닝기뉴 [459554] · MS 2017 · 쪽지

2014-06-14 17:18:03
조회수 952

6평 국b 고전문학 지문 어떻게 풀란 말입니까-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29672

고전시가 지문 있잖아요
이거 해석을 전제로 문제 풀어야되요??

아니 이런걸 읽고 어떻게 이해하라는 말이죠??

으앙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6/14 17:29 · MS 2014

    고어표기를 자주 나오는 건 외워 두셔야...
    읽고 해석하는거죠... 고전시가 고어로 되어있는걸...

  • PiaTe · 467201 · 14/06/14 18:07 · MS 2013

    고전시가 이거 한자 조금 알아야 풀겠던데요..

  • beyoung · 472746 · 14/06/14 18:36 · MS 2013

    전 한자 완전 문외한에 고어 표기도 잘 모르는 편인데 고전시가는 꽤 잘푸는 편인데요,
    평가원에서 한글 읽을줄 아는 사람이면 주어진 단서만으로도 충분히 풀수 있게끔 냅니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적당한 끼워맞춤식의 고어 해석과 가장 확실한 답을 고르는것 인거 같아요.

    예를들어 이번 6평 43번의 경우 3수 4수 보면 동일한 시어의 반복이 아예 없으니 3번이 확실하게 답이였고.

    44번의 경우 "엇더타 교교백구(皎皎白駒)* 멀리 음 두는고" 을 적당히 끼워 맞춰보시면 "어째서 교교백구는 멀리 마음을 두는가?" 라는 것으로 해석되니 화자가 생각하는 무심한 대상은 될수가 없습니다...

    45번은 "피미일인"이 "저 아름다운 한 사람. 곧 임금을 가리킴"이라는 뜻으로 언급됬으므로 어느정도 유교적 성향이 나타난다고 짐작해볼수 있겠지요...

    약간의 감이랄까 그런게 요구되는 부분인건 맞습니다.. 근데 그건 대부분의 시유형이 그런편이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시 유형은 가장 확실한 답을 찾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애매한 선지는 바로 빠르게 넘어가야해요.

  • Boas · 473988 · 14/06/14 19:00 · MS 2013

    편법의 왕도- 문학편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거기에는 * <코드 고전시어로 주제 파악 하기> * <고어를 쉽게 읽는 방법>이 두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saranghae · 452877 · 14/06/14 20:57 · MS 2013

    연계까지 되엇고 이해가 잘 안되시면 고전시가를 더 공부하시면 되겟네요...솔직히
    도산십이곡은....고전시가중에서도 내용이 뻔한 작품에 속하는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