중! 0
진짜힘든하루엿다
-
입결 이런 얘기 말고... (이미 나름 만족하는 라인 들어와서 할 이유가 없음)...
-
일단나부터ㅅㅂ
-
지수로그함수도 할만하고 수학적 귀납법도 23학년도까진 푸는 맛이 있었음 수2는...
-
설마 나는 아니지? 응ㅎㅎ?
-
학사는 안나옴
-
어이거기예쁜여르비들일루와봐
-
아까 너무 무리함
-
무기력한거 없어져서 내가 무려 자기 전에 씻었다는 사실 개운하고 기분 좋다...
-
이미지 써주세여 17
나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
-
바이오캠 학과 소속으로 서울로만 수강신청해서 설캠으로 전과하는 빌드가 있다고...
-
맞이미지 써드려요 39
성의없어도 저는써드릴게요
-
의대생분들 과잠 3
사실건가요? 전 본가랑 학교가 멀어서 고민되네요
-
3퍼인 대학들은 과2면 6퍼? 사1과1은 3퍼?
-
히히 오줌 발사 다른것도 발사해도 되용
-
그래야 돈을 안쓸거같으니까...
-
오늘부터 3월학평 전까지 배달을 시켜먹는다면 오르비에 치킨 3마리를 추첨해서...
-
근데 영어로 설명해서 내용을 모르겠고 일단 버튜버 스킨은 여자임 문제는 가슴 부분을...
-
나는 생각이 확고했는데도 한참 고민했음 막상 합격증 나오면 고민을 안할수가 없음...
-
영어 92점인데 전교116등인가 그랬음
-
얘들아 모두 사정하자 10
사문정법 ㄹㅇ 든든함 정법은 고이면 할만해짐
-
비틱안하겠습니다 0
지구 복영좀 보고 돌아올게용 12시에봐용
-
입결이 게임 업적마냥 남는것도 아니고
-
그래서 걍 입결대로 가지않나
-
안에 들어가는 그림은 도대체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
내적과 덧셈정리 쓰는 사람은 혼종임? 아 저걸 쓰는 사람이 확통러여야 진정한 혼종이겠구나
-
작년 불찍파
-
변하는거 딱히 없음 걍 쓰게 어무니가 예전버전으로 주문하셔서
-
대다수 수험생들은 입결순이 연봉, 행복순인줄 알음 23
내부 상황 아는 몇몇 의대생들께서 말씀해주셔도 약코 취급하고, 들으려 하질 않음.
-
영어듣기 거의 못듣는데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나요? 메가스터디 라라 듣고있는데요....
-
ㅈㄱㄴ
-
오직 필기용 다른건 전혀 상관없
-
키스할사람 2
지금 립밤발라서 입술 맛있음
-
미연시 2
미사일 연속발사 시뮬레이션
-
에잉
-
그냥안적기로
-
4년전 고딩때 10시는 초저녁 같은 느낌이었는데 이제는 죽겠다 ㅎ.
-
작수 미적 백분위 89로 2컷이었고 수능본 이후로 수학공부 하나도 안했는데 뉴런이랑...
-
시간 없어서 못 깎았더니 ㅈㄴ 붕 뜨네
-
ㅇㅈ 4
이따 12시에 보고 함
-
진짜 목적이 뭐임
-
ㅇㅈ안해야지 ㅎㅎ
-
생윤이 작년난이도로 나왔을때 만점을 반을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작년 2틀이긴한데...
-
ㅇㅇ?
-
아 인증 마렵네 14
하지만 안할거다
-
아니 2
동영상더볼수있는곳있나요?
목성 잘 보이져
목성 움짤로보기는처음이네요. 와 진짜웅장하네
ㅋㅋ 오지훈쌤강의에서컬러로본거다..
지금 보이저1호는 태양계를 벗어난걸로 알고있고 작년 수능 지1에도 나왔고...
태양계 행성이 1직선상에 서는 타이밍에 행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발사된 우주선. ufo에 대한 극비를 공개하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당선이 됐을만큼 ufo에 관심이 많았던 당시 미국 대통령 지미카터가 태양계 행성 정보도 수집할겸 외계인과의 교신을 해볼것도 명령. 당시 프로젝트를 맡은 사람은 그 유명한 칼세이건.
55개국의 인사말과 인류문명을 담은 정보 시그널을 우주로 방출.
그에 따른 수신호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나 해독 불가능. 학자들 의견이 갈리나, 그냥 우주소음인걸로 의견이 모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