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빨간리본 · 274427 · 10/12/25 16:33 · MS 2009

    하얀색

  • 머테리얼 · 344277 · 10/12/25 16:33

    알수없다가 정답인가요? 곰이 색깔이 있는것도 아니고 제시문에선 절대 추론할수없는데 ㅡㅡ;

  • 스틸리블루 · 100358 · 10/12/25 16:34 · MS 2005

    딱보고 합성인줄알았었는데 이거 생각보다 과학적인문제임. 답은 흰색

  • J.. · 214641 · 10/12/25 16:34 · MS 2007

    사는곳이 북극이므로 북극곰, 너무 많이 본 문제네요..

  • 니콜남편 · 321469 · 10/12/25 17:56

    지구는 둥그니까 어디든지 극점이 되지않나요? 그러니까 알 수 없다라고 생각하는디 ㅋ

  • J.. · 214641 · 10/12/25 20:33 · MS 2007

    '북극'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시길..

  • Tolerance · 333699 · 10/12/25 16:35 · MS 2010

    북극돋긔

  • 샤나 · 268744 · 10/12/25 16:37 · MS 2008

    남쪽으로 가다가 곰이 도망치자 바로 동쪽으로 갔다는 건, 곰을 매우 가까이서 발견했다는 뜻입니다. 멀리서부터 발견했더라면 곰은 사냥꾼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오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남동쪽, 남서쪽, 혹은 남쪽으로 도망갔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곰은 주변 환경과 매우 비슷한 색깔을 지녔을 것입니다. 매우 가까이서 발견했다는 것은 주변 모두가 흰 색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되는 북극 근처의 환경에서 발견되기 힘든 색을 지녔다는 것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곰은 흰색입니다.

  • 김치송송 · 299238 · 10/12/25 16:38 · MS 2009

    아 다들 너무 잘푸시네 ㅡㅡ
    제목바꿔야겟슴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샤나 · 268744 · 10/12/25 16:39 · MS 2008

    북극 근처라는 것은 남->(동/서)->북으로 갔을 때 원래 위치가 나오는 단 한 곳이 북극이기 때문입니다.

  • 뚜뚜 · 236397 · 10/12/25 16:42 · MS 2008

    남극도되지만 남극엔곰이살지않는다 아닌가요??

  • 샤나 · 268744 · 10/12/25 16:46 · MS 2008

    남극에서 남쪽으로 1km를 못 가서.......

    남극에서 {1 + 1/(2파이)}km 떨어진 지점에 집이 있는 경우도 특수해가 될 수 있군요. 지적 감사합니다. 이 경우 남극 근처인 경우도 가능하며, 곰이 남극에 살지 않기 때문에 남극인 경우를 제외한다고 쓰면 더 높은 점수를 받겠군요.

  • 해치지않습니다 · 274268 · 10/12/25 17:07 · MS 2009

    남극점에 서 있을 경우 모든 방향이 북쪽이므로 동쪽으로 갈 수가 없죠~
    남극은 안됩니다.

  • 샤나 · 268744 · 10/12/25 17:43 · MS 2008

    제 댓글을 정확히 읽었다면 위와 같은 댓글은 달리지 않았을텐데 ㅜㅜ 두 번째 문단 제대로 읽지 그랬어요

    아니면 뚜뚜님의 글에 댓글 달려다가 여기다 단 건가.....

  • 해치지않습니다 · 274268 · 10/12/25 19:04 · MS 2009

    두번째 문장 안보고 올린건 맞는데 지금 봐도 이해가 안되네여~~~
    일단 문제 자체의 의도는 유클리드 기하가 아닌 구면 기하에 근거한 문제인데 제 머리로는 샤나님이 말씀하신 특수해가 잘 이해가 안되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알밥 · 253041 · 10/12/25 16:44 · MS 200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그을음 · 346880 · 10/12/25 16:44

    세각의 합이 270인 삼각형인가...

