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5-21 10:20:42
조회수 548

언어 영역 기출 문제 질문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577533

(나) 눈을 가만 감으면 굽이 잦은 풀밭 길이
      개울물 돌돌돌 길섶으로 흘러가고
      백양 숲 사립을 가린 초집들도 보이구요

      송아지 몰고 오며 바라보던 진달래도
      저녁 노을처럼 산을 둘러 퍼질 것을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어질고 고운 그들 멧남새도 캐어 오리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감았던 그 눈을 뜨면 마음 도로 애젓하오
                                               -김상옥, 사향-

18. <보기>의 관점에서 (나)를 감상할 때, 가장 적절한 반응은?
<보기>
 시조는 전통적으로 음악과 관련된 형식을 강조한다. 노래로 불려지지 않는 현대 시조에서도
이러한 형식은 여전히 중요시되어 음수 통제나 율격 구조와 같은 형식적인 제약이 강조되고 있다.
그 결과 시적 감수성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제 현대 시조는 이러한 형식적 제약을 넘어서
새로운 미학을 개척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①의미를 압축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글자 수를 제한하고 있군.
②이미지의 흐름에 따라 짜임새 있는 의미 구조를 이루고 있군.
③ 어절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율격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군.
④사투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시의 리듬감을 잘 살리고 있군.
⑤정서의 흐름을 통제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3장 구조를 지키고 있군.


답은 2번인데 3번이 왜 안되는 지 모르겠습니다.

보기의 내용에서

현대 시조에서 여전히 음수 통제나 율격 구조와 같은 형식적 제약이 남아 있다고 했고

새로운 미학을 개척해야 한다고 했는데

(나)가 단순히 새로운 미학을 개척한 시인지 아닌지를 결정해주지는 않았기 때문에

2번처럼 이미지 구조라는 새로운 미학을 개척했구나 하고 칭찬할 수도 있겠지만

흠 아직 어절을 규칙적으로 배열해서 율격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과거와 같은 형식적 제약도 남아 있군

할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보기에서 밑에 이러한 관점에서 이 시는 그러한 새로운 미학을 개척한 현대 시조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라고 덧붙였다면 모르겠으나 그것도 아니니 보기가 무조건 새로운 미학 얘기했다고

(나)를 그런 점만 있는 시조로 보는 것도 비약인 것 같아요.

도움 부탁드릴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누구니? · 404729 · 14/05/21 10:40

    보기에 포커스를 맞추실 게 아니라 시자체에 포커스를 맞춰보세요

    고전시가 3.4조 4.4조 처럼 규칙적으로 어절이 배열되있나요?

    그게 아니라는 거죠..

  • jerrytwo · 480154 · 14/05/21 21:15 · MS 2013

    눈을 가만/ 감으면/ 굽이 잦은/ 풀밭 길이
    개울물 /돌돌돌/ 길섶으로/ 흘러가고
    백양 숲/ 사립을 가린/ 초집들도/ 보이구요

    이런 식으로 끊기는 게 율격 아닌가요?

    당연히 정확한 건 아니겠지만

  • 4차원국어 · 492845 · 14/05/21 13:38 · MS 2017

    -------------------------<보기>------------------------------

    현대 시조에서도 음수 통제나 율격 구조와 같은 <형식적인 제약이 강조>되고 있다.

    <그 결과 시적 감수성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제 현대 시조는 <이러한 형식적 제약>을 넘어서

    [새로운 미학]을 개척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현대시조는 전통시조의 <형식적 제약>을 넘서서 [새로운 미학]을 개척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①의미를 압축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글자 수를 제한>하고 있군.

    ②이미지의 흐름에 따라 짜임새 있는 [의미 구조]를 이루고 있군.

    ③ 어절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율격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군.

    ④사투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시의 리듬감을 잘 살리고 있군.

    ⑤정서의 흐름을 통제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3장 구조>를 지키고 있군.



    1.3.5번 선택지는 <보기>가 말하는 전통 율격 구조의 제약이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정답은 2번이겠죠?

  • pownc110 · 451676 · 14/05/21 14:01 · MS 2013

    그냥 단순하게 봐도 <보기>는 율격구조가 방해가 되기 때문에 현대시조는 그런 제약을
    넘는다고 했는대 3번은 율격구조가 오히려 드러난다는 말이잖아요 즉 <보기>관점과 3번선지는
    정반대네요.

  • pownc110 · 451676 · 14/05/21 14:01 · MS 2013

    그냥 단순하게 봐도 <보기>는 율격구조가 방해가 되기 때문에 현대시조는 그런 제약을
    넘는다고 했는대 3번은 율격구조가 오히려 드러난다는 말이잖아요 즉 <보기>관점과 3번선지는
    정반대네요.

  • 1샤샤샤샤샤샤샤1 · 452877 · 14/05/21 14:50 · MS 2013

    어절을 규칙적으로 배열한것은 위 시에선
    눈을 씻고찾아볼래야 찾아볼수가 없습니다

  • jerrytwo · 480154 · 14/05/21 21:17 · MS 2013

    님이 알고 계신 어절을 규칙적으로 배열한다는 것의 예시를 들어주시면 안되나요?.이해가 잘 안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