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발생원인에서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남자들이 여자보다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많을 것 같은데...
알려주신 자료에는 사망사고와 중상자 비율이 남자가 높네요. 물론 통계적으로 검정을 해봐야 더 정확할 것 같지만요. 예전에 여자가 더 안전운전을 한다는 건 어디서 봤던 것 같아요.
이건 통계자료를 못봐서 객관적으로는 주장을 못하겠는데, 주관적으로는 주차에 어려움을 겪는 여자들이 더 많았던 것 같은데... 기분 탓 일까요...
김여사란 말의 탄생배경은 얼마나 교통사고를 많이 내냐가 아니라 얼마나 이해되지 않게 교통사고를 내냐 였던거 아닌가요?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며 책 읽기, 보도 질주하기, 도로에 차 새워놓고 빵집가서 빵 사오기, 사고 내고나서 악악 소리만 지르기.
통계는 보지 않았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해봤을때 음주운전, 졸음운전, 과속 운전 등등 아마도 남자들이 더 많이 할 거고 그에 따라 당연히 남자들이 큰 거 작은 거 안 가리고 사고도 더 많이 낼꺼에요.
그런데도 김여사란 말이 횡횡하는 이유는 당최 사건이 이해가 되지 않는거죠. 음주를 했다면, 약을 했다면, 졸았다면, 운전 면허가 없었다면 사고를 냈어도 그 상황이 잘 못 된건 맞지만 최소한 '이해'는 됬을텐데 '김여사'라는 제목을 단 게시물을 보면 하나같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 투성이라는 게 이 단어의 가장 큰 쟁점인거 같아요
여기서 다루는 건 교통사고와는 다른 것 아닙니까? 교통사고와 주차는 엄연히 다른 거라고 보는데요. 그리고 여성과 남성 즉, 집단으로서의 개념으로 보면 주차의 가장 결정적인 능력이라고 볼 수 있는 공간 지각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 담당하고 있는 뇌 면적에서부터 차이를 보이고 있고요. 집단으로서의 여성은 확실히 집단으로서의 남성보다 주차를 못합니다. 물론 이게 차별의 근거는 될 수 없습니다만,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여성이 남성보다 주차를 못한다라는 명제는 고정관념이나 미신 따위가 아니라 통계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라는 것 입니다.
진심.. 여성전용OOO 볼때마다 이해가 안가요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이런 시설이 많은건지 아니면 다른나라도 그런건지 궁금하기도하고; '차별은 싫지만 혜택은 좋아요' 라는 마인드가 빨리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저런 시설이 여성을 차별한다는 시선인걸 눈치채고 여성단체에서 먼저 기분나빠서 항의하는게 정상이 아닌가 싶은데... 차라리 운전이 미숙한 사람들을 위한 주차공간이라고 하든가
우리나라만 김여사가 존재하는거였나
그게 아니라 김여사 만큼이나 위험한 김사장들도 많은데 여성혐오 종자들이 여성운전자들의 사고만 더 부각해서 그런 고정관념이 생긴거죠. 님도 지금 말씀하셨듯이 여자들이 운전 못한다는게 보편적이고 자명한 명제라면 미국인들이 저런 반응을 보일까요?
2009년 도로교통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를 남깁니다. 남성 운전자 수가 여성보다 세 배 많다는 것을 감안해도 남녀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http://m.blog.daum.net/kaashs/700
교통사고 발생원인에서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남자들이 여자보다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많을 것 같은데...
알려주신 자료에는 사망사고와 중상자 비율이 남자가 높네요. 물론 통계적으로 검정을 해봐야 더 정확할 것 같지만요. 예전에 여자가 더 안전운전을 한다는 건 어디서 봤던 것 같아요.
이건 통계자료를 못봐서 객관적으로는 주장을 못하겠는데, 주관적으로는 주차에 어려움을 겪는 여자들이 더 많았던 것 같은데... 기분 탓 일까요...
김여사란 말의 탄생배경은 얼마나 교통사고를 많이 내냐가 아니라 얼마나 이해되지 않게 교통사고를 내냐 였던거 아닌가요?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며 책 읽기, 보도 질주하기, 도로에 차 새워놓고 빵집가서 빵 사오기, 사고 내고나서 악악 소리만 지르기.
통계는 보지 않았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해봤을때 음주운전, 졸음운전, 과속 운전 등등 아마도 남자들이 더 많이 할 거고 그에 따라 당연히 남자들이 큰 거 작은 거 안 가리고 사고도 더 많이 낼꺼에요.