  • 하라바라기 · 252150 · 10/12/25 16:56 · MS 2008

    이 책 처음만들어지자마자 학원에서 풀었었는데
    아직도 돌아댕기네

  • ictteru_ · 236409 · 10/12/25 16:59 · MS 2008

    창의력이 아니라 암기력 문제인거 같네요.

  • ☞구하라남편☜ · 90824 · 10/12/25 17:01 · MS 2017

    아 이거 내가 몇년째 문제를 잘못읽었구나

    나는 남>서>북>동 움직여서 자기 집이 나왔다는줄 알고 무슨 소린가 지금까지 몰랐네;;

  • 오ㅛ호아ㅓㄱ · 270493 · 10/12/25 17:06 · MS 2008

    ㄴㄴ피에물든 빨간색임

  • 흐른다 · 332122 · 10/12/26 17:57 · MS 2010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ㅋㅋㅋ

  • =CAESAR= · 254632 · 10/12/25 17:09

    초등학교때인가 중학교때인가 선생님이 낸 이 퀴즈 단 한번에 맞추고 천재소리들은게 어제같은데 ㅠㅠㅠㅠㅠㅠㅠㅠ

    북극점에서 출발하면 딱 맞죠?ㅋㅋ

  • 자이로 · 337402 · 10/12/25 17:39

    나는 빙하가 떠다녀서 움직이니까 북극곰이라고 생각했는데;;

  • 호밀밭의 파수꾼 · 337505 · 10/12/25 17:59 · MS 2010

    초딩때 들었던 문제 ;;;

  • NYPD · 347582 · 10/12/25 18:27 · MS 2010

    우와;;; 쩐다 ㄷㄷ

  • a Dreamer · 350659 · 10/12/25 19:51

    상산고 준비했을때 봤던ㅁ 문제 ㅋ

  • The_Perfect · 309234 · 10/12/25 20:32 · MS 2009

    이거 자사고 준비했을때 풀었었던 거네 ㅋㅋ
    답 흰색입니다.

    근거는 윗분들이 다 말해주셧어요.

