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아빠 [502502] · MS 2017 · 쪽지

2014-06-02 10:42:33
조회수 610

논술..연고대 정외과나 자유전공학부 목표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02276

현재 전국단위자사고 1학년학생 부모입니다

최종으로 로스쿨갈려고합니다. 인문논술과 leet 시험준비용으로 틈틈이 독서를 하는것이 좋을듯하는데 혹시 추천할만한 도서나 공부방향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고교추천교양도서를 그냥 골라서 읽을지 아니면 논술이나 leet에 도움이 되는 도서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저는15년간 개업소아과의사로 살고있습니다. 혹시 의사나 소아과의사로서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해주셔도 됩니다.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유 · 422230 · 14/06/02 10:54 · MS 2012

    법학적성시험은 대학가서 준비해도 됩니다... 고교 재학 중에 릿 준비해도 크게 도움되는 게 없을듯해요. 하물며 고1이라.. 수재가 아닌 이상 제시문 이해하기도 벅찰듯
    과목은 언어이해, 추리논증, 논술 인데 제가 이중에 추리논증, 논술은 문제를 접한 적이 없어서 모르겠고 언어이해는 수험생때부터 꾸준히 접했었는데 수능 언어의 심화Version 입니다
    고1이면 그냥 수능 국어영역, 그리고 대입 인문논술을 준비하는 게 장기적으로 수능과 대입논술에도 도움되고 leet 기반 쌓는데도 더 도움됩니다.
    인문논술은 과거와 추세가 많이 달라져서 배경지식 도서를 읽는다고 더 좋은 점수를 받는 시험이 아니게 됐습니다. 과거에야 논술 준비한다고 플라톤, 칸트, 롤즈 공부하고 맨큐의 경제학 읽고 그랬는데 요즘 그런거 내는 학교 많이 없어졌습니다. 그저 주어진 제시문을 읽고 핵심을 파악하는 독해력, 그걸 글로 쓰는 논증력, 표현력이 가장 중시됩니다.
    그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배경지식 도서 보다는 인문논술 기출문제를 많이 읽어보고 많이 써보고 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일단 좀 쉬운 난이도에 속하는 성균관대, 경희대, 중앙대 문제를 시작으로 유형을 익히고 중간 난이도인 한양대, 서울시립대, 한국외대 정도 문제를 거쳐 제일 고난이도인 고려대,연세대,서강대 문제를 순차적으로 다뤄주시면 좋습니다. 서울대는 수시논술이 없습니다.
    혹시라도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쪽지로 받을게요 학교라서 저녁에 읽어보고 답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