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리얄리얄랑셩 [369472] · 쪽지

2014-03-07 23:14:17
조회수 810

수특 영어 test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05550

그 어휘문제 있잖아요.. defeat/ignore중에 고르는거.. 답이 ignore인게 이해가 안가네요?defeat 도 충분히 답이 될거같은데.. 앞부분 사례에서 disproving aristotle~ (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반증하다) 의 disprove(반증하다) 하고도 의미가 통하고.. 그리고 의미상으로도 fraud의 이론을 패배시키고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려하다~~가 fraud의 이론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려 하다 보다 매끄럽지 않습니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레이테르 · 444325 · 14/03/07 23:18 · MS 2013

    저도 그거 틀렸어요ㅋㅋ 패배시키다로 하면 정말 자연스레 해석되던데

  • 각설이 · 463916 · 14/03/07 23:29 · MS 2013

    그러게요.. '패배시키다, 굴복시키다'가 들어가니까 오히려 훨씬 더 매끄러운데, 굳이 ignore을 써야만 하는 이유가 있었던건지..

  • 얄리얄리얄랑셩 · 369472 · 14/03/07 23:39

    영어 고수분들 댓글좀~~

  • 스님모의고사보고올게요(스모고) · 449448 · 14/03/08 00:18 · MS 2017

    ㄱㄷ지금봐드림

  • 스님모의고사보고올게요(스모고) · 449448 · 14/03/08 00:28 · MS 2017

    음 만약 defeat 가 들어가려면 Freud의 선험적 증명이 틀렷다는걸 증명했어야되는데, 앞선사례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때문에 자신의견해는 무시당했던 갈릴레오의 사례와 similar effect라고 표현해뒀네요. defeat도 어떻게보면 맞는 말일 수 있지만 defeat했음에도 불구하고, 라면 이미 틀렷다는걸 증명한 상태인데 다른상당한 수의 심리학자가 Freudian으로 남을리가 없엇겟죠? 그러니깐 살짝 애매하긴해도 ignore가 더 올바른것 같네요

  • 안암행정15 · 410827 · 14/03/08 08:13 · MS 2012

    수특풀때면 모의고사나 기출풀때와다르게 답답한느낌이들어요. 주제넘는말이지만 막만든문제같은기분 작년에 리딩스킬로 늘 킬러문제빼고 빈칸은다맞앗는데 뭔가..실력이떨어진건지 문제가 안좋은건지 모르겠어요. 수특영어도 수학같이 이런게있나요

  • 얄리얄리얄랑셩 · 369472 · 14/03/08 13:55

    올 스님모의고사님 감사합니다ㅋㅋ 이해되네요

  • 얄리얄리얄랑셩 · 369472 · 14/03/08 13:56

    논리력 대단하신듯..

  • 스님모의고사보고올게요(스모고) · 449448 · 14/03/08 15:19 · MS 2017

    아니에여.. 이해되셧으면 다행이구 감사하죠 ㅠㅠ... 이번수능때 평백98맞고싶네요..후

  • 얄리얄리얄랑셩 · 369472 · 14/03/08 16:23

    아 재수생이심? ㅋㅋ 저도ㅋ

  • 얄리얄리얄랑셩 · 369472 · 14/03/08 16:24

    아니 재수란말은없네;

  • 스님모의고사보고올게요(스모고) · 449448 · 14/03/08 19:53 · MS 2017

    ㅋ.ㅋ 스님모의고사보고올게요라는거 뜻이 절에서공부중이라능겁니다요..지금절..힝

  • 축구신동지단 · 442800 · 14/03/28 18:04 · MS 2013

    지금 댓글 다는게 뒷북일지도 모르지만
    프로이드도 similar effect가 있다 했으니까 many psychologists began to ignore Freud를 alternative views could not get a hearing의 재진술로 보면 깔끔할거 같음요

  • 서울대자전_연대UD · 402241 · 14/04/04 20:15 · MS 2012

    위 답변이 참 적절치 않은 것 같은데요.......

    Aristotle(권위있음) 때문에 alternative view는 무시당했다.

    그리고 Freud의 사례에서는 Freud가 바로 그 권위자일텐데요. Freud 이론이 difficult to revise or improve 라고 했으니까요.

    그럼 이거를 재진술로 보려면 "프로이트와 다른 견해들을 가진사람들 (문맥에서는 though 뒤의 many psychologists) 의 의견은 무시되었다"라고 와야 그게 재진술이지, 문장자체에서는 "그들의 work를 진척시키기 위해 프로이트를 무시하기 시작했다" 라고 말하는걸요.

    그러니까 위에서 말씀하신 거 틀린 논립니다. difficult to revise or improve라는 문장에서 끌어와서 "수정이나 개선이 힘들어서 전적으로 무시했다."고 보아 ignore을 찍는 논리가 맞는거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