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군 · 446425 · 14/03/11 19:15 · MS 2013

    그럴순없습니다 극한개념하고 똑같다고보시면됨

  • Mckinsey&Company · 412151 · 14/03/11 19:17 · MS 2012

    0보다 찔끔 큰거요 ㅋㅋ

  • 솔로몬과낑깡 · 330158 · 14/03/11 19:22

    0보다 명백히 큰, 인간이 규정가능한 가장 작은 실수를 의미합니다.

  • 라마누잔 · 459231 · 14/03/11 20:18 · MS 2013

    ? 충분히 작은 양의 실수라 해야 말이될텐데요... 양의실수라는 말 없이 그냥 충분히 작은 실수라고 한다면 음양과 상관없이 절댓값이 작은걸 의미하는지 음수까지 생각해서 작은 수를 생각하는지 불분명하니깐요. 보통 실수 전체에서는 크기라는 표현보다 순서라는 표현을 써서 두 수 사이에 순서가 정해져있다라고 합니다. 아마 님이 질문하신건 충분히 작은 양의 실수를 나타내는거일거에요. 주로 입실론이라고 쓰죠. 극한이 0으로 간다... 라는건 일종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인데 입실론은 상태라기 보다는 충분히 작은 실수 자체를 나타내서 비슷하지만 엄밀히는 당장는 별개인 말입니당. 경우에 따라서 비슷한 말이 되기도 하구요!

  • jerrytwo · 480154 · 14/03/11 20:31 · MS 2013

    교과서에 절댓값이 충분히 작은 실수 h라고 되어 있네요 이게 극댓값을 설명하는 부분이라서 딱히 음양이 상관없어서 그런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