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질문이요! 정약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80142
측은지심과 사양지심은 마음속에서 발하는데 이를 끌어 내 키운 후에야 인정과 예법을 행할 수 있으니, 측은지심과 사양지심은 인정과 예법의 시작이다. 사단의 이면에 또 인의예지가 있다고 하면 근본을 모르는 것이다.
밑줄친부분이 뭐를 의미하는지좀 알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80142
측은지심과 사양지심은 마음속에서 발하는데 이를 끌어 내 키운 후에야 인정과 예법을 행할 수 있으니, 측은지심과 사양지심은 인정과 예법의 시작이다. 사단의 이면에 또 인의예지가 있다고 하면 근본을 모르는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정약용은 4단을 실천함으로써 4덕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고 하잖아요(단시설). 반면 성리학자들은 4단을 통해서 우리의 본성에 이미 4덕이 내재한다는 걸 알 수 있다고 주장하고요(단서설).
저 밑줄친 문장은 정약용이 성리학자들을 그 측면에서 비판하는 겁니다. 인의예지는 4덕이잖아요. 정약용의 입장에서 인의예지(4덕)는 4단의 실천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4단의 이면에 4덕이 있을 수 없다는거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