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칠] 중복조합의 기호에는 왜 H가 사용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10969
오늘은 수학 기호에 대한 얘기를 하나 해볼까 합니다.
바로 중복조합의 기호 H인데요...
H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찾기 힘들어서
여기에 간단하게(?) 설명해볼까 합니다. ^^
(중복조합과 이항정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
경우의 수를 세는데 쓰이는 기본적인 도구에는 순열, 조합, 중복순열, 중복조합이 있습니다.
각각의 기호와 계산법을 간단하게 살펴봅시다.
*순열(Permutation)
서로 다른 n개의 대상 가운데 r개를 선택해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이며, P는 Permuatation의 머릿글자입니다.
*조합(Combination)
서로 다른 n개의 대상 가운데 r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이며, C는 Combination의 머릿글자입니다.
*중복순열(Permuation with Repetition)
서로 다른 n개의 대상 가운데 중복을 허락해서 r개를 뽑아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이며, (pi)는 곱을 의미하는 Product의 머릿글자입니다.
P는 순열이 선점해버렸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하는 그리스 알파벳을 가져온 것이죠.
(는 원주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그리스 알파벳
의 대문자입니다.)
*중복조합(Combination with Repetition)
서로 다른 n개의 대상 가운데 중복을 허락해서 r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이며, H는 Homogeneous monomials(동차단항식) 또는
Homogeneous product(동차곱)의 머릿글자입니다.
그럼 동차단항식, 동차곱은 무슨 뜻일까요?
이를 파악하려면 이항정리를 알아야 합니다.
이항정리는 (a+b)^10과 같이 항이 2개인 다항식의 거듭제곱을
전개하는 방법에 대한 정리입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죠.
이항정리의 계수를 조합 대신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삼항정리가 유도됩니다.
이를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면?
다음과 같이 항이 k개인 다항식의 거듭제곱을 전개하는 방법인
다항정리를 만들 수 있죠.
의 전개식에서 각 항은
위 일반항에서 각 문자의 차수 이 변하면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차수의 합이 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동차단항식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를 전개했을 때
항의 개수는 방정식 의 근의 개수와 같고,
미지수 은 0 또는 자연숫값만 갖기 때문에 근의 개수는
서로 다른 k개의 대상 가운데 중복을 허락해서 n개를 뽑는 경우의 수,
즉 중복조합 과 같습니다.
이 때문에 중복조합의 기호로 동차단항식의 머릿글자 H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사실을 안 숭실대는 다시 입학절차를 밟게 해 주었다고..
-
전과목 만점 나올때까지 풀어야 한다면 수능날도 가능하지 않을까
-
빠잇
-
헤헤 3
조은기분
-
다른것도 인증햐볼까 흐흐
-
문과인것도 서러운데 자꾸그러면 너무슬퍼 참고로 에리카공대면주면기어서감
-
아님 차가운 아메리카노 마실까
-
더 월드 2
이제 무한수면을 즐길예정
-
공차에서 초코밀크티 먹을지, 오레오 스무디를 먹을지... 결국 덜 차가운 초코 밀크티 먹었대요
-
자잘비르오 7
밤굿
-
님들아 심심하면 2
소금으로 간을 맞추셈
-
말 하지마~
-
옯스타 파요 5
네
-
몸 쑤신다 5
자야지 잘자요
-
안녕하세요
-
학년진급 못하고 1학년 3학기하는건가요?
-
으어아
-
오르비에도 보이는데 걍 사람이 ㅈㄴ 착함 그래서 흑화시키고싶음 ㄹㅇㄹㅇ
-
시청자좀 차면 보여준대 https://m.site.naver.com/1zZVs
-
으음 뻥임
-
예비 230번 73-100-130-172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숙대 국민대 숭실대...
-
나 사실 남자임 1
ㄹㅇ임뇨
-
사실도용이야.. 13
저거 누군지도머름.. 긍까잠실 그사람내사진지우는걸추천
-
시청자좀 차면 보여준대 https://m.site.naver.com/1zZVs
-
으아 답답해요 4
E풋볼 모바일로 덤비십쇼....
-
사실 ㅈㄴ 많이 봤음
-
질문받아요 18
근데 안받을수도 있음
-
ㅠㅠ
-
정디플 갔는데 잘 한거지?
-
쪽지해요 2
-
그래도 전에는 2
최선의 어그로를 끌아야그나마 댓글냘개 달아주ㅏㅆ능데 지금른 관심많이받아서 기분짱조은 ㅎㅎ
-
과1사1 6
과1사1이 이과기준 2사탐보다 좋은점이있나요
-
제곧내…
-
ㅅㅂ잠실누구냐 10
나진짜알아????
-
하 시원하게 인증메타 끼고 특정당해?
-
ㅜㅜ
-
어캄
-
ㅇㅈ 12
고드름 폭탄주 ㅇㅈ
-
반수관련해서 부모님과 싸우고 있어서 고민입니다. 지금 광운대 자전이 붙었는데 제...
-
수학이 약한데 가능할까요..?
-
나도 이미지좀 0
ㅇ
-
응 안해 하면 누군간 캡처할게뻔함
-
ㅈㄱㄴ
-
얼버기 10
아까 낮에 한번 자서 그런가 잠이안오네 걍 안자야겠다
-
통통이한텐 92점만돼도 잘했다고 하는데 미적이한텐 96점도 못받으면 공부 제대로 안했다고하고
-
안되겠다 비법주 개봉
-
그 내용은 짝사랑 실패물일것이다
-
사실 우울증있음
대학오니까 저 C 기호를 안쓰더라구요... 멘붕
그러게 말이에요~
원서의 압박 때문에 정신 없는데 기호까지 바뀌니 좀 헷갈리죠.
(유명닉께서 첫댓글 달아주시다니 영광입니다~ ^^)
행렬도 E잘 안쓰고 I쓰죠... ㅋ 벡터도 위에 작대기 옆에 작대기 이탤릭체 ㅡㅡ 좀 통일좀 시키지 너무 귀찮죠 ㅋㅋ
제르맹님 댓글 보니까 모고등학교 내신 문제가 생각나네요. 단위행렬 기호로 E 대신 I를 썼는데 참 신선하더라구요~
그리고 올해 고1부터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에는 대학에서 쓰는 기호와 비슷해진게 하나 있습니다. 좌극한, 우극한 기호가 기존 x→a-0, x→a+0에서 x→a-, x→a+로 바뀌었죠. 학생들이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없다면 조금씩 통일해가는 것이 옳은 방향일 겁니다. ^^
이과지만 이파트만보면 머리가아프네요ㅜㅡㅠ
본문에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삼항정리, 다항정리가 있어서 조금 더 머리가 아프죠...
그래도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올려봤습니다~ ^^
이런거 저만궁금해하는줄...
꽃들님 같은 학생들이 있을 거라 생각하고,
제 책에 저런 내용도 넣었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