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엽 국어] 짜임에 따른 시상 전개(1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38768
숨이 콱콱 막힐 때가 있다.
온몸이 온통 진흙으로 더럽혀 질 때가 있다.
숨이 막혀도 가기로 한 길은 가야 하는 것이고
꼴 사나와도 가야할 길은 가야 한다.
1. 기승전결 방식
시인은 시에서 자신의 정서나 생각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전개해 나가는데 이러한 방식을 시상 전개방식이라고 한다.
기승전결식은 주로 한시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종종 현대시에서도 차용해 쓰이고 있다. 이 방식은 4단계 구성으로 기(起)에서 시상을 도입하고, 승(承)에서 시상을 발전시켜 나가다가, 전(轉)에서 시상의 변화 또는 전환을 시도한 다음, 결(結)에서 시상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언덕에는 풀빛 짙은데,
우 헐 장 제 초 색 다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려 퍼지네.
송 군 남 포 동 비 가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마를 것인가.
대 동 강 수 하 시 진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별 루 년 년 첨 록 파
-정지상,
위 한시는 자연 현상과 인간사를 대비하며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1구에서 싱그러운 자연의 생동감을 표현한 후 2구에서 슬픈 이별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화자의 상황을 드러내었다. 3구에서 대동강물이 마르지 않는 상황을 설의적 의문으로 제시한 뒤 4구에서 과장적 표현을 통해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2. 선경후정식 시상 전개
선경후정(先景後情)식은 앞부분에서(先) 사물의 모습이나 자연의 풍경(景)을 그리듯 보여주고, 뒷부분
에서(後) 화자의 정서나 생각(情)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도 원래 한시에서 많이 쓰였고, 시조를 거쳐 현대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벌레 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 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 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룡(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석( 石)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佩玉)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號哭)하리라.
-조지훈,
윗시는 앞부분에서 퇴락한 궁궐 모습의 묘사를 통해 몰락한 조선 왕조와 국권의 상실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으며, ‘어느 땐들’부터 마지막까지는 그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화자의 비통한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3. 수미상관식 시상 전개
수미상관식은 시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시에 형태적 안정감과 균형미를 주는 방식이다. 처음과 끝에 유사한 시구가 반복되므로 운율의 형성과 더불어 의미나 정서의 강조도 이루어진다. 우리 현대시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수미쌍관 혹은 수미상응이라고도 한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윗시는 유사한 시구를 시의 앞뒤에 배치하면서 구성의 안정감과 더불어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을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마지막 행의 ‘찬란한 슬픔의 봄’을 통해 ‘모란’의 낙화와 개화가 함축하는 상실의 비애감과 희망의 기다림을 절묘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선지의 속살
수능에서는 시상전개와 함께 그 효과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➊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켜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2008년도 수능)
➋(가)~(다)는 선경후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1년도 3월 서울시교육청)
1. 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키는 수미상관법을 사용했다면 첫 부분에 나타났던 화자의 정서가 마지막 부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서의 심화’ 또는 ‘정서의 강화’가 이루어진다.
2. 앞에서 경치를 보여주고 뒤에서 정서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경후정’이라 한다. 주로 뒷부분 ‘후정’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앞부분 ‘선경’과의 대비 또는 조화로 주제를 더욱 부각하기도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배고파요 0
어떡하지 잠 못자겟어
-
과외 마지막 수업이라 잘 해야함 다시 연습하고 가야지
-
하 내일 병원 데려가보긴 할건데 너무 늦게 알아서 미안함…
-
오르비에 ㅇㅈ하면 일단 도용인가? 의심부터 하게됨 저런 사람이 왜 여길...?...
-
ㅇㅈ 6
학원에 이거 가져가서 풀엇음
-
옆자리는 항상 공석입니다.
-
고1인데 수특으로 독서하는거 어때요?
