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공급 [311238] · MS 2009 · 쪽지

2014-04-02 10:41:20
조회수 2,869

탐구 분석 제2탄! 원점수-변표분석 : 과학탐구 꿀 과목을 찾아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66355

http://kyu7002.tk/129 을 읽지 않고 아래내용을 읽으면 바보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대학이 탐구영역에서 변환표준점수를 사용합니다.



탐구영역 변환표준점수를 사용하면서


국:수:영:탐의 반영비율이 2:3:2:3인 대학들에서는



과학탐구에서 변환표준점수 4점의 차이는 수학 표준점수 4점과 동일한 비중 을 갖고있습니다.


그런데 변환표준점수는 매년 변화하는 수치이고, 동일한 원점수에서 과목별로 취득하는 백분위점수가 다르다보니,


원점수가 익숙한 수험생들에게는 잘 다가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무도 하지않는) 최근 3년간  원점수 대비 과학탐구 변환표준점수 감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화학1의경우 -0.62점이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백분위 100점에 해당하는 변환표준점수를 기준으로 -0.62점 감점되었다는 뜻입니다.



아래내용을 읽기전에 유의해야할점



- 2013학년도까지는 7차교육과정 과학탐구로 출제한 반면 2014학년도 부터는 09개정교육과정으로 출제함
- 2014학년도 부터 탐구선택이 2과목으로 줄어듬(2013까지는 3과목, 2011까지는 4과목)








2014학년도의 경우 화학2 선택자는 원점수 만점에서 -5점 감점되었을때 -2.37점이 감점되었던 반면 생명과학2 선택자는 무려 -6.84점이 감점되었습니다.


수험생이 많이 틀리는 원점수인 47점, 45점, 44점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동일한 원점수 구간에서 감점폭이 적은 순서로 년도별로 정리해보았는데 다음사진과 같습니다.







이번에는 거꾸로 47점, 45점, 43점에서 년도에따라 감점폭이 작은순서대로 과목들을 나열해보았습니다.






위 통계자료를 읽어보면 어떤과목이 꿀인지 감이 오시나요?


저는 감이 오지않습니다.


위 통계를 보면 '평가'의 전문가 평가원은 마음만 먹으면 탐구 하나쯤은 골로가게 만드는 재주가 있는것 같습니다.


제 나름대로의 결론을 보면


1. 난이도가 높은 과목이 감점폭이 적다.

2. 그런데 1번에서의 '난이도'는 과목의 개별 난이도(화2는 개념이 어렵고 지구과학은 쉽다던지)가 아니라 '수능 시험' 난이도 이다.

3. 수능 시험 난이도는 예측하기 어렵다. 

4. 결국 탐구점수는 복불복이다. 최대한 손해를 보지 않기위해서는 50점을 맞아야한다.




참고문헌

없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