그런데도 김여사란 말이 횡횡하는 이유는 당최 사건이 이해가 되지 않는거죠. 음주를 했다면, 약을 했다면, 졸았다면, 운전 면허가 없었다면 사고를 냈어도 그 상황이 잘 못 된건 맞지만 최소한 '이해'는 됬을텐데 '김여사'라는 제목을 단 게시물을 보면 하나같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 투성이라는 게 이 단어의 가장 큰 쟁점인거 같아요
물론 더 부각된 점도 있을거구요
그러네요. 남자 운전자 사례를 많이 못 접해서 생긴 편견인가봐요.
김여사 부각하는 심리나
핑크색 여성전용주차장 만드는 심리나
둘 다 여성이 무능하거나 이해불가능한 대상이라는 편견에 기반한건 동일해보이네요.
(물론 여성운전자들이 어떤 형태로든 배려받는데 대한 정당성을 도로위에서 완력믿고 설치는 일부 몰지각한 남성운전자들의 각종 위협이 만들어주게 되었다는 것은 유념해봐야할 대목이지만)
차라리 여성전용보다는 주차 못하는 사람 전용주차장을 만들었으면 더 좋았겠네요. 그게 핵심인데...
네
단순히 수가 아니라 운행시간도 고려해야 합니다...ㅠ
여기서 다루는 건 교통사고와는 다른 것 아닙니까? 교통사고와 주차는 엄연히 다른 거라고 보는데요. 그리고 여성과 남성 즉, 집단으로서의 개념으로 보면 주차의 가장 결정적인 능력이라고 볼 수 있는 공간 지각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 담당하고 있는 뇌 면적에서부터 차이를 보이고 있고요. 집단으로서의 여성은 확실히 집단으로서의 남성보다 주차를 못합니다. 물론 이게 차별의 근거는 될 수 없습니다만,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여성이 남성보다 주차를 못한다라는 명제는 고정관념이나 미신 따위가 아니라 통계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라는 것 입니다.
어디서 보셨어요? 이게 제일 궁금했던 건데...
이비에스 다큐멘터리 중에 남과 여인가? 서울대 심리학과랑 같이 제작한 다큐 있는데 거기서 자세하고 나옵니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제목이 정확하게 기억이 나질 않아서ㅋㅋㅋ 구글링 한번 해보세요
넵 감사합니다 ㅎㅎ
가만보면 우리나라는 서로가 서로를 차별하는듯요.. 남존여비도 있고 여존남비도 있는 독특한 나라?
우리동네 공영주차장에도 있던데 ㅋㅋㅋ진짜 반은 분홍색임 ㅡㅡ
여자는 운전미숙이 많은 듯. 예를 들면 운전 중 사람을 쳤어도 브레이크가 아닌 엑셀을 밟는경우. 남자가 운전미숙으로 사고를 냈다는 기사는 본적이 없어서...
진심.. 여성전용OOO 볼때마다 이해가 안가요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이런 시설이 많은건지 아니면 다른나라도 그런건지 궁금하기도하고; '차별은 싫지만 혜택은 좋아요' 라는 마인드가 빨리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저런 시설이 여성을 차별한다는 시선인걸 눈치채고 여성단체에서 먼저 기분나빠서 항의하는게 정상이 아닌가 싶은데... 차라리 운전이 미숙한 사람들을 위한 주차공간이라고 하든가
그냥 면허시험 까다롭게 만들면 좋겠어요ㅇ
저거 마케팅 수단 아닌가요..
법으로 정해진 의무사항이에요~
아.. 처음 들었네요
네..대부분은 모르죠.
전 영국 친구가 한국왔을 때 한국사람들은 핫한걸 좋아하냐고 묻길래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었더니 김치도 핫하고 저기 저 주차장 색조 핫 핑크라고 ..... 그저 웃을뿐 ㅋㅋㅋㅋ
남녀평등을 주장하면서 주차장에서의 남녀평등은 없네.
같은 여자지만 욕 나온다. 참 가지가지 함.
우리나라 페미니즘은 자신들의 권력욕구를 채우려는 극소수 여성들만의 여성우월주의와 남성혐오주의의 광란의 질주!
저기에 세금 쓰지 말고 생리대 값이나 좀..;; 산부인과 정기검진 캠페인이라도 벌이던가, 산부인과 의사 환경 개선이라든가. 육아환경 개선이라든가..
진심 이런게 더 유익할듯..
저걸 법으로 강제한다는게 함정.
저건 진짜 나라망신이네요 저런거 하나하나가 여성가족부의 위엄이죠 어떻게하면 여성들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어떻게하면 나라망신을 시킬지 고민하고 연구하는 단체. 사실 저 단체는 여성들이 앞장서서 폐지시키는게 맞는거죠 저는 여성가족부를 지능적안티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봅니다
제발 여성부 좀 .....
뉴질랜드보면 기절하실듯
본문과 별개로 미국방송 저런데서
다른나라 분위기나 문화차이도 잘 모르면서 자기들 기준으로 저건 옳다 아니다 구구절절 평가하는거 진짜 짜증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