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4-12 12:20:37
조회수 619

가설이 성립한다 라는 말이 무엇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86690

    1908년에 아레니우스(S. Arrhenius)는 지구 밖에 있는
생명의 씨앗이 날아와 지구 생명의 기원이 되었다는 대담한 가
설인 포자설을 처음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이 주장은 검
증할 방법이 없었으므로 과학적 이론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
다. 그 후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 노벨상을 받은 크릭
(F. Crick)이 1981년에 출판한 생명의 출현 에서 포자설을
받아들였지만, 그의 아내조차 그가 상을 받은 이후 약간 이상
해진 것이 아니냐고 말할 정도였다.
   지구 밖에 생명이 있다고 믿을 만한 분명한 근거는 아직까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의 존재를
사실로 인정하려 한다. 그들은, 천문학자들이 스펙트럼으로 별
사이에 있는 성운에서 메탄올과 같은 간단한 유기 분자를 발견
하자, 이것이 외계 생명의 증거라고 하였다. 그러나 별 사이
공간은 거의 진공 상태이므로 생명이 존재하기 어렵다. 외계
생명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또 한 가지 증거는 운석에서 유기
분자가 추출되었다는 것이다. 1969년에 호주의 머치슨에 떨어
진 운석 조각에서 모두 7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된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기 분자가 운석에 실려 외계에서 지구로 온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운석이 오히려 지구상의 생명을 멸종
시켰다는 가설도 있다. 한때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이 중
생대 말에 갑자기 멸종했는데, 이에 대해 1980년에 알바레
즈(W. Alvarez)는 운석 충돌을 그 원인으로 추정했다.
이때 그는 중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퇴적층인 K·T층이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K·T
층에는 이리듐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리
듐은 지구의 표면에 거의 없는 희귀 원소로, 운석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중생
대 말에 지름 약 10km 크기의 운석이 지구에 떨어졌고,
그에 따라 엄청나게 많은 먼지가 발생하면서 수십 년 동안
햇빛을 차단한 나머지 기온이 급강하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공룡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명이 멸종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화석 연구를 통하여 과학자들은 지구 역사상 여러 번에 걸쳐
대규모의 멸종이 있었음을 알아내었다. 예컨대 고생대 말에 삼
엽충과 푸줄리나가 갑자기 사라졌다. 이러한 대규모 멸종의 원
인에 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운석의 충돌도 그 중 하나
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오늘날에는 생명의 원천이 되는 유기물이 운석을 통하여 외
계에서 왔을 가능성과, 운석으로 인해 지구상의 생명이 멸종되
었을 가능성을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만 지
구상 유기물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
다. 그렇기에 세이건(C. Sagan)은 외계에서 온 유기물과 지
구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모두 생명의 탄생에 기여했을 것이
라는 절충적인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
되기까지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하게 제기될 것이다.

20. 윗글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타당성을 검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② 중도적인 입장에서 현상을 설명해야 한다.
③ 최소한의 근거를 가져야 성립할 수 있다.
④ 다른 가설과 경쟁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⑤ 과학적 증거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된다.



답은 2번이구 답 찾는 건 쉬웠습니다만 3번이요

가설이 최소한의 근거를 가져야 성립할 수 있다는 말이

가설 그 자체가 제기될 수 있다는 말인지 아니면 이 가설이 검증되어서 이론으로 성립한다는 말인지

헷갈리네요

만약 전자라면 첫 문단의 포자설은 근거는 안 나와 있기 때문에

3번도 살짝 혼란스러워지는 게 아닌가 합니다.

분명 '윗글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내용의 선지들이기 때문에 윗글을 읽고서 판단할 수 있어야 되는데

저렇게 근거가 소개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면 근거가 무조건 있어야 가설로서 존재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기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발점 · 418219 · 14/04/12 12:57 · MS 2012

    1908년에 아레니우스(S. Arrhenius)는 지구 밖에 있는 생명의 씨앗이 날아와 지구 생명의 기원이 되었다는 대담한 가설인 포자설을 처음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이 주장은 검증할 방법이 없었으므로 과학적 이론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지문 내용 축약 = 증거 없네? 포자설은 무슨 포자썰이지ㅋㅋㅋㅋㅋ -> 어느 정도 증거는 있어야 가설이라 되는구나... 로 판단 가능할 것 같습니다

  • jerrytwo · 480154 · 14/04/12 13:29 · MS 2013

    음... 그 부분으로 그렇게 얘기하시는 건 제가 말한 후자의 경우네요

  • 시발점 · 418219 · 14/04/12 13:34 · MS 2012

    네. 그렇게 되는 것 같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