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엽 국어] 짜임에 따른 시상 전개(1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38768
숨이 콱콱 막힐 때가 있다.
온몸이 온통 진흙으로 더럽혀 질 때가 있다.
숨이 막혀도 가기로 한 길은 가야 하는 것이고
꼴 사나와도 가야할 길은 가야 한다.
1. 기승전결 방식
시인은 시에서 자신의 정서나 생각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전개해 나가는데 이러한 방식을 시상 전개방식이라고 한다.
기승전결식은 주로 한시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종종 현대시에서도 차용해 쓰이고 있다. 이 방식은 4단계 구성으로 기(起)에서 시상을 도입하고, 승(承)에서 시상을 발전시켜 나가다가, 전(轉)에서 시상의 변화 또는 전환을 시도한 다음, 결(結)에서 시상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언덕에는 풀빛 짙은데,
우 헐 장 제 초 색 다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려 퍼지네.
송 군 남 포 동 비 가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마를 것인가.
대 동 강 수 하 시 진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별 루 년 년 첨 록 파
-정지상,
위 한시는 자연 현상과 인간사를 대비하며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1구에서 싱그러운 자연의 생동감을 표현한 후 2구에서 슬픈 이별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화자의 상황을 드러내었다. 3구에서 대동강물이 마르지 않는 상황을 설의적 의문으로 제시한 뒤 4구에서 과장적 표현을 통해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2. 선경후정식 시상 전개
선경후정(先景後情)식은 앞부분에서(先) 사물의 모습이나 자연의 풍경(景)을 그리듯 보여주고, 뒷부분
에서(後) 화자의 정서나 생각(情)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도 원래 한시에서 많이 쓰였고, 시조를 거쳐 현대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벌레 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 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 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룡(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석( 石)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佩玉)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號哭)하리라.
-조지훈,
윗시는 앞부분에서 퇴락한 궁궐 모습의 묘사를 통해 몰락한 조선 왕조와 국권의 상실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으며, ‘어느 땐들’부터 마지막까지는 그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화자의 비통한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3. 수미상관식 시상 전개
수미상관식은 시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시에 형태적 안정감과 균형미를 주는 방식이다. 처음과 끝에 유사한 시구가 반복되므로 운율의 형성과 더불어 의미나 정서의 강조도 이루어진다. 우리 현대시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수미쌍관 혹은 수미상응이라고도 한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윗시는 유사한 시구를 시의 앞뒤에 배치하면서 구성의 안정감과 더불어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을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마지막 행의 ‘찬란한 슬픔의 봄’을 통해 ‘모란’의 낙화와 개화가 함축하는 상실의 비애감과 희망의 기다림을 절묘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선지의 속살
수능에서는 시상전개와 함께 그 효과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➊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켜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2008년도 수능)
➋(가)~(다)는 선경후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1년도 3월 서울시교육청)
1. 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키는 수미상관법을 사용했다면 첫 부분에 나타났던 화자의 정서가 마지막 부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서의 심화’ 또는 ‘정서의 강화’가 이루어진다.
2. 앞에서 경치를 보여주고 뒤에서 정서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경후정’이라 한다. 주로 뒷부분 ‘후정’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앞부분 ‘선경’과의 대비 또는 조화로 주제를 더욱 부각하기도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옯념글 타율 ㅋㅋㅋㅋㅋㅋ 4일간 3개보냄
-
이 정도면 4
공부시간 괜찮은 편인가요 국어 2 수학 5 사문 3 생윤 1
-
다이어트 계획 훈수좀 23
아침 사과 2개(루틴) 간식 안 먹기 급식에서 채소 많이 먹고 밥 면은 절반만...
-
경제 문제에서 기본적인 경제 문제의 세가지 유형에서요 효율성과 형평성 둘 다가...
-
수험생들 카페인 8
하루에 얼마나 마심 지금 몬스터 하루 두 캔(200mg) 마시는데 두배로 늘려야 하나..
-
차단 한명 추가 1
-
작년 9모 3번 난이도 자체는 쉬운데 이걸 빌미로 나중에 저기 도시들이 각각 바다랑...
-
ㅈㄱㄴ
-
보통 몇회분정도 푸시나요???