    근데 이걸 어떻게 풀지 ㅡㅡ

  • 경제왕명박 · 288634 · 10/12/25 20:46 · MS 2009

    출처 백괴사전


    일반적 관점: 남쪽으로 1Km, 동쪽으로 1Km, 북쪽으로 1Km를 갔을 때 다시 사냥꾼의 집이 나온 것으로 보아서 사냥꾼의 집은 북극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곰은 북극에 사는 북극곰이고 색은 하얀색이다.
    만일 북극곰이 맞다면, 색은 시간에 따라 다르다. 낮에는 하얀색, 밤에는 오로라에 의해서 형형색색
    창의적 관점: 총에 맞은 채로 1Km나 도망친 곰은 온 몸이 피로 뒤덮여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곰은 빨간색.
    좀 더 창의적인 관점: 총에 맞은 채로 1Km나 도망친 곰은 분명 지구상의 생명체가 아니다. 그 곰은 외계에서 온 곰인 것이다. 따라서 초록색!
    또 다른 창의적인 관점: 사냥꾼은 곰을 잡은 뒤에 곰을 해체하여 집으로 가져갔을 것이다. 따라서 곰고기의 색을 맞춰야 한다. 빨간색.
    지나치게 창의적인 관점: 집으로 돌아온 사냥꾼은 곰고기를 훈제했다. 갈색.
    일반적인 듯 창의적인 관점: 애초에 곰을 한 가지 색으로 단정 지을 수 없다. 곰은 부위별로 색깔이 다르다.
    무심한 듯 시크한 관점: 사냥꾼은 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색이 뭔지 모른다. 그러므로 사냥꾼은 색맹이다. 그러므로 색은 회색이다.
    기가 막힌 관점: 총에 맞은 순간, 곰은 죽거나 살아 도망간다. 그러므로 죽은 곰이 있는 세계와 그렇지 않은 곰이 있는 세계가 분리되어 평행우주를 이룬다. 곰의 색깔은 피투성이 빨간색과 시체썩은 검은색이 둘 다 존재한다.
    초자연주의적 관점: 외계에서 온 곰이 왜 초록색인가? 그 곰은 주황색일 것이다.
    정치적 관점: ‘쏘았다.’고만 했지 ‘맞혔다.’라고는 안 했다. 그래서 곰은 여전히 하얗다.
    상식적 관점: 곰을 ‘잡았다.’라고 했으니 곰을 맞힌 것이 틀림없다. 피떡이 된 곰은 빨간색.
    비상식적 관점: 총은 못 맞혔지만 곰과 사투를 벌여서 잡았다. 곰은 아직 흰색.
    상식적인 듯 비상식적인 관점: 곰을 때려서 잡았으니 피멍이 든 곰은 보라색이다.
    미학적 관점: 마젠타, 옐로, 시안의 조합.
    미학적 관점 2: 흰색, 회색 그리고 약간의 블루.
    미학적 관점 3: 티타늄화이트 혹은 징크화이트.
    광학적 관점: 빨강, 녹색, 파랑의 조합.
    철학적 관점: 곰색.
    4차원적 관점: 곰의 색깔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흰색 → 빨간색 → 갈색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곰을 맨손으로 잡았다면, 하얀색과 빨간색 사이에 보라색이 추가된다.
    생물학적 관점: 북극곰의 털색이 하얄 뿐 피부는 검다. 백발의 흑인을 검다고 하듯 곰의 색은 검은색이 맞다.
    지리학적 관점: 북극점은 북극해 한가운데에 존재하므로 애초에 그곳엔 집이 있을 수 없다. 곰도 북극점에서 1km 떨어진 지점까지는 수영으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에 치명적 오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다른 지질학적 관점. 지구상에는 자성을 띈 철광광산도 존재한다. 즉,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심리학적 관점: 사냥꾼은 술에 취해 있음에 틀림없다.
    통계학적 관점: 위의 답변들을 종합해 볼 때, 그 곰은 25%확률로 흰색이다.
    수학적 관점 : 남쪽으로 1km, 동쪽으로 1km, 북쪽으로 1km을 가서 같은 자리로 돌아오는 점은 지구를 완전한 구라고 가정했을 때 북극점 말고도 남극 근처 수평 절단면의 둘레가 1km인 절단선에서 북쪽으로 1km올라온 원, 수평 절단면의 둘레가 1/2km인 절단선에서 북쪽으로 1km올라온 원, 절단면의 둘레가 1/3km인 절단선에서 북쪽으로 1km올라온 원... 절단면의 둘레가 1/nkm인 절단선에서 북쪽으로 1km올라온 원 등이 있으므로 사냥꾼의 집이 어느 한 점에 위치할 확률은 0. 따라서 사냥꾼의 집은 존재하지 않고, 사냥꾼과 곰도 존재하지 않음. 문제는 이제 안드로메다로...
    생물학적 관점 : 북극곰 색이 북극곰의 털 색을 묻는 것이라면 투명. 북극곰의 털은 투명하다.
    문학적 관점 : 사냥꾼의 집이 북극이 아니라면 사냥꾼의 집은 2개다. 따라서 사냥꾼은 부자이므로 키우던 훈련된 곰을 풀어놓아 사냥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충성스러운 곰은 서바이벌 총을 맞고 연기한 것이고 포획한 것은 곰이 다시 집에 돌아왔단 뜻이므로 곰은 아무런 외상없이 흰색
    누군가의 관점 : 집 길이가 1Km나 되는 것임? 부럽다.

  • 티치미한석원선생 · 355599 · 10/12/27 07:27 · MS 2010

    백괴사전 ㅋㅋ
    한때 자주 들어갔죠~

  • sabre · 336349 · 10/12/25 23:59 · MS 2010

    이거 원래 옛날 언어영역 문제였대요

  • Snake Doctor · 9680 · 10/12/26 07:02 · MS 2003

    꼭 사냥꾼의 집이 하나여야하나ㅋㅋ
    사냥꾼의 집이 두채라면 어떨까나.