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2-26 20:38:37
조회수 337

문학에서 화해라는 말이 의미가 조금 다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84708


화해라는 단어가 괄호쳐져 있는 한자의 그 단어로 사전에 찾아보니까

싸우던 것을 멈추고 서로 갖고 있던 안 좋은 감정을 풀어냄이라는 뜻 밖에 없던데



1994 - 2차 언어 영역 29번에서

평화의 존재인 님을 그리고 있는 작품

떠난 이와 만나기를 바라는 작품

어떤 대상과 순리로 인해 화합이 되기를 노래하는 작품

세 작품의 서정적 자아의 공통적 태도로 화해의 세계를 열망한다는 선지가 답이었거든요

근데 화해라는 단어의 의미로 보면 갈등의 부분이 세 작품에서 드러나지 않은 게 아닌가 해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건홍15학번 · 495383 · 14/02/26 21:00 · MS 2014

    화해 = 해소로 보시면 될꺼 같은데

  • 국어의神 · 496274 · 14/02/26 21:21 · MS 2014

    문학에서의 화해는 곧 '갈등상황의 해결'입니다. 그런데 이 갈등이라는 것을 단순히 개인과 개인 사이의 불화가 아닌 '옳지 못한 것' 또는 '불만인 것' 정도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아무런 불만도 걱정도 갈등도 없는 상황이 화해의 상황 또는 화해의 세계인 것이죠. 예를 들어 일제강점기의 갈등은 무엇일까요? 바로 해방이 되지 못한 상태 그 자체인겁니다. 그러므로 일제강점기 배경의 문학작품이 추구하는 화해라는 것은 '식민지 상태(갈등)의 해방(화해)'가 되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님이 떠난 상태 또한 '나'는 님을 바라고 있기 때문에 갈등의 상태에 있는 것이고요. 때문에 '떨어져 있는(갈등) 님과의 재회(화해)'가 됩니다. 이해가 잘 되었길 바랍니다.

  • jerrytwo · 480154 · 14/02/26 22:30 · MS 2013

    문학적 개념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 문제에서 세 작품 중 한 작품은 한용운 - 찬송인데요 이 시에서는 말씀하신 불만스러운 부분조차도 발견을 못하겠어서요...

  • 국어의神 · 496274 · 14/02/27 02:53 · MS 2014

    한용운의 <찬송>에도 갈등이 나타나있습니다. '거지의 거친 밭', '얼음 바다'등의 시어에서 현재의 갈등 상황을 추론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 jerrytwo · 480154 · 14/02/27 11:24 · MS 2013

    아 자기 자신과의 갈등이 아니어도 서정적 자아가 화해의 세계를 열망한다고 할 수 있는 건가요?

  • 국어의神 · 496274 · 14/02/27 14:29 · MS 2014

    갈등이라는 단어가 포괄하는 범위가 굉장히 넓습니다. 갈등의 종류에는 남vs남, 나vs남, 나vs나 등이 모두 포함되고 여기서의 남이라는건 단순한 타인이 아닌 상황 전부가 되는거죠. '화해=갈등상황의 해결, 갈등=부정적인 모든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jerrytwo · 480154 · 14/02/27 15:06 · MS 2013

    애매하게 느낀 부분을 명료하게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 440069 · 14/02/26 21:33 · MS 2013

    문학에서의 갈등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내가 님과 떨어져있다면 떨어져 있지 않은것이 이상이고 떨어진것이 현실입니다. 내가 사회로부터 버림받았다면 그것이 곧 개인과 사회와의 갈등이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