-
기출풀때 안배운 내용들이 좀 많이 나오는데ㅠ 어쩌죠
-
과일이 하나도 안들어가있다
-
미적은 고1수학, 수1 , 수2에 빵꾸가 뚫려있으면 성적 올리기가 상당히 힘들어진다...
-
말씀드리니까 마음편해짐
-
방 빼! 0
그 민주누님이 부패한거 아닙니다
-
매매도 쉬고 일도 쉬고 아예 환기시킬수 있는 곳으로 가고싶당
-
나 팔로잉 360인데 혼자서 몇개를 쓰길래 연속으로 이리 되는 거야 ㅋㅋㅋㅋㅋㅋ
-
순간 깝칠뻔 1
나랑 국어 문제 비슷하게 푸는 사람 글보고 먼가에 통달한 거 마냥 이론 펼치다가 잘...
-
몇임
-
ㅈㄱㄴ
-
고대는 걍 3수박으니까 들어간거고 여기서 안 오름 ㅜㅜ
-
개추좀 근하하하
-
되는 시간 경기가 죄다 두산이네
-
친구들이 교사인데 이런겁니다 수험생 인구가 갑툭 주저앉는게 2010년부터죠? 하지만...
-
왜 초선들을 방패로 세우냐
-
그 삼각함수 절댓값 씌운 문제 그 시험지 100점들은 24수능도 적백일까
-
미소녀 11
똥
-
??? : 저는 인생을 배웠습니다
-
할 수 있겠지? 글아 잘 이해돼라
-
그냥 제 생각
-
투과목 해서 4뜬 사람이 원과목 하면 메이저의 감? 8
투과목 수능 날 4등급까지도 미끄러진다는데 그럼 투과목 해서 과탐 4뜬 사람이...
-
2뜰땐 공통에서 13 15 22틀 4뜰땐 12 13 14 15 21 22틀 인데 조언부탁드려요
-
pn 접합 다이오드가 양단의 전위 중 Anode 쪽이 Cathode 쪽보다 더...
-
작년에 솔직히 공부 너무 안하긴 했습니다 공통과목 세젤쉬 미친개념 원솔멀텍 파이널...
-
생1 뉴비입니다 0
오늘 수특을 다 끝 냈습니다 환영식이 거하더군요 기출 들어 가겠습니다.
-
군대에서의 1년 반을 사회에서의 시간으로 치환하면 어느 정도 길이로 느껴짐??
-
또 30점대네…. 요즘 안풀다가 풀어서 감이 떨어진건가
-
요즘 살짝 늘어져서 내일은 가야할듯
-
과목별로 몇 권 정도 푸세여??
-
농담반 진담반인데 제가 풀던 수능 국어 시험문제지와 지금 시험문제지가...
-
안 풀리던 문제 동료 강사에게 물어봤는 데 그 분은 금방 풀고 그 풀이가...
-
전역이 진짜 오긴 오나요?? 안 믿기는데
-
수학 n제는 보통 몇월부터 하나요? 이제 곧 뉴런 끝나는데 뉴런 끝난다음에 뭐하는게 좋을까요??
-
본인은 보수 짓거리에 환멸느껴서 진작에 현역수능 끝나고 성인되자마자 개혁신당 가입함...
-
탈퇴합니당..ㅎㅎ 17
가입한지 한달쫌넘은거같은데 별로 공부에 도움이 안되는거같아서 탈퇴합니당ㅠㅅㅠ
-
제곧내 이제 곧 시발점 다 끝나서 뉴런 들어가려 했는데 누가 일단 기출 끝내고...
-
근데나작수개잘봤네 11
뭔데77임 미적세문제날린거다맞추고 20번그쉬운문제틀려버리고 이거다맞춘다고가정하면...
-
ㅈㄱㄴ
-
저 프로필 사진 오리 싫은데 다른 것도 고르게 해주세요 그리고 유머라든가 다른 탭도...
무플방지
감사.^^
또 다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능 기본 개념은 매우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이 점을 약간 간과하는 듯합니다. 평가원에서 수능 중요개념을 사용할 때,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는지는 제가 현장에 있어봐서 잘 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