-
미치겠네 2
이제 3만원이 1시간으로 보이는경지에 다다랐다 과외가 날망쳤어
-
잘자고 3
난 안 자고
-
수학잘하고싶다 1
경제학개론 A+인데 경제통계학 C+인 사람이 있다?
-
근데 본인 여미새인거 13
티 남..?
-
ㅇㅈ 6
셋다 저에요.
-
난 지우려고 했는데 너무 많아서 못 지움 귀찮아져서 딱히 찾아 보지는 않음 인생네컷...
-
몰려오는 그 공허함이 좀 힘든 듯요 쉬는게 아니라 약간 현타 비슷하게 옴
-
수능 다 맞으면 7
오르비 여러분들을 잊지 않을게용 와하하
-
생2 1
이서준t 피셜 기숙까지 합치면 시대재종에 400명정도 예상된다던데 올해는 생2까지...
-
혼자갈건데 풍족하게쓸거면 30?
-
성불한사람들 재미로 수능보는건 정시러들한테는 호재네 2
어차피 정시는 등급 안보잖음 그사람들이 실제로 지원만 안하면 수시이월 많아져서...
-
나도 수능에 물들엇구나..
-
답답하다 2
기출푸는건 노잼인데 실모풀기엔 실력이 딸려 뭐해야하지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맞팔하실분? 4
a moo na
-
나도 ㅇㅈ하고 9
싶은데 특징이 뚜렷해서 특정각임 오르비에선 못할 듯
-
근데 사실 11일임
-
아으 무서운 사람들
-
좋게좋게 생각하기
-
전적대 아쉬움 한풀이 Let's go 이제 군대 갔다오면 진짜로 20대 중반인데...
-
반수의지가 불타오르는중
-
국빱빠워로 힘차게 수학 기출 풀기
-
일단 전 정시충이고요 덧니랑 3급 부정교합 조금 있어서 교정 생각중임 비발치까지는...
-
역시 난 개찐따야
-
30분동안 점유소유한 동생은 #~#.
-
학교 선배한테 연락옴요…. 다들 새터오티 안가도 아무도 존재모른다고해서 걍...
-
지금까지 한 일 술마시고 전화해서 울기 그러고 다음 날 또 전화해서 맨정신으로...
-
비용 수백 수천 들고 시간 수백시간 필요하고 건강도 안 좋아짐 웬만한 고급취미 저리가라 할 정도임
-
저도 듣고싶어요
-
갱상도 남자처럼 살짝 무뚝뚝함 그렇지만 사투리 때문에 애교가 많아보임 나한테 싫은...
-
그 전에 나한테 먼저 공격하라 날 없애야 오르비를 공격할수있다
-
으흐흐 5
흐흐흐흐
-
2403 경제 47점 13
20분컷...47점 새벽이라 집중력 이슈로 갑국이랑 을국 잘못보고 들림 호머식으로는 만점
-
20대 초중반인가? 그땐 광고 많이 떴었는데 이젠 오지도 않네
-
4ㅡ아 생각보다 겁나 뷰끄럽네..
-
ㄹ 오늘 공부한거 사진찍어 올리고픈데 독서실에서 안찍고 그냥 나왔네요
-
공개적인 wwe는 다 받아주지만 이런 건 자제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기분 나빠요
-
흠.. 좀 무리일까요 치열 엄청 틀어진 편은 아님
-
ㅇㅇ 기분전환겸 개강 직전에한번 가야겠네
-
2027수능 화2준비하고 있는데 어나클 하면 올해 시대 안가도 괜찮을까요?농어촌입니다
-
오렌지주스랑 먹는게맛잇다
-
뭔말인진 알겠는데 시험장에서 너무 급해 고치고싶다
-
처음보고 어 김딱딱인데? 이랬음
무플방지
감사.^^
또 다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능 기본 개념은 매우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이 점을 약간 간과하는 듯합니다. 평가원에서 수능 중요개념을 사용할 때,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는지는 제가 현장에 있어봐서 잘 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