얌냠 [444914] · MS 2013 · 쪽지

2014-03-20 21:06:54
조회수 533

라마누잔님!수비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35350


아톰에어떤분이제가궁금한거랑
똑같은부분을질문하셔서
댓글을읽엇는데도 해결이안됩니다

도와주세요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마누잔 · 459231 · 14/03/20 21:17 · MS 2013

    일단 직관적으로 이해해봅시다! 지수함수 그래프 그릴 줄 아시죠? 지수함수의 역함수가 로그함수 인것도 있지만 역함수라는 개념의 기하학적 의미로 y=x에 대칭인것은 아시죠?? 그러면 그림을 그려봅시다. 좌표평면에 지수함수 맘에 드는거 아무거나 대충 그리시고 y=x를 이쁘게 그려보세요. 그리고 x축 방향으로 뽈뽈뽈 움직인다고 상상해보세요. 그러면 처음엔 y=x에서 안만나다가 언젠가 딱! 한점에서 만나는 순간이 있죠?? 거기서 쪼금만 더 가면 무조건 두점에서 만나겠죠? 지수함수와 y=x라는 직선은 무조건 안만나든지 한점에서 만나든지 두점에서 만나요. 그리고 한점에서 만날땐 지수함수가 y=x에 접할때죠. 그러면 이 세가지 케이스를 그려보시고 거기서 지수함수를 y=x 대칭을 해보세요. 그러면 그게 역함수에요. 지수함수랑 그 역함수의 교점을 잘 살펴보세요. 반드시! y=x 위에 있죠?? 그러면 지수함수와 역함수의 교점은 두 함수 위의 점임과 동시에 y=x 위의 점이죠. 그러면 (1,3)이나 (3,1) 같은 점은 죽어도 교점이 안된다는걸 아실 수 있을겁니다~

  • 얌냠 · 444914 · 14/03/20 21:30 · MS 2013

    긴답변감사합니다ㅎㅎ근데제가이해를못햇는지 궁금한부분이해결이명쾌하게안되어서해설지사진첨부해서다시글올리겟습니다ㅠㅠ도움주시면감사드릴게요

  • 라마누잔 · 459231 · 14/03/20 21:32 · MS 2013

    아 뭐야.. 질문의 요지가 그게 아니었네요 ㅠㅠ만약 두번째 케이스라면요 아까 제가 말씀드린것 처럼 지수함수와 역함수는 y=x 위에서만 교점이 생기는데 그 이외의 교점이 있다고 가정해본겁니다. 만약 그런점이 있다면 그것도 두개씩이나 더 있다면 두 지수함수가 세점 이상에서 만나는 말도 안되는 일이 일어나죠! 모순인겁니다. 글고 제 책엔 저 페이지에 저 문제가 있질 않아서 ㅜㅜ 확답을 못드리겠네요

  • 얌냠 · 444914 · 14/03/20 21:38 · MS 2013

    제가이댓글읽기전에글을올렷네요ㅋㅋ다시생각해봐야겟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