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enska [507626] · MS 2014 · 쪽지

2014-06-09 04:00:46
조회수 598

국어시간부족해요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16584

모의고사보면 꼭 국어만 끝에 시간이 모자라요 ㅠㅠ
다른 건 괜찮은데 유독 국어만 ㅠㅠ ........ 마지막 지문은 거의 찍기로 끝난다는..........
운에 따라서 점수 엄청 왔다갔다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ㅜㅜ
순서 바꿔서도해봤는데 이건 별 효과없는거같아요....... 한국인인데 왜 언어를 읽지 못해 ......ㅜ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칠판 수업 · 444628 · 14/06/09 07:24

    독해능력을 기르시면됩니다. 시간은 시간이 해결해주거든요

  • Rule 7 · 494496 · 14/06/09 22:15 · MS 2014

    시험을 순서대로 보지 말고 자신있는 영역부터 보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은 시험 관리에 대한 저의 칼럼인데 한번 읽어보세요^^

    <4800 초의 시간 컨트롤>

    가장 긴장감이 심한 수능 1교시 국어 시험의 시간은 4800초이다. 시험에서의 1초는 중 ․ 고등학교 6년간을 수험생활로 따져본다면 평소 약 2일간의 학습량에 맞먹는다. 이를 생각한다면 시험에서 단 1초라도 쓸 때는 제대로 쓰고 아낄 때는 제대로 아끼려는 경제적인 문제 풀이의 비법이 필요하다.

    지문을 보기 전에 정답을 70∼80% 이상 확신했다면

    A:적절한 표시를 해두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그리고 문제를 모두 푼 후 남는 시간을 통해 표시를 해둔 문제를 우선 순위로 다시 본다. 남들보다 시간을 절약하여 빠르게 문제를 풀었다는 심리적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쟁력은 다음 문제도 긍정적인 마인드로 풀 수 있게끔 이끌어 준다. 그리고 절약된 시간만큼 어려운 문제를 다시 확인해 볼 여유를 가질 수 있다.

    B: 지문까지 꼼꼼히 확인해 100% 로 답을 확신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왜냐하면, 답을 100%로 확신하지 못한 채 넘어가면 이전 문제에 자꾸 미련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A 방법처럼 나중에 다시 확인할 시간을 아예 처음 문제 접할 때 다 사용하는 것이 문제 풀이에 있어 집중의 효과가 있다.

    자신은 어떤 스타일로 문제를 풀고 있는가? 평소 학교나 집에서 문제를 풀 때가 아니라, 고도의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실제 수능에서를 말한다. 위의 두 가지 스타일 다 장ㆍ단점이 있고 일반적인 문제 풀이 방법은 당연히 B 방법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시험의 기술을 위한 것은 당연히 A 방법이거나 둘을 혼합하더라도 A의 비중이 더욱 커야 한다.

    수험생의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제의 답을 100%로 확신한다고 해서 다 맞추는 것은 아니다. 이는 수험생 나름의 확신일 뿐이다. 그래서 남들보다 빠르게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심리적 경쟁력이 남들과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100% 답을 확신하는 심리적 안정감보다는 이득이 된다.

    수능 국어는 시간 컨트롤 능력이 굉장히 중요한 시험이다. 많은 수험생이 시간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마지막 몇 문제는 답의 확신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찍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시간이 부족하다는 생각은 심리적 위축을 가져와 평소에 알던 지식도 뇌에서 활성화 시키지 못한다. 반대로 시간이 넉넉하다는 생각은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와 평소 실력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평소에는 위의 B 형태로 공부하다가 모의고사나 실제 수능 때에는 시험의 기술적 방법인 A형태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