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00630

Onthe contrary가 어떻게 쓰이는 건지 이해가안되서 이비에스 큐엔에이보니까 수많은 답변이 있더라구요 근데 답변 교사마다 의견의달라 여러분의 의견듣고자합니다
1. 앞의 내용은 문명화상태고 뒷내용은 자연그대로의상태라서 역접
2. 앞의 19세기 환경은 순종적이지 않고 무해한것도 아니다 그러나 뒤에나오는 자연환경은 공격적이다 즉 더 안 좋은상황이니 역접(개인적으로는 이런식으로 해석해서 또한이라는 연결사를 집어 넣어야 적절하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둘다 안 좋은 상황이니까요 보통 긍정부정이 명확할때 역접쓰지더 안좋은건 게다가나 또한쓰지않나요)
3. 영어에서는 내용보다도 단어로 역접이 가능하다 passive benign이 nor에 의해 부정되었지만 단어만 보면passive랑 aggressive가 반의어니 가능하다 (13년 영어하면서 이런건처음듣는데 있는건가요?)
셋다 이비에스 답변이네요
수십번 읽어봐도 b처음에 질병에대한 다른개념이 b이전에 나와야될거 같은데 보기는 다른 개념은 없고 한 개념만있고 뒷내용만 봐도 다 환경과 신체에 관한 개념만 얘기하는거 같네요 신체와 환경도 서로 연관된 개념이라보는게 더 매끄러운거 같구요 여러모로 지문구조가 이해하기 힘든지문이네요 어렵다기보다도 깔끔하지 않은거 같은데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회전해서올렸는데 안돌아가네요
전1번으로하고 넘어갔던것같아요..
근데 1번은 주어가 다르니까 역접이라는거랑 같은말아닌가요? 역접은 보통내용을 봐야되는건데
맞는진모르겠는데 전 17세기랑 완전한자연환경이랑 대조로 봤던거같아요ㅋㅋ
맞는진모르겠는데 전 17세기랑 완전한자연환경이랑 대조로 봤던거같아요ㅋㅋ
맞는진모르겠는데 전 17세기랑 완전한자연환경이랑 대조로 봤던거같아요ㅋㅋ
맞는진모르겠는데 전 17세기랑 완전한자연환경이랑 대조로 봤던거같아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